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수산개발('64)-식량증산('64)-미스 유니버스 선발('64)-역도산 추모 한일 친선 프로레슬링대회('6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식량 절약('80)-제15회 국제 기수 초청 경마대회('80)-범시민 사이클대회('80)-제13회 대통령기 쟁탈 전국 등산대회('8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희여고 학생 봉사단('67)-민족문화센터 건립 공사('67)-전투경찰 발대식('67)-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식('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좋은 상품과 나쁜 상품('70)-구의 수원지 확장사업 기공식('70)-한강맨션아파트 준공식('70)-연희동 연세맨션 아파트 상량식('70)-한국 킥복싱 챔피언 쟁탈전('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변차선 등장('81)-자연보호 수중 경진대회('81)-목각 마을('81)-오대산의 국보('81)-국제 민속 음악제('81)-제17회 쌍용기 쟁탈 전국 고등학교 농구대회('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새마을('75)-아시아·태평양 지역 민속 예술제('75)-제5회 해군참모총장 컵 쟁탈 전국 조정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래잡이('63)-고아들을 위한 작업보도센터 설립 개소식('63)-재향군인회 전북지구 단합 촉진대회('63)-우리나라 최대 규모 어린이 놀이터 건립('63)-글라이더 명명식('63)-대형 수족관의 돌고래('63)-독일에서 수상스키대회 개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석맞이('81)-싸우는 작은 매, F-16('81)-88올림픽 서울에('81)-마르크 샤갈 판화전('81)-제1회 도예 공모전('81)-가을천 경로잔치('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갑호부대 훈련 수료식('70)-장병들에게 버스 기증('70)-정신박약아 특수교육('70)-산악 사진전('70)-미국 부통령 내한('70)- 한일 고교 교환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업금융채권 발행('69)-선열의 뜻을 겨레 가슴에('69)-올해는 풍년('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 55회 정기연주회 수제천
수제천은 아악에 속하는 국악합주곡으로 정읍이라고도 한다.
한국전통소리문화
이해원의 춤 장고춤
장고춤은 장고를 어깨에 비스듬히 둘러메고 치면서 추는 춤으로 본래 농악놀이 중 설장고 개인 놀이에서 파생된 것이다.
송파산대놀이 상좌춤놀이
상좌춤은 산대 계열의 춤으로 경기지방과 황해도에서 지방의 탈춤으로만 나타난다.
2003 전통무용의 밤 승무
승무는 1969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된 전통 무용으로,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독무이다.
개원 20주년 기념공연 회심곡
회심곡은 불교의 대중적인 포교를 위해 알아듣기 쉬운 한글 사설을 민요 선율에 얹어 부르는 것이다.
제 48회 정기연주회 가인전목단
가인전목단은 순조 무자년(戊子年 1828), 기축년(己丑年 1829)에 열린 궁중 잔치인 진연, 진작, 진찬에서 무동과 여령이 춘 춤이다.
이해원의 춤 무당춤
무당춤은 무당이 굿을 할 때 추는 춤으로 무무라고도 한다. 한국의 의식 무용 중 가장 원시적 요소가 짙으며 지방마다 춤사위가 다르다.
남도민요 한일섭제 박종선류 아쟁산조
한일섭의 가락은 박종선 ·윤윤석 등이 이어받고 있다.
한벽예술단 태평소 사물놀이_01
태평소는 나무로 만든 긴 관에 혀)를 꽂아서 부는 세로 악기로 화려하고 강렬한 음색을 지녔다.
제 56회 정기연주회 가인전목단
가인전목단은 순조 무자년, 기축년에 열린 궁중 잔치인 진연·진작·진수에서 무동과 여령이 춘 춤이다.
토요상설국악공연 - 김민영 판소리 김일구류 아쟁산조
이 곡은 진양조에서 우조 길로 짜인 가락, 진지하게 풀어가는 힘 등이 특징이다.
제 79회 정기연주회 가야금 협주곡 춘설
춘설은 황병기 작곡의 창작 가야금 독주곡이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