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농어촌 부업 제품 전시회('82)-제9회 전국 양잠 시범대회('82)-수화 김환기 화백 유작전('82)-경기도 강화도의 초지진의 대포('82)-전등사의 대웅전('82)-제27회 세계야구 선수권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주 방송국 개국('64)-도자기 전시('64)-아빠 선거전에 딸 한몫('64)-미래의 음악('64)-동래고와 동북고의 축구 경기('6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희여고 학생 봉사단('67)-민족문화센터 건립 공사('67)-전투경찰 발대식('67)-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식('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의 초가을('60)-로마올림픽 소식('60)-현대판 노아의 방주('60)-독일의 서커스('6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원양어업의 주요 기지('70)-한국군 종합휴양소 준공('70)-세계 풍물 스케치전('70)-제1회 아시아 청소년 농구 선수권 경기 실황('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1회 국제 사무기계화 촉진 전시회('68)-상공 미술 전람회 시상('68)-국회 출입 기자단 월남 방문('68)-월남 정부가 훈장 수여('68)-미합중국 대통령 선거 앞둔 선거 전초전('68)(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피해복구에 총력을('81)-과학전람회('81)-천주교 150주년 사진 전시회('81)-제31회 여군 창설 기념식('81)-길 따라 풍물 따라('81)-한일 고교 야구('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갑호부대 훈련 수료식('70)-장병들에게 버스 기증('70)-정신박약아 특수교육('70)-산악 사진전('70)-미국 부통령 내한('70)- 한일 고교 교환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뮌헨 기능올림픽 금메달 선수('73)-아시아·서태평양 지역 사회복지대회('73)-제3회 대한민국 건축과 사진 전람회('73)-여류 화가 한국화전('73)-여군창설 23주년 기념식('73)-한일 고교 야구대회 경기('7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3회 잼버리('67)-대북 종일방송 시작 기념식('67)-춘천방송국 중계소 준공('67)-국내 언론인단 월남 방문('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 79회 정기연주회 관현악 축연무
관현악 축연무는 박범훈 작곡의 창작 국악 관현악곡으로 흥겨운 가락이 특징인 곡이다.
한국전통소리문화
남도민요 물레타령, 진도아리랑, 우리들
남도민요는 한국의 민요를 경상도 민요와 남도민요로 크게 나누었을 때 경서도 민요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쓰이는 말이다.
전북대 무용학과 우리춤 우리들(2009) 태평무
한국의 춤 중에서 가장 기교적인 발짓춤이라 할 수 있고, 정중동의 미를 지닌 춤이다.
제 58회 정기연주회 소고춤
소고춤은 소고를 치면서 추는 농악무의 하나로, 흔히 고깔을 쓰고 원색 비단 쪽을 늘어뜨린 차림으로 춘다.
김소희 춘향전5,6 춘향가 中 춘향이 몽룡을 보내고 슬퍼하는 대목 ~ 춘향 어미가 춘향이 매 맞는 다는 말을 듣고 달려와 울며 떠드는 대목
춘향가는 판소리 여섯 마당 중의 하나이다.
전주시립국악단 대금 독주 청성곡
청성곡은 가곡 이수대엽을 변조한 태평가이며 청성자진한잎 또는 요천순일지곡이라고도 한다.
고전 무용곡 1_11
한국무용은 한국에서 예로부터 전해져 현존하는 춤이거나 소멸하여 이름만 남아 있는 춤, 혹은 새롭게 창조된 춤 양식을 총칭한다.
전북대 무용학과 우리춤 우리들_01
살풀이춤은 살풀이 굿에서 무당이 살풀이 음악에 맞춰 추던 무무에서 파생되었다.
제 59회 정기연주회 창과 관현악 - 경기 민요
경기민요는 서울, 경기, 충청도 지방에 전승 되어 오는 민요로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이다.
제 49회 정기연주회 대금독주와 관현악을 위한 산조
대금산조는 조선 후기 진도 출신의 박종기가 처음으로 만들어 연주하였다.
김형기 수궁가 中 범피중류 ~ 토끼 세상으로 나오는 대목
수궁가(水宮歌) 또는 토별가(兎鼈歌), 토끼타령, 별주부타령은 판소리 다섯 마당 중의 하나로 별주부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판소리이다.
제 92회 정기연주회 무고
가운데 무고라는 북을 놓고 8명의 무원이 여러 모양을 짜서 추는 궁중무용이며 향악정재에 속한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