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온라인
문화체험
문화체험
문화공감
문화지식
문화알리미
문화데이터개방
회원가입
온라인 문화체험
온라인 공연ㆍ전시
전체
뮤지컬
콘서트
연극
클래식
무용
스포츠
전시/행사
국악
어린이콘텐츠
온라인 교육ㆍ체험
온라인 도서ㆍ체육
VR콘텐츠
문화체험
공연ㆍ전시
전체
음악/콘서트
뮤지컬/오페라
연극
국악
무용/발레
아동/가족
전시
기타
행사ㆍ축제
교육ㆍ체험
문화릴레이티켓
문화공간ㆍ단체
문화시설
체육시설
서점
문화예술단체
문화생활네비게이션
문화공감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문화예보
기관별영상
인문학강연
카드뉴스
웹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지식
전통문양 디자인
디자인 문양
형태별 문양
용도별 문양
활용 디자인
전통문양활용
활용 가이드
문양의 이해
전통문양 사용신청
3D프린팅콘텐츠
예술지식백과
연극
음악
무용
미술
영상
문학
건축
축제ㆍ문화
예술용어사전
연구교육자료
문화포털 API
문화알리미
이벤트
초대이벤트
문화포털 이벤트
당첨자 발표
채용ㆍ자원봉사모집
연계기관채용
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ㆍ지원사업
정책뉴스
지원사업
공지사항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자주찾는질문
서비스문의
마이페이지
개인정보수정
나의 게시물
나의 이벤트
나의 예매내역
전통문양신청내역
회원탈퇴
문화후기
바로가기
English
문화융성카드
문화데이터개방
공공문화정보 오픈 API
공지사항
참여광장
회원가입
회원가입
문화포털
검색
검색어
검색
이전
정지
재생
다음
전체메뉴
전체메뉴 펼쳐보기
온라인 문화체험
온라인 공연ㆍ전시
뮤지컬
콘서트
연극
클래식
무용
스포츠
전시/행사
국악
어린이콘텐츠
온라인 교육ㆍ체험
온라인 도서ㆍ체육
VR콘텐츠
문화체험
공연ㆍ전시
음악/콘서트
뮤지컬/오페라
연극
국악
무용/발레
아동/가족
전시
기타
행사ㆍ축제
교육ㆍ체험
문화릴레이티켓
문화공간ㆍ단체
문화시설
체육시설
서점
문화예술단체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
문화생활네비게이션
문화공감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문화예보
기관별영상
인문학강연
카드뉴스
웹진
문화SNS지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지식
전통문양 디자인
디자인 문양
형태별 문양
용도별 문양
활용 디자인
전통문양활용
활용 가이드
문양의 이해
전통문양 사용신청
3D프린팅콘텐츠
예술지식백과
연극
음악
무용
미술
영상
문학
건축
축제ㆍ문화
예술용어사전
연구교육자료
문화포털 API
문화알리미
이벤트
초대이벤트
문화포털 이벤트
당첨자 발표
채용ㆍ자원봉사모집
연계기관채용
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ㆍ지원사업
정책뉴스
지원사업
공지사항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자주찾는질문
서비스문의
마이페이지
개인정보수정
나의 게시물
나의 이벤트
나의 예매내역
전통문양신청내역
회원탈퇴
문화후기
바로가기
English
문화융성카드
문화데이터개방
공공문화정보 오픈 API
공지사항
참여광장
온라인문화체험
온라인 공연·전시
어린이콘텐츠
온라인 교육·체험
온라인 도서·체육
VR콘텐츠
문화체험
공연·전시
행사·축제
교육·체험
문화릴레이티켓
문화공간·단체
문화생활네비게이션
문화공감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카드뉴스
웹진
문화 SNS 지도
문화정보분석
문화지식
전통문양디자인
3D 프린팅 콘텐츠
예술지식백과
연구교육자료
문화포털 API
문화알리미
이벤트
채용·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ㆍ지원사업
공지사항
이용안내
마이페이지
문화데이터개방
공공문화정보 오픈 API
공지사항
참여광장
로그인
메뉴펼쳐보기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카드뉴스
웹진
문화SNS지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N티켓
티켓 예매 발권 서비스
문화후기
관람 후기 공유
홈
문화공감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주소복사
인쇄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문화예보
기관별영상
인문학강연
국내외 문화PD가 제작한 쉽고 재미있는 문화영상을 즐겨보세요.
