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경복궁 서문 영추문 복원 준공('75)-청담교 준공·강남2교 개통('75)-학생들의 6·25 격전지 순례 대행군('75)-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 준공('75)-새마을 도토리 국수 공장('75)-미군 기지 위문공연('75)-제2회 세계태권도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지구 우수 예비군 선발대회('69)-막사이사이 시상식('69)-남대문 KAL 빌딩 준공식('69)-낙도 이동홍보단 결단식('69)-충남 대덕군 무의촌 치과 진료차 인수('69)-제4회 특수조합 업적 경진대회('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희여고 학생 봉사단('67)-민족문화센터 건립 공사('67)-전투경찰 발대식('67)-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식('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변차선 등장('81)-자연보호 수중 경진대회('81)-목각 마을('81)-오대산의 국보('81)-국제 민속 음악제('81)-제17회 쌍용기 쟁탈 전국 고등학교 농구대회('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어촌 부업 제품 전시회('82)-제9회 전국 양잠 시범대회('82)-수화 김환기 화백 유작전('82)-경기도 강화도의 초지진의 대포('82)-전등사의 대웅전('82)-제27회 세계야구 선수권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일촌 입주식('73)-제25회 미스터 코리아 선발대회('73)-조기 벼 수확('73)-영광의 얼굴('73)-돈을 깨끗이('7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벼농사 풍년을 예상('63)-제7회 국제아동미술대회('63)-창경원의 수의사('63)-대구 문화방송국 개국('63)-전남일보사 주최 인기 스타상('63)-제16회 세계제패 단축 마라톤 대회('63)-제12차 국제군인 권투시합('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범 운전자 표창식('70)-월남 아가씨들의 방한('70)-자동 건강측정기 도입('70)-경남모직 모직물 의상 발표회('70)-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업금융채권 발행('69)-선열의 뜻을 겨레 가슴에('69)-올해는 풍년('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원양어업의 주요 기지('70)-한국군 종합휴양소 준공('70)-세계 풍물 스케치전('70)-제1회 아시아 청소년 농구 선수권 경기 실황('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토요상설공연 - 아름다운무희들 장고춤
장고춤은 장고를 어깨에 비스듬히 둘러메고 치면서 추는 춤이다.
한국전통소리문화
전북대 무용학과 우리춤 우리들(2009) 장고춤
호남농악의 우도 굿 가운데 개인 놀이인 구정놀이를 기본으로 새롭게 창작된 작품이다.
제 91회 정기연주회 피리 산조를 위한 협주곡 - 바라지
피리 협주곡 바라지는 박범훈 작곡의 창작곡으로 1988 대한민국 국악제에서 위촉 초연되었다.
강원도민요 밀양아리랑
밀양 아리랑은 옛날 밀양 사또의 외딸 아랑이 젊은 통인의 요구를 뿌리치다가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것을 슬퍼하여 “아랑 아랑” 하고 노래를 부른 데서 비롯하였다.
김제농악
김제농악은 시도무형문화재 제7-3호로 호남우도농악의 한 종류이다.
목요상설공연 - 김지춘의 춤 앉은반 설장고
설장고는 농악 판굿에서 장고수가 맡는 개인기 대목이다.
은율탈춤
얼굴에 탈을 쓰고 추는 전통 무용으로 가면무용이라고도 한다.
제 76회 정기연주회 수궁가 中 상좌다툼 대목
토끼와 거북이의 행동을 통하여 인간성의 부족함을 풍자하고 있다.
토요상설국악공연 - 자리에 춤꽃이 피다(2009) 살풀이춤
살풀이춤은 남도 무무계통의 춤으로 살, 즉 액을 푼다는 뜻을 가진 민속무용이다.
토요상설공연 - 김안윤의 춤 진도북춤
진도북춤은 원래 농악의 한 부분으로 공연되어 오던 춤이 인간문화재 박병천 선생이 다양하고 새롭게 안부 한 작품이다.
92송년 국악대공연 육화대
육화대 춤은 원무 6인이 손에 꽃을 들고 궁궐의 풍경과 봄철의 꽃을 찬미하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며 추는 춤이다.
토요상설공연 - 나르샤 모듬북 협주곡 ‘打’
관현악과 모듬북의 협주곡으로 빠르고 느림을 자유자재로 표현해 긴장과 이완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공연이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