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어머님 은혜

작품명
어머님 은혜
작곡가
박재훈
개요
이 곡은 1948년에 발간된 박재훈의 동요곡집 <산난초>에서 처음 발표되었다.
해설
<어머님 은혜>는8분의 6박자, 라장조의 서정적 가락으로 전개되는데 특히 정감과 인간미가 잘 표출되어 있다. 어머니를 그리는 수많은 동요 가운데서도 가장 많이 애창되고 있는 곡으로 뽑힌다.
작사가
작사가 윤춘병(1918~) 평안남도 중화군 출생. 평양 요한학교(본과 연구과)를 졸업했다. 1967년 상남 선교교회 연회장에 취임하여 제주 서귀포교회, 의정부 교회, 원주 제일교회 담임을 거쳤다. 한국기독교문인협회 회원이자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감리교 신학대학교 선교대학원 및 세계선교대학원,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에서 강사로 가르쳤다. 저서로는 <한국기독교신문회보 백년사>, <한국 감리교 도서출판 백년사>, <전덕기 목사와 민족운동>, <한국 감리교 교회 성장사>가 있다.
작곡가
박재훈(朴在勳, 1922∼) 작곡가이며 지휘자. 서울에서 출생. 평양요한학교와 중앙신학교 그리고 동경제국고등음악학교와 크리스샨 신학교를 졸업하였고, 미국 웨스트민스터 음악대학과 미국 졸단음악대학에서 수학을 하였으며, 미국 퍼시픽대학에서 명예 인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코랄을 창설, 지휘하였으며, 월간 <교회와 음악> 주관을 지냈다. 대광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기독교방송국 초대 음악과장과 장로회신학대학, 승전대학, 서울신학대학, 감리교신학대학 강사, 한양대학교 음대, 중앙신학교, 서라벌예대 교수를 지냈다. 그리고 한국교회음악협회 총무, 한국교회음악협회 이사, 선명회합창단 제2대 지휘자로 활동을 하였다. 주로 동요와 찬송가를 많이 작곡하였으며, 작품으로는 종교음악 <나 언제나 참회하리니>, <목마른 사람같이>와 오페라 <에스터>, 동요 <어머님 은혜>, <다람쥐>, <눈꽃송이>, <봄노래> 등이 있으며, 작품집으로는 성가집 <찬미> 6권과 동요곡집 <산 난초>와 <일맥 동요곡집>이 있으며, 저서로 <찬송가 작가의 변모>, <주일학교 음악지도> 등이 있다. <한국작곡가사전1>, 한국예술연구소, 한국예술종합학교한국예술연구소, 1995
리뷰
박재훈은 한국 교회에 최초의 음악적 열매를 맺게 했다. 그와 함께 한국 교회는 스스로의 음악을 만들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그의 음악적 방법은 복잡하지 않았다. 그는 비교적 뚜렷한 음악적 한계를 짓고 그 안에 남아 있다. 그의 음악적 관심과 표현력은 서양의 18-19세기적인 것이었다. 하지만 단순히 서양음악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의 음악은 서양의 것과 다를 수밖에 없었다. 특히 1964년 이후에는 더욱 그러했다. 그는 한국 전통음악과 가까워지려 했던 것이다. 그가 보여주는 전통음악은 한국의 전통 음악가들로부터 직접적으로 배운 것이라기보다는 한국 양악 작곡가들이 전통음악을 이해하는 방식으로부터 배우고, 영향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박재훈의 음악에서 나운영의 영향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 그런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박재훈의 경우는 나운영처럼 청중들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지면서까지 그러한 방향을 추구하지 않았다. 그는 가능한 한 음악 사용자와 가까운 거리에 남고 싶어했다. 그럼에도 그의 한국식 음악은 단순히 ‘삼박자’와 ‘오음계’에 일반적인 화성을 입히는 단순한 정도에 머물지는 않았다. 그의 온건한 음악적 실험은 그의 음악 사용자와 수용자가 교회의 ‘회중’이었다는 점에서 오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그의 ‘회중’은 음악을 통해서 기존의 예배로부터 차이를 크게 느끼기를 원치 않는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박재훈에게 새로운 것은 서양의 20세기적 신음악이 아니라 한국적인 것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이런 부분에서 그는 조심스러웠다고 말할 수 있다. ‘교회음악 작곡가 박재훈’, 홍정수, <음악과 민족>, 제26호
관련음반
<꿈꾸는 동요>, 가람미디어, 2005 <열려라 동요천국>, 가람미디어, 2004 <신나는 동요나라 135곡>, 블루마인드, 2005 <한국동요>, 선명회어린이합창단, 성음, 1976 <우리들의 동요 제1집>, SKC 1987
관련도서
<산난초>, 박재훈, <일맥 동요곡집>, 박재훈 <한국작곡가사전1>, 한국예술연구소, 한국예술종합학교한국예술연구소, 1995 <방황하는 현대의 인생론>, 윤춘병, 일맥사, 1979 <한국동요음악사>, 한용희, 세광음악출판사, 1987
연계정보
-에스더
-눈꽃송이
-모두 모두 자란다
관련사이트
한국동요음악연구회
관련사이트
한국음악교육연구회
관련사이트
한국음악협회
관련사이트
동심넷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