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주한 프랑스 대사관

작품명
주한 프랑스 대사관
소재지
주한프랑스대사관
건축가
김중업
장르구분
1951년~1970년
내용
서울의 서대문구 합동은 예부터 외국의 대사관저들이 집락을 이루던 곳이다. 이 건축은 프랑스 건축가 7인과 함께 지명설계에 응모하여 김중업의 안이 당선되어 실현된 것이다. 건물은 크게 대사관저와 업무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큰 건물이 대사관저이고 작은 것이 대사업무동이다. 표현적으로도 대사관저는 남성적이며 업무동은 여성적이다. 그래서 두 건물은 마치 자웅(雌雄)의 관계처럼 인상지어진다. 그 중 업무동은 지붕 부분이 개수되어 처음의 조형성이 상당한 만큼 손상되었다. 대사관저는 내부의 부분적인 개수를 제외하고는 거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데 이 건축의 압권으로는 전면의 필로티로 얹혀진 지붕의 다이나믹한 조형일 것이다. 전면의 모자이크 벽면을 포함하여 상세의 조형이 잘 다듬어져 있음도 이 건축을 풍요롭게 한다. 전체적으로 두 건물의 배치적 묘미에서부터 건축의 조형이 도모하고 있는 한국적 정서와 프랑스의 엘레강스한 품위를 나타낸다. 작가 김중업은 이 작품으로 국내에서는 1962년 서울시 문화상을, 1965년에는 프랑스 국가 공로훈장과 슈발리에로 서훈되었다. 1992년에는 공간 25년상을 수상하였는데 이는 이 건축의 항속적인 미학적 가치를 길이 남기기 위함이다.
건축가
김중업* 개인정보1942년 요코하마 관립고등학교 건축과를 거쳐 1952년 르 꼬르뷔제 건축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계획을 전공하였다. 1956년 김중업 건축연구소를 개소하였으며 1957년 제1회 건축전시회를 개최하였다. 1966년 서울대, 한양대, 연세대, 인하공대, 홍익대 교수와 1976년 로드 아일랜드 미술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1965년 슈발리에 칭호를 받았다. 국전 및 신인예술상, 서울특별시 문화상 그리고 프랑스 국가 공로훈장을 받았다.* 작품정보서강대학교 본관 (1958년), 서산부인과 의원 (1965년), 조흥은행 본점 (1963년), 삼일로빌딩 (1969년), 제주대학교 본관 (1959년), 육군사관학교 박물관 (1980년), 국제방송센터 IBC (1985년), 청평산장 (1986년)
리뷰
프랑스 정부가 서울에 세울 대사관의 구상을 요청해왔다. 더구나 프랑스의 유명한 일곱 명의 현역 건축가들과 기량을 가리는 더없는 기회가 주어졌으니 말이다. 샹바르 대사는, 당선될 가능성은 100분의 1에 불과하지만 좋은 작품을 만들어 보라는 간곡한 부탁이었는데, 파리의 르 코르뷔지에 선생이 추천하였다고 귀뜸해 주었다. 첫 스케치는 뉴욕 브로드웨이의 메디슨호텔방에서 꾸며졌고, 돌아오는 대로 불철주야 작업에 몰두했으며, 크리스마스의 큰 선물로 확정통고를 받았다. 한국의 얼이 담긴 것을 꾸미려고 애썼고, 프랑스다운 엘레강스를 나타내려고 한, 피눈물나는 작업이 나에게 엄청난 행운을 안겨 주었다. 60년 봄에 착공, 61년 봄에 완공을 보고, 62년도 서울시 문화상과 65년에 드골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프랑스국가공로훈장과 슈발리에 칭호를 얻기에 이르렀으니 말이다. 나의 작품세계에 하나의 길잡이가 되었고, 이로 하여 비로소 건축가 김중업의 첫 발을 굳건히 내딛게 되었다. 또한 프랑스국가 공인건축가의 자격을 얻게 됨으로써 70년대 해외생활의 기구한 운명을 잉태하게끔 한 뜻깊은 작품이기도 하다. (김중업, <건축가의 빛과 그림자>) 주한 프랑스 대사관 업무 및 주거용 건축으로, 프랑스 건축가 일곱 명을 포함한 지명 설계에서 김중업의 안이 당선되었다. 정문에서 우측으로 언덕길을 따라 오르면서 배치된 업무동과 대사 관저는 콘크리트를 써서 직선과 곡선으로 처리한 지붕 처마선, 단아한 전체 구성과 공간 처리로 한국 현대건축의 이정표로 꼽힌다. 육중한 콘크리트 지붕 처마선이 수평으로 뻗은 대사관저는 남성적으로, 날렵하게 휘어 오른 콘크리트 지붕을 네 개의 기둥이 받치는 업무동은 여성적인 느낌으로 서로 대응하며 비켜 서 있다. 그 후 이 건축의 백미였던 업무동 지붕은 변형되어 초기의 조형성이 크게 훼손되었고, 대사 관저는 증축되면서 내부 공간의 크게 변형되었으며, 건물 앞의 인공 연못은 없어졌다. (신영훈 외, <우리 건축 100년>) * 수상현황1962년 서울시 문화상1965년 프랑스 국가 공로훈장1992년 공간 25년상
연계정보
* 관련도서건축가의 빛과 그림자, 김중업, 열화당, 1984김중업 건축론, 정인하, 산업도서출판공사, 1998한국의 현대 건축 1876-1990, 한국건축가협회, 기문당, 1994우리 건축 100년, 신영훈 · 이상해 · 김도경 저, 현암사, 2000* 관련자료김광현, 주한 프랑스 대사관 : 근대의 갈등을 잃은 한국현대건축의 기점, 건축 1992년 11월호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한국건축가협회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