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피해복구에 총력을('81)-과학전람회('81)-천주교 150주년 사진 전시회('81)-제31회 여군 창설 기념식('81)-길 따라 풍물 따라('81)-한일 고교 야구('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의 초가을('60)-로마올림픽 소식('60)-현대판 노아의 방주('60)-독일의 서커스('6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복궁 서문 영추문 복원 준공('75)-청담교 준공·강남2교 개통('75)-학생들의 6·25 격전지 순례 대행군('75)-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 준공('75)-새마을 도토리 국수 공장('75)-미군 기지 위문공연('75)-제2회 세계태권도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1회 국제 사무기계화 촉진 전시회('68)-상공 미술 전람회 시상('68)-국회 출입 기자단 월남 방문('68)-월남 정부가 훈장 수여('68)-미합중국 대통령 선거 앞둔 선거 전초전('68)(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양 8경('82)-괴산군 장연면 대성리 죽마을('82)-조국순례 대행진('82)-한 · 중 현대 서화전('82)-스쿠버 여름학교 수상훈련 실시('82)-서울 국제 주니어 육상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어촌 부업 제품 전시회('82)-제9회 전국 양잠 시범대회('82)-수화 김환기 화백 유작전('82)-경기도 강화도의 초지진의 대포('82)-전등사의 대웅전('82)-제27회 세계야구 선수권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북 적십자 서한 전달('71)-프랑스 현대 유화전과 샤갈 특별 전시회('71)-자조하는 농촌('71)-제주도 시찰('71)-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벼농사 풍년을 예상('63)-제7회 국제아동미술대회('63)-창경원의 수의사('63)-대구 문화방송국 개국('63)-전남일보사 주최 인기 스타상('63)-제16회 세계제패 단축 마라톤 대회('63)-제12차 국제군인 권투시합('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변차선 등장('81)-자연보호 수중 경진대회('81)-목각 마을('81)-오대산의 국보('81)-국제 민속 음악제('81)-제17회 쌍용기 쟁탈 전국 고등학교 농구대회('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새마을('75)-아시아·태평양 지역 민속 예술제('75)-제5회 해군참모총장 컵 쟁탈 전국 조정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 55회 정기연주회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협연
김죽파의 본명은 난초이고, 전라남도 영암에서 태어났다.
한국전통소리문화
99 전통무용의 밤 화관무
무원들이 궁중무 복식에 5색 구슬로 화려하게 장식한 화관을 쓰고 긴 색한삼을 공중에 뿌리면서 추는 춤이다.
99 전통무용의 밤 흥춤
흥춤은 우리 민족의 한을 흥과 신명으로 풀어내려는 뜻을 담은 춤으로 부채로 얼굴을 가리는 듯한 동작이 인상적이다.
제 40회 정기 신춘대공연 정악
정악은 곧 아정하며 고상하고 바르고 큰 음악이라는 말이다.
한갑득 선생 10주기 추모공연 춘향가 中 과부 어사또에게 화내는데 ~ 춘향모 기뻐노는 모습
춘향가는 판소리 여섯 마당 중의 하나이다.
제 87회 정기연주회 계룡의 혼
계룡의 혼은 창작 국악 관현악곡으로 총 5악장으로 되어 있으며 계룡 8경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창극 춘향가, 이차돈(짧게) 논매기 소리
일종의 노동요(勞動謠)로 지방마다 각기 다른 사설과 선율을 지녔다.
제 45회 정기연주회 경풍도
경풍도는 향악정재의 하나로 풍년을 축하하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며 추는 춤이다.
창극 춘향가, 이차돈(짧게) 춘향전 中 춘향 어머니 나온다
창극 춘향전은 판소리와 동일한 사랑과 자유의 숭고함, 그리고 조선조 여인의 정절을 주제로 하고 있다.
조, 서, 박, 홍석덕 집에서 조, 서, 박, 홍석덕 집에서_01
창극은 구극과 비슷하며 국극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2004 춤 도자기 만남 무고
가운데 무고라는 북을 놓고 8명의 무원이 여러 모양을 짜서 추는 궁중무용이며 향악정재에 속한다.
제 52회 정기연주회 신쾌동류,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합주
거문고산조는 거문고를 장구 반주에 곁들여 연주하는 민속 기악 독주곡이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