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서울지구 우수 예비군 선발대회('69)-막사이사이 시상식('69)-남대문 KAL 빌딩 준공식('69)-낙도 이동홍보단 결단식('69)-충남 대덕군 무의촌 치과 진료차 인수('69)-제4회 특수조합 업적 경진대회('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래잡이('63)-고아들을 위한 작업보도센터 설립 개소식('63)-재향군인회 전북지구 단합 촉진대회('63)-우리나라 최대 규모 어린이 놀이터 건립('63)-글라이더 명명식('63)-대형 수족관의 돌고래('63)-독일에서 수상스키대회 개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식량 절약('80)-제15회 국제 기수 초청 경마대회('80)-범시민 사이클대회('80)-제13회 대통령기 쟁탈 전국 등산대회('8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희여고 학생 봉사단('67)-민족문화센터 건립 공사('67)-전투경찰 발대식('67)-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식('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변차선 등장('81)-자연보호 수중 경진대회('81)-목각 마을('81)-오대산의 국보('81)-국제 민속 음악제('81)-제17회 쌍용기 쟁탈 전국 고등학교 농구대회('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원양어업의 주요 기지('70)-한국군 종합휴양소 준공('70)-세계 풍물 스케치전('70)-제1회 아시아 청소년 농구 선수권 경기 실황('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일촌 입주식('73)-제25회 미스터 코리아 선발대회('73)-조기 벼 수확('73)-영광의 얼굴('73)-돈을 깨끗이('7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범 운전자 표창식('70)-월남 아가씨들의 방한('70)-자동 건강측정기 도입('70)-경남모직 모직물 의상 발표회('70)-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산개발('64)-식량증산('64)-미스 유니버스 선발('64)-역도산 추모 한일 친선 프로레슬링대회('6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어촌 부업 제품 전시회('82)-제9회 전국 양잠 시범대회('82)-수화 김환기 화백 유작전('82)-경기도 강화도의 초지진의 대포('82)-전등사의 대웅전('82)-제27회 세계야구 선수권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2송년 국악대공연 가야금 협주곡 1번
가야금 협주곡 1번은 가야금이 가진 특징을 살려 협주곡으로 작곡되었다.
한국전통소리문화
수문장교대식(전주 경기전) 수문장교대식
수문장 교대식은 행렬 및 수문장의 교대 의식으로 조선 시대에는 궁성의 개폐의식, 시위의식, 행순 등이 있다.
제 74회 정기연주회 일어서는 노을
일어서는 노을은 창작 국악 관현악곡으로 강렬한 타악과 관현악과의 조화가 인상적인 곡이다.
제 40회 정기 신춘대공연 한강수 타령, 개성난봉가(박연폭포), 어랑타령, 궁초댕기
한강수타령은 한강의 풍광과 뱃놀이를 읊는 노래로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개원 20주년 기념공연 수제천
수제천은 아악에 속하는 국악합주곡으로 정읍이라고도 한다.
제 44회 정기 연주회 만파정식지곡
만파정식지곡은 취타라고도 불리며 취타란 “불고 친다.”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궁중에서 연주되던 연례악의 하나이다.
남도 들노래 진도아리랑
진도지방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한다. 아리랑의 별조로 밀양아리랑과 비슷하다.
목요상설공연 - 전북정가연구회 태평가
조선 시대 상류사회에서 애창된 시조 및 가사와 함께 정가에 드는 성악곡이다.
일요 명인전 대감타령
대감타령은 중부지방에서 대감신을 모시는 굿거리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진도축가 아리랑
아리랑은 가장 널리 알려진 민요로 많은 아리랑이 있으며 지방에 따라 가사와 곡조에 차이가 있다.
수궁가 완창 남해성 화초사거리
화초사거리는 남도잡가로 보렴, 흥타령과 같은 노래들에 이어서 부른다.
토요상설공연 - 김안윤의 춤 한량무예
한량무예란 벼슬에 오르지 못한 호반을 일컫는 말로 풍류를 알고있는 의기 있는 호협한 사나이의 별명이기도 하였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