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산업금융채권 발행('69)-선열의 뜻을 겨레 가슴에('69)-올해는 풍년('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양 8경('82)-괴산군 장연면 대성리 죽마을('82)-조국순례 대행진('82)-한 · 중 현대 서화전('82)-스쿠버 여름학교 수상훈련 실시('82)-서울 국제 주니어 육상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뮌헨 기능올림픽 금메달 선수('73)-아시아·서태평양 지역 사회복지대회('73)-제3회 대한민국 건축과 사진 전람회('73)-여류 화가 한국화전('73)-여군창설 23주년 기념식('73)-한일 고교 야구대회 경기('7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변차선 등장('81)-자연보호 수중 경진대회('81)-목각 마을('81)-오대산의 국보('81)-국제 민속 음악제('81)-제17회 쌍용기 쟁탈 전국 고등학교 농구대회('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석맞이('81)-싸우는 작은 매, F-16('81)-88올림픽 서울에('81)-마르크 샤갈 판화전('81)-제1회 도예 공모전('81)-가을천 경로잔치('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복궁 서문 영추문 복원 준공('75)-청담교 준공·강남2교 개통('75)-학생들의 6·25 격전지 순례 대행군('75)-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 준공('75)-새마을 도토리 국수 공장('75)-미군 기지 위문공연('75)-제2회 세계태권도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산개발('64)-식량증산('64)-미스 유니버스 선발('64)-역도산 추모 한일 친선 프로레슬링대회('6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의 초가을('60)-로마올림픽 소식('60)-현대판 노아의 방주('60)-독일의 서커스('6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1회 국제 사무기계화 촉진 전시회('68)-상공 미술 전람회 시상('68)-국회 출입 기자단 월남 방문('68)-월남 정부가 훈장 수여('68)-미합중국 대통령 선거 앞둔 선거 전초전('68)(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범 운전자 표창식('70)-월남 아가씨들의 방한('70)-자동 건강측정기 도입('70)-경남모직 모직물 의상 발표회('70)-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 32회 정기 신춘국악대공연 학무
학무는 중요무형문화재 제40호로 학의 탈을 쓰고 학의 행동과 동작을 표현한 춤이다.
한국전통소리문화
제 92회 정기연주회 대피리 협주곡 - 새날의 기쁨
대피리는 피리를 개량한 북한 악기로 음역이 한 옥타브 낮으며 중후한 느낌이 든다.
영산작법 천수바라법무
상단권공 영산작법은 육법공양과 음성공양으로 불보살님의 가피력을 입을 것을 발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제 93회 정기연주회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협연
김죽파류 가야금산조는 여성적이며 섬세한 농현이 돋보이는 산조로 이 공연에서는 국악 관현악과 협연 되었다.
동래야류
동래들놀음이라고도 부르며 외지에서는 동래야유라고 알려져 있는데 현지에서는 야유(野遊)를 야류라고 부른다.
한국 고전 무용곡 1집_06
한국무용은 한국에서 예로부터 전해져 현존하는 춤이거나 소멸하여 이름만 남아 있는 춤, 혹은 새롭게 창조된 춤 양식을 총칭한다.
한국 민속 무용곡 1집_14
영산작법 법청제
제 89회 정기연주회 통일 그날이 올때까지
통일 그날이 올 때까지는 황의종 작곡의 창작 국악 관현악곡으로 남북이 하나 되는 희망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99 전통무용의 밤 소고무
소고무는 소고를 치면서 추는 농악무의 하나로, 흔히 고깔을 쓰고 원색 비단 쪽을 늘어뜨린 차림으로 춘다.
한국 고전 무용곡 1집_04
제41회 정기 국악연주회 “6. 민속무용 - 살풀이”
살풀이춤은 남도의 무무 계통의 춤으로, 살, 즉 액을 푼다는 뜻을 가진 민속무용이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