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모범 운전자 표창식('70)-월남 아가씨들의 방한('70)-자동 건강측정기 도입('70)-경남모직 모직물 의상 발표회('70)-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변차선 등장('81)-자연보호 수중 경진대회('81)-목각 마을('81)-오대산의 국보('81)-국제 민속 음악제('81)-제17회 쌍용기 쟁탈 전국 고등학교 농구대회('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뮌헨 기능올림픽 금메달 선수('73)-아시아·서태평양 지역 사회복지대회('73)-제3회 대한민국 건축과 사진 전람회('73)-여류 화가 한국화전('73)-여군창설 23주년 기념식('73)-한일 고교 야구대회 경기('7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어촌 부업 제품 전시회('82)-제9회 전국 양잠 시범대회('82)-수화 김환기 화백 유작전('82)-경기도 강화도의 초지진의 대포('82)-전등사의 대웅전('82)-제27회 세계야구 선수권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1회 국제 사무기계화 촉진 전시회('68)-상공 미술 전람회 시상('68)-국회 출입 기자단 월남 방문('68)-월남 정부가 훈장 수여('68)-미합중국 대통령 선거 앞둔 선거 전초전('68)(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선광장 건설('61)-모이어 박사 내한('61)-인기 만점 거북이('61)-미녀와 사자('61)-한일 학생 농구단('6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4회 축산계 특수 조합 업적 경진대회('69)-사료 생산('69)-보리새우 양식('69)-백제시대의 흑색토기 발견('69)-고교 군사훈련 검열식('69)-진료 비행기 탄생('69)-현대조각 5인전 전시('69)-친선 농구 경기('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래잡이('63)-고아들을 위한 작업보도센터 설립 개소식('63)-재향군인회 전북지구 단합 촉진대회('63)-우리나라 최대 규모 어린이 놀이터 건립('63)-글라이더 명명식('63)-대형 수족관의 돌고래('63)-독일에서 수상스키대회 개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양 8경('82)-괴산군 장연면 대성리 죽마을('82)-조국순례 대행진('82)-한 · 중 현대 서화전('82)-스쿠버 여름학교 수상훈련 실시('82)-서울 국제 주니어 육상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원양어업의 주요 기지('70)-한국군 종합휴양소 준공('70)-세계 풍물 스케치전('70)-제1회 아시아 청소년 농구 선수권 경기 실황('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 74회 정기연주회 가야금 협주곡 - 침향무
침향무는 황병기 작곡의 가야금 독주곡으로 널리 알려진 곡이다.
한국전통소리문화
제 76회 정기연주회 여민락령
여민락령은 여민락의 한 갈래로 관악합주로 연주하는 음악이다.
전주시립국악단 중광지곡 中 세령산
세령산은 조선 시대 풍류방 음악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음악인 ‘영산회상’의 세 번째 곡이다.
제 51회 정기연주회 새타령 외
새타령은 분류상 남도민요로 구분하나 실상은 잡가에 가깝다.
제 40회 정기 신춘대공연 놀량
민요는 민중 속에 전승 되어 온 노래로 민속 음악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한다.
제 42회 정기 연주회 장구춤
장구춤은 장구를 어깨에 비스듬히 둘러메고 여러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으로, 설장구 춤이라고도 한다.
토요상설공연 - 아름다운무희들 연가
연가는 춘향가의 사랑가를 한국무용으로 재해석 한 춤이다.
제 81회 정기연주회 방황_01
웅장함과 다양함을 펼치기보다는 응축된 고밀도의 미감을 빚어낸 곡이다.
제 74회 정기연주회 어둠속에 빛을
어둠 속의 빛을은 창작 국악 관현악곡으로 서정적인 선율이 인상적인 곡이다.
제 81회 정기연주회 흥타령, 금강산
금강산타령은 금강산의 절경을 담은 서사시체의 가사로 도드리장단에 넣어 부르는 흥겨운 곡이다.
강원도민요 강원도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은 엇모리장단에 의한 5음 음계 계면조의 곡이지만 제2 음은 쓰이지 않고 있다.
제 73회 정기연주회 진주 난봉가 주제에 의한 실내악
진주 난봉가 주제에 의한 실내악은 이준호 작곡의 곡으로 진주 난봉가의 가락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실내악곡이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