▶
05:09
문화교육의 도시 얼쑤동래
문화교육의 도시 얼쑤동래 부산에서 교육문화특구로 지정된 동래구 동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동래에서 트래킹 장소로도 유명한 금강공원 금강공원에서는 금정산을 오를 수 있습니다 금정산을 오르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요 걸어서 금정산 정상까지 오르는 방법과 케이블카를 타고 이동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케이블카를 타면 동래의 모습들을 보며 올라갈 수 있습니다 케이블카에 내리면 전망대로 갈 수 있는데요 탁 트인 전망대에 올라 시원한 바람을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요? 다음은 동래시장입니다 시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느낌을 받으며 여러 물품, 먹거리들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시장을 따라 걷다 보면 주변과는 다른 건축물을 만날 수 있는데요 이곳이 바로 동래부 동헌입니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관아 건물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제 제 1호입니다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안쪽을 구경할 수는 없는 것이 아쉽지만 코로나가 종식이 되면 동래부 동헌에 들어가 구경하는 것은 어떨까요? 동래 복천박물관 앞에는 고분군이 있습니다 복천동 고분군에는 고분군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짧은 산책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고분군의 중심에는 야외 전시관이 있습니다 야외 전시관에는 무덤 내부에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볼 수 있습니다 삼국시대 가야의 구덩식돌넛무덤, 돌방무덤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울타리처럼 둘러져 있는 곳들이 무덤이었던 자리입니다 도심 안에 위치한 고분군이지만 어느 정도의 높이가 있어 시내를 한 눈에 담을 수 있는 풍경이 나옵니다 산책도 하고 사진도 찍을 수 있는 명소입니다 고분군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산성이 보이는데요 동래 읍성입니다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때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동남쪽으로는 동남해안으로 흘러가는 수영강이 흐르고 있어 대외, 군사적으로 요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시원한 바람과 강을 따라 산책할 수 있는 곳 이곳은 온천천입니다 온천천은 동래구, 연제구, 금정구를 흐르는 도심 하천입니다 온천천이 흐르는 구간 중 전국적으로 유명한 온천동이 있어 온천천이라는 이름이 생겼습니다 온천천은 봄에 사람이 가장 붐비는데요 온천천을 따라 조성된 벚꽃들을 보러 사람들이 옵니다 봄이 오면 벚꽃도 구경하고 온천천 위쪽에 있는 카페에 들러 맛있는 음료를 마시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2021년도에 이쁘게 핀 벚꽃나무 아래에서 사진을 찍으러 오는 것은 어떨까요?
최형규
조회수: 73
▶
04:41
오늘의 북구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부산의 북구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북구는 이름이 북구이지만 부산에서 제일 북쪽에 위치하지 않고 있다는 것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 북구는 이러한 이유로 현재 구 명칭 변경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여러 모습이 담겨있는 북구,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화명 수목원 화명 수목원입니다. 큰 면적으로 조성된 화명 수목원은 입장료 없이 관람할 수 있으며 이쁜 꽃, 나무 등을 볼 수 있는 좋은 곳입니다. 산책을 즐기기 좋은 공간일뿐더러 아이들과 함께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시설들도 있습니다 덕천생활체육공원 덕천생활체육공원에는 인공 암벽장이 조성되어 있는데요 사전에 신청하고 개인 장비를 가져와 야외에서 클라이밍을 즐길 수 있는 좋은 공간입니다 오늘 클라이밍 한번 어떠세요? 만덕 은행나무길 도로명이 은행나무로인 이곳 가을이 되면 북구에는 아주 이쁜 길이 만들어집니다 북구 디지털도서관 앞쪽에 위치한 은행나무길인데요 은행나무가 활짝 피었을 때 축제도 한다고 하니 놓치지 말고 꼭 가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구포 왜성입니다 구포 왜성을 보러 올라가다 보면 육교가 하나 있는데요 그곳에선 이런 멋진 풍경을 볼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만든 것이라 하는데요 노을이 질 때 한번 올라와 사진을 남기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화명동에는 아주 큰 공원이 있습니다 바로 화명생태공원입니다. 갈대가 많은 화명생태공원 역시 노을이 질 때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외에도 여러 체육시설이 조성되어 있으니 이쁜 풍경을 보며 산책을 즐기는 것은 어떨까요 여유롭고 힐링이 되는 이곳 화명생태공원입니다 많이 돌아다니다 보면 허기가 질 수 있습니다 허기를 달래기 위해 맛있는 냄새를 쫓아가 보면 구포시장이 있는데요 구포시장에서 허기를 달래는 것은 어떨까요? 북구에서의 마무리는 당연 만덕고개길에서 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만덕고개길에 올라 볼 수 있는 야경 야경을 바라보며 행복했던 하루를 회상하며 마무리하는 것은 어떤가요?
