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가곡(남창)

작품/자료명
가곡(남창)
전승지역
인천광역시 연수구 선학동
지정여부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
구분
정악
개요
<가곡(歌曲)>은 시조시(時調詩)를 관현반주(管絃伴奏)에 얹어 오장형식(五章形式)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가곡>의 원형은 고려가요에서 생겨난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이다. 이는 속도의 구분인데 느린 곡인 만대엽은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이전에 없어졌고, 중간 빠르기의 중대엽도 조선 후기에는 부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의 가곡은 조선 후기부터 나타난 빠른 곡인 삭대엽에서 발생한 것으로, 가락적으로 관계가 있는 여러 곡들이 하나의 노래모음을 이룬다.
내용
<가곡>은 시조시 한 편이 5장 형식으로 되어 있다. 먼저 전주(前奏)의 구실을 하는 ‘대여음(大餘音)’이 기악합주로 나오면 초장이장을 부르고 간주(間奏) 구실을 하는 기악합주의 ‘중여음(中餘音)’이 나온 다음 다시 사장오장의 노래를 부르고, 후주(後奏)와 다음 곡의 전주 구실을 하는 ‘대여음’을 기악으로 연주하고 다음 노래로 넘어간다. 매우 조직적이며 짜임새가 잘 되어 있다. 장단을 보면 느린 속도의 16박자와 ‘편장단’인 빠른 속도의 10박자가 있다. 연주는 거문고, 가야금, 해금, 대금, 단소, 장구 등으로 이루어진다. 가곡의 종류를 살펴보면 평화스럽고 장중한 ‘우조(羽調)’와 애절한 ‘계면조(界面調)’로 나뉘고 다시 남자가객이 부르는 ‘남창’과 여자가객이 부르는 ‘여창’으로 나뉜다. 남창 우조에는 <초삭대엽(초수대엽)>을 비롯하여 11곡과 남창 계면조에 <초삭대엽>을 비롯하여 13곡이 있고, 중간에 전조(轉調)되는 <반엽>과 <편락> 두 곡이 있어 전체 26곡이다. 또한 여창 우조에는 <이삭대엽(이수대엽)> 등 5곡이 있으며, 여창 계면조에도 <이삭대엽> 등 8곡과 중간에 조를 바꾸는 <반엽(半葉)>과 <환계락(還界樂)> 두 곡이 있어 모두 15곡이다. 이것들을 남·여창으로 부르게 되면 남창 한 곡, 여창 한 곡씩 번갈아 부르다가 맨 끝에 남녀병창으로 <태평가(太平歌)>를 부른다. <가곡>은 고려가요의 맥을 이어온 만큼 많은 명창이 있었으나, 조선중기 이전은 전해지는 이가 드물고 조선후기에는 박상건(朴尙健), 김천택(金天澤), 김수장(金壽長), 장우벽(張友璧), 박효관(朴孝寬), 안민영(安玟英), 하준권(河俊權), 하규일(河圭一)과 같은 명창들이 나와 가곡을 갈고 닦았다. 근대에는 하규일의 제(制)를 이은 이병성(李炳星), 이주환(李珠煥)이 가곡의 명인으로 꼽혔다. 중요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로 이주환이 작고한 뒤에 남창(男唱)에 전효준, 홍원기, 여창(女唱)에 김월하(金月荷, 본명 김덕순 金德順)가 보유자가 되었으나 모두 사망하였고 현재는 남창에 김경배, 여창에 김영기조순자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전승자 정보
보유자인 도상구(1920.3.1~ )는 1963년부터 고필순, 정경태 선생으로부터 남녀창 전바탕(27곡)을 사사받았으며, 하규일 선생으로부터 남녀창 가곡 정간보를 구하여 정간율보에 의해 기능을 연마하였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국악통론>, 서한범, 태림출판사 <국악의향연>, 최헌엄혜경진회숙, 중앙일보사, 1988 ·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