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단양 8경('82)-괴산군 장연면 대성리 죽마을('82)-조국순례 대행진('82)-한 · 중 현대 서화전('82)-스쿠버 여름학교 수상훈련 실시('82)-서울 국제 주니어 육상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어촌 부업 제품 전시회('82)-제9회 전국 양잠 시범대회('82)-수화 김환기 화백 유작전('82)-경기도 강화도의 초지진의 대포('82)-전등사의 대웅전('82)-제27회 세계야구 선수권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복궁 서문 영추문 복원 준공('75)-청담교 준공·강남2교 개통('75)-학생들의 6·25 격전지 순례 대행군('75)-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 준공('75)-새마을 도토리 국수 공장('75)-미군 기지 위문공연('75)-제2회 세계태권도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행주대첩 기념비('63)-제9회 과학전람회('63)-제2회 상품 포장 전시회('63)-충남 애축의 날 기념행사('63)-연산교 준공('63)-덕수궁 안뜰 민속예술 미인선발대회·대관식 거행('63)-영국의 대학 축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석맞이('81)-싸우는 작은 매, F-16('81)-88올림픽 서울에('81)-마르크 샤갈 판화전('81)-제1회 도예 공모전('81)-가을천 경로잔치('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북 적십자 서한 전달('71)-프랑스 현대 유화전과 샤갈 특별 전시회('71)-자조하는 농촌('71)-제주도 시찰('71)-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식량 절약('80)-제15회 국제 기수 초청 경마대회('80)-범시민 사이클대회('80)-제13회 대통령기 쟁탈 전국 등산대회('8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좋은 상품과 나쁜 상품('70)-구의 수원지 확장사업 기공식('70)-한강맨션아파트 준공식('70)-연희동 연세맨션 아파트 상량식('70)-한국 킥복싱 챔피언 쟁탈전('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1회 국제 사무기계화 촉진 전시회('68)-상공 미술 전람회 시상('68)-국회 출입 기자단 월남 방문('68)-월남 정부가 훈장 수여('68)-미합중국 대통령 선거 앞둔 선거 전초전('68)(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뮌헨 기능올림픽 금메달 선수('73)-아시아·서태평양 지역 사회복지대회('73)-제3회 대한민국 건축과 사진 전람회('73)-여류 화가 한국화전('73)-여군창설 23주년 기념식('73)-한일 고교 야구대회 경기('7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원 23주년 기념공연 표정만방지곡 - 상령산
표정만방지곡은 관악기 위주의 영산회상으로 관악 영산회상이라고도 부른다.
한국전통소리문화
토요상설국악공연 - 김민영 판소리 지영희류 해금산조
지영희류 해금 산조의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굿거리, 자진모리장단 등으로 짜여 있다.
제 62회 정기연주회 합주곡 5번 타령주제에 의한 변주곡
합주곡 5번 타령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영산회상의 타령을 현대적인 감각의 가락으로 변주시켜 연주하는 곡이다.
제 34회 정기 국악공연 보허자
보허자는 (장춘불로지곡)으로 불리기도 하고, 주로 관악기로 편성되어 있어 ‘관악보허자’라고도 한다.
제 62회 정기연주회 신시
신시는 김영동 작곡의 곡으로 고구려 국내성 고분 발굴도를 보고 영감을 얻어 창작된 곡이라고 한다.
제 49회 정기연주회 강마을
강마을은 황의종 작곡의 곡으로 대금과 가야금만으로 이루어진 곡이다.
남도민요 살풀이춤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수건춤·즉흥무라고도 한다.
제 62회 정기연주회 수룡음
가곡 중 계면조의 평롱, 계락, 편수대엽의 반주곡을 관악기로만 연주할 수 있도록 변주된 음악이다.
목요상설공연-백제예술대 국악가요 - 배띄어
배 띄워라는 시인 구히서의 시를 박범훈이 신민요 형식으로 작곡한 경쾌한 곡이다.
제 45회 정기연주회 회심곡
회심곡은 불교의 대중적인 포교를 위해 알아듣기 쉬운 한글 사설을 민요 선율에 얹어 부르는 것이다.
제 96회 정기연주회 찔레꽃, 티끌같은 세상 이슬같은 세상, 국밥집에서
장사익은 우리 전통의 가락과 애잔한 정서를 잘 표현하는 소리꾼으로 알려졌다.
단가 모음집 만정 백발가
단가 백발가는 인생의 덧없음을 노래하며 산천경개 좋은 곳을 찾아 멋지게 놀아 보자는 내용의 단가이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