최형규
조회수: 52
▶
04:35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넘어서- 백남준아트센터
과학기술과 예술은 이성과 감성으로 대치되기도 한다. 하지만 백남준은 이 두 분야를 결합해 미디어 아트를 개척하였다. 백남준 스스로 백남준이 오래 사는 집이라고 명명한 백남준아트센터는 그의 정신을 이어받아서 실험적 예술활동, 창의적 학술활동을 진행한다.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시청자들이 즐길 수 있는 것들을 문화pd가 소개한다. ------------------------------------------------------------------------- 이성과 감성으로 대치되는 과학기술과 예술. 이 둘이 결합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를 구현한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미디어 아트의 개척자 백남준입니다. 그는 미디어를 이용한 예술을 모색했고, 비디오를 사용한 작품 활동을 전개하며 독보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습니다. 예술가의 역할이 미래에 대한 사유에 있다고 보고 예술을 통한 전지구적 소통과 만남을 추구했던 백남준. 백남준아트센터는 그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데 머물지 않고, 작가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도모하는 기관입니다. 백남준 스스로 백남준이 오래 사는 집이라고 명명한 곳. 백남준아트센터에 함께 가보실래요?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넘어서- 백남준아트센터 국내 유일 미디어 아트 전문 공공미술관인 백남준아트센터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습니다. 아트센터답게 거대한 거울같은 겹겹의 유리도 예술적입니다. 이 건물은 제 17회 한국건축문화대상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저 거대한 안전콘 좀 보세요! 극단적 크기를 적극적으로 다룬 데니스 오펜하임의 작품입니다. 하절기를 제외하고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할 수 있습니다. 월요일은 휴관이니 주의하시고요. 경계를 넘는 미술을 기대하며 입장했습니다. 먼저, 텔레비전 꽃송이들이 피어있는 TV정원에 들렀습니다. 자연과 기술이 어우러져 하나의 작품을 이루었네요. 이제 제1전시실로 가볼까요? 제 1전시실은 백남준의 예술에서 다양한 관점, 주제들을 끌어내어 그의 예술을 다시 살펴보는 주제 기획전 등을 진행합니다. 현재 전시중인 《백남준 티브이 웨이브》에서는 백남준의 작품을 키워드로 해서 60년대에서 80년대까지 그의 텔레비전 탐구와 실험을 조명하고 있었습니다. 이 전시에서 소개된 작품들 외에도 백남준 아트센터는 백남준과 관련 작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데요. 앞으로도 다양한 기획전에서 백남준의 예술세계와 미디어 아트를 만나보고 싶습니다. 이제 제2전시실로 올라가 볼까요? 제2전시실은 백남준의 예술을 동시대 관점에서 확장하여 살펴보는 기획전시로 구성되는데요. 진행중인 《현실 이상》에서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이해능력을 넘어선 근미래에 다원화된 타자들과 어떻게 공존할 것인지 전망하고 있습니다. 제2전시실을 나가기 전, 백남준의 작업실을 재현한 메모라빌리아에서 발걸음을 멈췄습니다. 채색도구들과 서류, 모니터와 비디오 기기, 기계 소품들과 전선들로 그의 작품 제작과정을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메모라빌리아 외에도 백남준아트센터 아카이브는 백남준과 직접 관련된 원자료들을 수집한 백남준 아카이브, 그의 비디오 작업 소스와 작업 결과물들로 구성된 비디오 아카이브, 그의 삶과 예술을 인터뷰를 통해 조명하는 인터뷰 프로젝트, 인터뷰 프로젝트, 백남준아트센터 운영 과정에서 생성된 기관기록 아카이브로 이뤄져 있습니다. 백남준아트센터 아카이브는 사전예약을 통해 연구도서관에서 현장 열람이 가능하답니다. 마지막으로, 뮤지엄숍에 들렀습니다. 백남준 관련 상품뿐 아니라 예쁘고 실용적인 상품들이 가득합니다. 오늘 이렇게 저와 함께 한 백남준아트센터,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홈페이지에서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 교육 프로그램, 학술 프로그램 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백남준이 오래 사는 집, 백남준아트센터. 여러분도 이곳에서 경계를 넘고 관계를 쌓는 미술의 힘을 느껴보시길 추천합니다.
