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경복궁 서문 영추문 복원 준공('75)-청담교 준공·강남2교 개통('75)-학생들의 6·25 격전지 순례 대행군('75)-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 준공('75)-새마을 도토리 국수 공장('75)-미군 기지 위문공연('75)-제2회 세계태권도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원양어업의 주요 기지('70)-한국군 종합휴양소 준공('70)-세계 풍물 스케치전('70)-제1회 아시아 청소년 농구 선수권 경기 실황('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업금융채권 발행('69)-선열의 뜻을 겨레 가슴에('69)-올해는 풍년('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의 초가을('60)-로마올림픽 소식('60)-현대판 노아의 방주('60)-독일의 서커스('6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행주대첩 기념비('63)-제9회 과학전람회('63)-제2회 상품 포장 전시회('63)-충남 애축의 날 기념행사('63)-연산교 준공('63)-덕수궁 안뜰 민속예술 미인선발대회·대관식 거행('63)-영국의 대학 축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범 운전자 표창식('70)-월남 아가씨들의 방한('70)-자동 건강측정기 도입('70)-경남모직 모직물 의상 발표회('70)-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뮌헨 기능올림픽 금메달 선수('73)-아시아·서태평양 지역 사회복지대회('73)-제3회 대한민국 건축과 사진 전람회('73)-여류 화가 한국화전('73)-여군창설 23주년 기념식('73)-한일 고교 야구대회 경기('7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피해복구에 총력을('81)-과학전람회('81)-천주교 150주년 사진 전시회('81)-제31회 여군 창설 기념식('81)-길 따라 풍물 따라('81)-한일 고교 야구('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좋은 상품과 나쁜 상품('70)-구의 수원지 확장사업 기공식('70)-한강맨션아파트 준공식('70)-연희동 연세맨션 아파트 상량식('70)-한국 킥복싱 챔피언 쟁탈전('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주 방송국 개국('64)-도자기 전시('64)-아빠 선거전에 딸 한몫('64)-미래의 음악('64)-동래고와 동북고의 축구 경기('6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3 전통무용의 밤 철현금 독주 - 김영철류 산조
철현금은 거문고와 기타의 특성이 만난 악기로 소리가 날카로우며 명확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전통소리문화
제 97회 정기연주회 우락, 편수대엽
가곡은 만년장환지곡이라고도 한다. 1969년 11월 10일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다.
2000 전통무용의 밤 절화, 길타령
절화는 취타에 이어서 연주되는 관악곡으로 행악이며 길군악이고, 길타령은 행악중에 한 곡이다.
제 76회 정기연주회 단군신화
단군신화는 김영동 작곡의 곡으로 총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악과 민속악을 반반씩 섞어 창작되었다.
토요상설공연 - 千年之響(천년지향) 나니레 국악 칸타타 사랑가 - 남창_여창
국악 칸타타 사랑가는 작곡가 이경섭의 곡으로 춘향가의 눈대목인 사랑가를 재구성한 곡이다.
토요상설공연 - 나르샤 경기민요연곡<노랫가락, 태평가, 한강수타령>
노랫가락, 태평가, 한강수 타령으로 이어지는 경기민요를 나르샤의 색깔로 연주된다.
제 52회 정기연주회 춘광무
춘광무는 6명의 무원이 북쪽에 두 명 남쪽에 두 명 동서에 한 명씩 마주 서서 추는 춤으로 봄비처럼 따사로운 춤으로 모든 백성과 함께 풍요로운 한해를 기원하는 춤이다.
이해원의 춤 부채춤
부채춤은 한국의 신무용으로 한복이나 당의를 입고 양손에는 꽃 그림이나 깃털로 장식된 화려한 부채를 들고 여러 아름다운 모양을 구사하며 춘다.
제 47회 정기연주회 금강산 타령, 청산 별곡, 진도 아리랑
금강산타령은 경기잡가로 금강산의 절경을 담은 서사시체의 가사로 도드리장단에 넣어 부른다.
제 47회 정기연주회 수연장지무
수연장지곡을 타고 우리 몸의 온기를 춤으로 표현한 것이 수연장지무이다.
토요상설공연 - 千年之響(천년지향) 나니레 국악 칸타타 정읍사 남창_여창
정읍사는 작자, 연대 미상의 백제가요로 통일신라 경덕왕 이후 후백제 지방의 노래로 짐작된다.
92송년 국악대공연 사물과 소고춤
사물놀이는 북, 장구, 꽹과리, 징 네 가지 민속 타악기로 연주되는 곡 또는, 그 음악에 의한 놀이를 지칭한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