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집념

작품명
집념
제작
우성사
감독
최인현
장르구분
1971년~1980년
출연/스태프
*출연 이순재, 김창숙, 김신재, 한우리, 최남현 *스태프 제작/김용덕, 감독/최인현, 각본/이은성, 촬영/장석준, 조명/이현우, 편집/김희수, 효과/손효신, 음악/최창권
내용
조선 중기 양반인 아버지와 종의 신분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서출인 허준은 자신의 신분으로 인해 입신양명의 뜻을 펼칠 수 없음을 깨닫는다. 새로운 인생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난 허준은 경상도 산청에 다다른다. 이 곳에서 허준은 그의 스승이 되는 명의 유의태를 만나게 되고 그로부터 의술을 익힌 허준은 각고의 노력 끝에 스승을 능가하는 뛰어난 명의가 된다. 그에게 쏟아지는 온갖 시기와 질시에도 불구하고, 허준은 오로지 의술에만 전념하고 그 노력의 결과는 임금인 선조의 귀에도 들어오게 되고 마침내 허준은 어의가 된다. 임진왜란의 변란 속에서도 허준은 목숨을 내걸고 의서를 지킨다. 또한 ‘동의보감’ 이라는 훌륭한 의서를 집필하기도 한다. 평안도 일대에 흑사병이 번진다는 소식을 들은 허준은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은 채 환자들을 지키기 위해 평안도로 달려간다. 결국 허준은 환자들을 돌보다 자신의 생명마저 잃게 된다. 그의 숭고한 죽음이 알려지자 조정은 그의 뜻을 기려 그에게 보국승록대부와 양평군의 작호를 내려 그를 애도한다.
예술가(감독)
*최인현(1925~ ) 경상남도 진주 출생의 최인현 감독은 진주농대를 졸업하고 1962년도 <눈물어린 발자국>으로 감독 데뷔한다. 그는 주 활동 시기였던 1960~70년대 놀라울 정도의 다작을 생산하는데, 특히 액션영화와 검객영화를 통해 뛰어난 활약을 펼친다.
작품정보
눈물어린 발자국 (1962) 쌍검무 (1963) 달기 (1964) 사자성 (1964) 태조 이성계 (1965) 한 많은 대동강 (1966) 오복문 (1966) 양반전 (1966) 나그네 임금 (1967) 너와 나 (1967) 천도화 (1967) 풍운 삼국지 (1967) 칠부열녀 (1967) 상감마마 미워요 (1967) 두 나그네 (1967) 총각원님 (1967) 언니의 일기 (1968) 백야 (1968) 오월생 (1968) 자주댕기 (1968) 로맨스 마마 (1968) 삼현육각 (1968) 암굴왕 (1968) 방랑대군 (1968) 이상의 날개 (1968) 순덕이 (1968) 내 생애에 단 한번 (1969) 삼인의 여검객 (1969) 만고강산 (1969) 춘원 이광수 (1969) 부각하 (1969) 동경의 왼손잡이 (1969) 젊은이의 태양 (1969) 태조 왕건 (1970) 극동의 무적자 (1970) 굳바이 동경 (1970) 일요일 밤과 월요일 아침 (1970) EXPO 칠십 동경전선 (1970) 삼호탈출 (1970) 황금 70 홍콩 (1970) 동경 무정가 (1970) 타이페이 3 만리 (1971) 암흑가의 공포 (1971) 미워도 정 때문에 (1971) 기러기 남매 (1971) 고향을 묻지마라 (1972) 인간 낙제생 (1972) 어머님 용서하세요 (1973) 열궁녀 (1973) 출발 (1973) 숙녀 초년생 (1974) 이조 상노비사 (1974) 소림사의 결투 (1975) 홍길동 (1976) 집념 (1976)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 (1977) 안개속의 여인 (1978) 관세음보살 (1978) 세종대왕 (1978) 영원한 유산 (1979) 캔디 캔디 (1981) 소명 (1984) 친구야 친구야 (1990)
리뷰
*작품해설 <집념>은 조선시대의 명의이자 한의학의 기초라는 ‘동의보감’의 저자 허준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으로, 이은성의 원작 <동의보감>을 이은성 본인이 시나리오로 만들고 사극에도 일가견이 있는 최인현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이후 TV 드라마 등을 통해 계속적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한 작품이다. *평론 새로운 해석과 분방한 상상력을 동원해 역사 속의 인물들을 스크린 안으로 옮겨놓은 <집념>은 정통사극의 진수를 보여준다. (<씨네21>, 심산, 2001년 3월 22일호)
수상내역
제13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대상, 작품상, 시나리오상, 최우수 남우상 제16회 대종상 우수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편집상
관련사이트
한국영상자료원_종합영상정보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