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갑호부대 훈련 수료식('70)-장병들에게 버스 기증('70)-정신박약아 특수교육('70)-산악 사진전('70)-미국 부통령 내한('70)- 한일 고교 교환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어촌 부업 제품 전시회('82)-제9회 전국 양잠 시범대회('82)-수화 김환기 화백 유작전('82)-경기도 강화도의 초지진의 대포('82)-전등사의 대웅전('82)-제27회 세계야구 선수권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새마을('75)-아시아·태평양 지역 민속 예술제('75)-제5회 해군참모총장 컵 쟁탈 전국 조정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원양어업의 주요 기지('70)-한국군 종합휴양소 준공('70)-세계 풍물 스케치전('70)-제1회 아시아 청소년 농구 선수권 경기 실황('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업금융채권 발행('69)-선열의 뜻을 겨레 가슴에('69)-올해는 풍년('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선광장 건설('61)-모이어 박사 내한('61)-인기 만점 거북이('61)-미녀와 사자('61)-한일 학생 농구단('6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복궁 서문 영추문 복원 준공('75)-청담교 준공·강남2교 개통('75)-학생들의 6·25 격전지 순례 대행군('75)-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 준공('75)-새마을 도토리 국수 공장('75)-미군 기지 위문공연('75)-제2회 세계태권도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범 운전자 표창식('70)-월남 아가씨들의 방한('70)-자동 건강측정기 도입('70)-경남모직 모직물 의상 발표회('70)-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래잡이('63)-고아들을 위한 작업보도센터 설립 개소식('63)-재향군인회 전북지구 단합 촉진대회('63)-우리나라 최대 규모 어린이 놀이터 건립('63)-글라이더 명명식('63)-대형 수족관의 돌고래('63)-독일에서 수상스키대회 개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행주대첩 기념비('63)-제9회 과학전람회('63)-제2회 상품 포장 전시회('63)-충남 애축의 날 기념행사('63)-연산교 준공('63)-덕수궁 안뜰 민속예술 미인선발대회·대관식 거행('63)-영국의 대학 축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 62회 정기연주회 밀양아리랑 주제에 의한 관현악
친근한 민요의 느낌과 민요가 가지고 있는 흥겨움과 신명이 관현악의 풍부한 음량으로 표현된 곡이다.
한국전통소리문화
제 46회 정기연주회 호남검무
신라 시대 황창랑 설화에 기원 된 검무는 우리 전통춤 중 가장 역사적 지속성이 질긴 춤 중의 하나이다.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거문고산조는 거문고를 장구 반주에 곁들여 연주하는 민속 기악 독주곡이다.
고전 무용곡 1_03
한국무용은 한국에서 예로부터 전해져 현존하는 춤이거나 소멸하여 이름만 남아 있는 춤, 혹은 새롭게 창조된 춤 양식을 총칭한다.
단가 모음집 만정 고왕금래
단가 고광금래는 고대 중국의 유명한 인물들의 이름을 들며 세상사가 허망하니 살아 있을 때 즐기며 놀아보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가 모음집 만정 사철가
사철가는 가장 일반적인 진도지역이 단가로 신영희를 통해서 조공례, 박동매가 전파하였다.
단가 모음집 만정 적벽부
단가 적벽부는 소동파의 적벽부를 우리말로 풀어서 부르는 것으로, 삼국시대 옛 싸움터 적벽의 아름다운 경치와 역사의 대비, 자연과 일체화하려는 소동파의 철학이 결부된 것이다.
고전 무용곡 1_대풍류1
고전 무용곡1 각시풀타령
남도민요는 한국의 민요를 경상도 민요와 남도민요로 크게 나누었을 때 경서도 민요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쓰이는 말이다.
고전 무용곡1 진도아리랑
진도지방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한다.
한국 민속 무용곡 2집_02
한국 민속 무용곡 1집_08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