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뮌헨 기능올림픽 금메달 선수('73)-아시아·서태평양 지역 사회복지대회('73)-제3회 대한민국 건축과 사진 전람회('73)-여류 화가 한국화전('73)-여군창설 23주년 기념식('73)-한일 고교 야구대회 경기('7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한 실상 폭로('67)-크레인 준공('67)-쥐잡이 시범마을('67)-국무총리 태국 방문('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행주대첩 기념비('63)-제9회 과학전람회('63)-제2회 상품 포장 전시회('63)-충남 애축의 날 기념행사('63)-연산교 준공('63)-덕수궁 안뜰 민속예술 미인선발대회·대관식 거행('63)-영국의 대학 축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식량 절약('80)-제15회 국제 기수 초청 경마대회('80)-범시민 사이클대회('80)-제13회 대통령기 쟁탈 전국 등산대회('8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북 적십자 서한 전달('71)-프랑스 현대 유화전과 샤갈 특별 전시회('71)-자조하는 농촌('71)-제주도 시찰('71)-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래잡이('63)-고아들을 위한 작업보도센터 설립 개소식('63)-재향군인회 전북지구 단합 촉진대회('63)-우리나라 최대 규모 어린이 놀이터 건립('63)-글라이더 명명식('63)-대형 수족관의 돌고래('63)-독일에서 수상스키대회 개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3회 잼버리('67)-대북 종일방송 시작 기념식('67)-춘천방송국 중계소 준공('67)-국내 언론인단 월남 방문('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새마을('75)-아시아·태평양 지역 민속 예술제('75)-제5회 해군참모총장 컵 쟁탈 전국 조정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복궁 서문 영추문 복원 준공('75)-청담교 준공·강남2교 개통('75)-학생들의 6·25 격전지 순례 대행군('75)-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 준공('75)-새마을 도토리 국수 공장('75)-미군 기지 위문공연('75)-제2회 세계태권도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갑호부대 훈련 수료식('70)-장병들에게 버스 기증('70)-정신박약아 특수교육('70)-산악 사진전('70)-미국 부통령 내한('70)- 한일 고교 교환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원도민요 한 오백년
한 오백년은 강원도 지방의 민요. 강원도아리랑·정선아리랑과 함께 강원도 산간지방의 특유한 정서가 새겨진 민요이나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다.
한국전통소리문화
한벽예술단 달맞이, 강강술래
민요는 민속 음악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며, 일반적으로는 예술음악과 대립하는 말이지만, 반면 예술음악의 모체가 되기도 한다.
퓨전국악 그룹 - 동화 앵콜곡 2004서곡 연주
새해를 새롭게 맞이하자는 의미에서 만든 곡으로 앵콜 공연이다.
토요상설국악공연 - 나누메 무용단(2009) 심향
심향은 전통 무용이며 눈비 맞으며 오랜 세월 버텨온 비목을 묘사한 작품이다.
강원도민요 둥개 타령
둥개타령은 경기 민요로 자장가로 많이 불리는 곡이며 둥개 둥개 둥개야 둥둥둥 둥개야란 음절이 반복되는 곡이다.
제 53회 정기연주회 이조의 여인
이조의 여인은 봄이 무르익듯 무르익는 여인네의 가슴처럼 밀려왔다 쓸려가는 장단에 몸을 의지한 채 추는 춤으로 부채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제 83회 정기연주회 가야금 병창 - 반야심경
반야심경은 불교의 핵심적인 이치를 간결하고 명료하게 요약한 불교 경전의 정수에 해당한다.
강원도민요 정선아리랑
정선아리랑은 많은 토속 민요가 그렇듯 장고 장단 없이 그냥 부르는 것이 본 모습이다.
이해원의 춤 창작무용
창작무용은 무용수가 전통적인 무용이 아니라 자기의 인상, 감정, 사상 따위를 예술적으로 창작하여 표현하는 무용을 말한다.
토요상설국악공연 - 나누메 무용단(2009) 이매방 살풀이, 승무
승무는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독무로 민속무용 중 가장 예술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이리향제 줄풍류 상령산 피리독주
피리 독주곡 상령산은 흔히 유초신지곡이라고 말하는 평조회상 중에서 상령산을 말 그대로 풀어서 연주하는 곡이다.
2003 전통무용의 밤 태평무
태평무는 왕과 왕비, 그리고 태평성대를 축원하기 위하여 추는 춤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이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