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관객모독

작품/자료명
관객모독
초연장소
76소극장
작/연출
피터 한트케
장르구분
1970년대
내용
<관객모독>은 종례의 전통적 연극에 대한 비판 및 부정이고 또한 환상을 위주로 하게 될 모든 극에 대한 부정이다. 즉, 줄거리도 무대장치도 소도구도 없이 언어자체를 작품의 내용으로 하는 언어연극의 좋은 모델이다. 또한 이 작품은 관객을 주제로 한 관객의 행위에 대한 일종의 서문이다. 관객이 무대와 직접 관계를 갖게 하여 무대와 객석이 하나의 동일한 세계임을 말해주고자 한다. <관객모독> 속의 현실은 연기하고 있는 연기자들의 현실이며, 그들이 밟고 있는 무대 그리고 그들 앞에 있는 관객의 현실로서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표현양식-욕설, 연설, 축구중계, 목사, 교사, 뱀장수 등-을 빌어 언어를 단어 및 문장이 지니는 내용적 관점에서 표현하고 있다. 즉 이 작품은 말의 유희적 형태로 세상을 표현한 것이다. 또한 작가가 이 작품에서 강조한 것은 공간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다. 객석과 무대는 하나의 단합된 통일체로 종전의 연극 속에 갇혀있던 무대라는 공간개념을 탈피했고, 관객으로 하여금 시간의 일회성과 유일성을 인식시켜 시간이란 것이 삶의 의미이고 우리의 삶 그 자체임을 이 연극을 통해서 알리고자 했다. 이러한 작품의도에 따라 이 공연은 언어와 동작으로 순수한 유희를 추구했다. 무대를 하나의 유희공간으로 하고 언어와 동작에 그리고 그들의 연관에 담긴 경험들을 유희의 기반으로 한 것이다. 참고 : <관객 모독> 피터한트케, 예니, 1984 중 작품해설
예술가
피터 한트케 (1942~ ) 1942년 오스트리아 그리펜 출생. 1962년 첫번째 소설 <말벌들>을 발표했으며. 24세인 1966년에 <관객모독>으로 주목을 받았다. 1966년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상을 수상했고, 1972년 게오르크 뷔히너상을 수상했다. 그는 독일어권 작가들 중에 가장 독창적인 작가이며, 대부분의 작품들에서 형식파괴적이고 언어실험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표작품 <카스파르> <보덴 호수 위로의 기마> <미성년은 성인이 되고자 한다> 기국서 (1952~ ) 중앙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극단 76’에 입단하여 1998년까지 대표 및 상임연출을 맡았다. 1970년대 <관객모독>, 1980년대 <햄릿>시리즈, 1990년대 <지피족> 등을 연출, 제작하였다. 현재 극단 단막극장 예술감독으로 활동 중이며, 2002년 영화 <굳세어라 금순아>를 통해 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 대표작품 <마지막테이프> <관객모독> <고도를 기다리며> <훼밀리 바케드> <햄릿>
수상현황
- 1979년 서울평론가 그룹 특별상 수상 - 1981년 서울평론가 그룹 연출상 수상 - 1983년 영희연극상 수상
재공연
- 1977년 3월 16일~3월 20일 연극회관 쎄실극장, 극단 프라이에뷔네, 고금석 연출, 극단 창단 10주년 기념공연 - 1978년 11월 24일~ 76소극장, 극단 작업, 기국서 연출 - 1979년 10월 27일~11월 20일 76소극장 - 1981년 실험극장 - 1983년 공간사랑 - 1985년 공간사랑 - 1986년 6월 1일~6월 30일 바탕골 소극장 - 1989년 동숭아트센터 - 1996년 9월 29일 극예술극장 파워2관, 극단 76단 창단 20주년 기념공연 - 1998년 3월 12일~5월 31일 곤이랑 아트홀, <관객모독 2>, 김형곤 김성노연출
평론
<관객모독>은 배우 네 사람이 나와 마음내키는 순서대로 대본을 단조하게 읽으며 ‘힛 퍼레이드’의 스타일로 관객의 연극에 대한 기대를 하나하나 들면서 깨뜨려버리고 마지막에 가서는 관객을 향한 욕설이 터져 나오는 반극이다. 등장인물이나 대화, 무대장치, 휴식, 줄거리, 시간, 작가와 관중의 거리 등 연극의 모든 기본요소가 부정된다. 물론 일차적으로는 굳어버린 어법이나 판에 박힌 언어에 대한 비판이고 나아가 문학전체에 대한 공격이다. 그러나 그 보다 중요한 것은 연극의 도구를 부정함으로써 관중으로 하여금 그들이 고착된 의미의 강요 속에 살고 있다는 사실, 그들이 형식화된 기대의 지배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케한다. 관객의 모욕은 결국 관객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문학사상> 1977년 11월호, 전영애)
관련도서
<관객모독> 피터 한트케작, 양혜숙 역, 예니, 2001
연계정보
-지피족들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