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대본]
여러분들은 국가무형문화재 하면 무엇이 떠오르세요?
판소리, 굿, 탈춤, 민요, 가야금 등의 공연, 예술?
아니면 매듭, 조각, 악기, 자수 등의 공예, 미술?
여기 이 모든 것들을 다~ 모아 놓은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이 있습니다.
연극, 무용, 음악, 공예 기술 따위의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국가가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지정한 역사적 또는 예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 형체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그 기능을 갖고 있는 사람이 지정의 대상이 되는 것이 국가무형문화재입니다.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은 다양한 전통공연과 전시, 체험 등을
누구나 경험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만남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8개의 예능종목 단체와 12개의 기능종목 공방이 입주해 있으며,
전시관 '결'과 '올', 공연장, 공예교육실 등이 있습니다.
전시관 ‘결’에서는 무형문화유산 홍보관 <놀이, 재>가 전시중인데요.
우리의 것들을 비추는 그림자를 통해 '무형유산이란 무엇일까?'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입힌 세계유산을 담은 영상을
ASMR과 함께 감상하기도 하고,
풀무질 소리, 갓 만드는 소리 등으로 장인들의 정신을 엿보기도 합니다.
특히, AR과 VR을 통해 무형문화유산을 체험해 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는데요.
수원화성의 성역의궤에 AR기술을 접목해
화서문, 서북공심돈, 방화수류정 등의 증강 체험을 해볼 수도 있고,
볼륨매트릭 AR은 종묘제례악, 판소리, 처용무, 택견, 진주검무,
하회별신굿, 만구대탁굿의 7가지 무형문화유산을 AR로 체험할 수 있고
조선시대 궁중 잔치의 모습을 판타지 영상으로 구현한 모습도 VR를 통해 체험 가능합니다.
보고, 듣고, 느끼는
국가무형문화재
지금,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으로
여러분들은 국가무형문화재 하면 무엇이 떠오르세요?
판소리, 굿, 탈춤, 민요, 가야금 등의 공연, 예술?
아니면 매듭, 조각, 악기, 자수 등의 공예, 미술?
여기 이 모든 것들을 다~ 모아 놓은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이 있습니다.
연극, 무용, 음악, 공예 기술 따위의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국가가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지정한 역사적 또는 예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 형체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그 기능을 갖고 있는 사람이 지정의 대상이 되는 것이 국가무형문화재입니다.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은 다양한 전통공연과 전시, 체험 등을
누구나 경험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만남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8개의 예능종목 단체와 12개의 기능종목 공방이 입주해 있으며,
전시관 '결'과 '올', 공연장, 공예교육실 등이 있습니다.
전시관 ‘결’에서는 무형문화유산 홍보관 <놀이, 재>가 전시중인데요.
우리의 것들을 비추는 그림자를 통해 '무형유산이란 무엇일까?'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입힌 세계유산을 담은 영상을
ASMR과 함께 감상하기도 하고,
풀무질 소리, 갓 만드는 소리 등으로 장인들의 정신을 엿보기도 합니다.
특히, AR과 VR을 통해 무형문화유산을 체험해 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는데요.
수원화성의 성역의궤에 AR기술을 접목해
화서문, 서북공심돈, 방화수류정 등의 증강 체험을 해볼 수도 있고,
볼륨매트릭 AR은 종묘제례악, 판소리, 처용무, 택견, 진주검무,
하회별신굿, 만구대탁굿의 7가지 무형문화유산을 AR로 체험할 수 있고
조선시대 궁중 잔치의 모습을 판타지 영상으로 구현한 모습도 VR를 통해 체험 가능합니다.
보고, 듣고, 느끼는
국가무형문화재
지금,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으로
함께 볼만한 영상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VR로 보는 판소리, 눈으로 듣는 수원화성!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