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정악(正樂)

작품/자료명
정악(正樂)
구분
정악
개요
정악(正樂)은 아정(雅正)한 음악을 말하며, 현재는 전통음악 중 민속악에 대칭하는 의미의 아악(雅樂)으로 쓰인다. 박연(朴堧)의 청정묘조정악소(請定廟朝正樂疏)에서 말한 정악은 아악을 가리킨 말로 이와 같은 용례는 예전부터 많이 발견되는데, 이는 민간의 정대한 음악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아악을 가리킨 말이다. 또한 정악이란 용어의 유래는 일제시대 정악유지회(正樂維持會)에서 기원했다고 보는 설이 있다. 정악유지회는 사설 음악교육기관으로 구한말까지 풍류방(風流房)에서 노래와 기악을 즐기던 선비나 부유했던 중인 풍류객들의 음악문화를 전승하려고 설립되었다. 교과목은 성악으로 가곡, 기악으로 거문고·가야금·단소·양금 등 풍류합주를 위한 악기들을 포함하였다. 가곡과 가곡반주·줄풍류·대풍류 등이 중요과목이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정악은 풍류방의 음악문화로 정의할 수 있다. 결국, 좁은 의미의 정악은 가곡 같은 성악과 영산회상 같은 기악을 포함한 조선 후기 음악문화의 한 갈래이고, 넓은 의미의 정악은 민속악의 대칭어이다.
정악의 개념
정악이라는 용어는 1911년에 발족한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에서 전습된 음악으로 전용(轉用)된 듯 하다. 마치 아악이 제향음악에서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 연주되는 음악으로 전용(轉用)된 것과 같다. 그 전에는 정악이란 말 대신 음율(音律)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음율은 율에 맞는 정성(正聲)의 음악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조선정악보>라는 말 대신에, <조선음율보>가 있다. 정악은 일반 명칭으로 아정한 음악을 뜻하며, 일반 명칭일 경우에 정악은 아악과 같다고 하겠다. 그러나 소위 정악은 후에 특수명칭으로 사용되어 음율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다. 실내에서 늘 연주하는[常彈]하는 음율은 종묘나 조정에서 연주하는 아악과 구별되고, 선비나 문인 같은 비직업음악인들이 연주하는 음율은 장악원의 직업음악인에 의해 연주되는 아악과 구별된다. 음율은 관현합주 음악보다는 주로 거문고 독주 음악이다. 정성(正聲) 사용의 음율은 오락(娛樂) 대신 사람 마음을 바르게 하는데[正人心] 주목적을 두며, 관현합주 때는 주인이 거문고를 타고, 해금·젓대·장고는 직업음악인에게 청하여 맡게 한다. 따라서 음율은 거문고음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금보의 음악이 정악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는 뜻이다. 요컨대, 역사적으로 볼 때, 소위 정악은 근래의 조어(造語) 또는 차어(借語)이고, 원래는 음율(音律)이라 불렀고, 그 음율의 개념은 그림에 문인화가 있듯이, 문인의 거문고음악이라 하겠다.
관련도서
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전통음악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공저, 도서출판 어울림, 1997. 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일조각,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음악사학보, 이혜구, 한국음악사학회, 11집, 2001. 한민족음악론, 권오성, 학문사, 1999.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사이트
디지털한국학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