전채윤
조회수: 197
▶
06:06
집콕문화생활_마술배우기
#영상기획 의도 문화PD 이단비의 본업은 마술사이다. 이번 영상은 마술을 활용한 콘텐츠로 집에서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생활용품을 활용한 마술배우기를 콘텐츠로 제작하고자 한다. #자막 안녕하세요 문화 PD 이단비라고 합니다 반갑습니다. 제가 문화 PD 촬영 마지막 영상을 찍는 날입니다. 그래서 제가 오늘 준비한 콘텐츠는요. 제 직업을 살린 마술 콘텐츠를 준비했습니다 뭔가 어색한 자리나 분위기를 전환시키고 싶으실 때 이 마술을 활용해보세요 그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짜잔 고무줄을 이용한 마술 보여드리도록 할게요 우선 고무줄 하나를 손가락에 넣었고요 고무줄을 끼어서 밖으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고정을 시켰습니다. 확인 되시나요? 근데 이 고무줄을 신호를 주고 한번 잡았다가 당겨주면 우와 이렇게 고무줄이 점프하는 마술입니다. 자 그럼 한번 배워볼까요? 우선 준비물을 고무줄 2개를 준비해 주세요 첫 번째 고무줄을 브이 ! 이렇게 끼어주시고요. 두 번째 고무줄은 이렇게 한 번씩 꼬아가면서 손끝을 막아주시면 됩니다. 자 근데 이 원리를 먼저 설명해드리도록 할게요 이 고무줄 점핑 마술은요 점프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이 보호막을 이렇게 통과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손등은 관객 쪽으로 손바닥은 마술사 시선으로 준비해 주세요 손바닥을 보여주시면 안 됩니다. 이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면서 고무줄이 빠져나가지 않는다고 확인을 시켜줍니다. 그때 마술사의 손바닥에서는 쭉 잡아당겼을 때 주먹 위에 고무줄을 올려놓는 겁니다. 이게 아주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잡아당기다가 주먹을 쥐었을 때 자연스럽게 손톱 위에다 올려주시는 겁니다. 손을 펴게 되면 고무줄이 이동하게 되는데요 점핑 효과를 위해 튕기는 동시에 손을 펴주었습니다. 한번 해볼게요 아주 간단합니다. 간단하니까요 한번 꼭 따라 해보세요. 자 이번에는 콧물이 날 때 쓰는 휴지를 가지고 하는 마술을 보여드릴게요 우선 휴지 하나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휴지를 잘 찢어주는 거죠. 스트레스 받은 만큼 얍얍 잘 뭉쳐주도록 하겠습니다. 하나의 공으로 만들어줄게요 그리고 이 마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팡이를 준비했습니다 지팡이로 톡톡톡 하게 되면 오 ~~ 이렇게 휴지가 달라붙어서 원상복구되는 마술입니다. 신기하신가요 ? 이것도 알려드릴게요 ~ 우선 티슈 곽 티슈가 하나 필요하고요. 마술사가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휴지 하나를 뽑아서 작은 공으로 만들어주시는 겁니다. 그리고 휴지 뒤에다가 몰래 숨겨두시면 됩니다. 휴지를 뽑을 때 미리 만들어둔 공을 잡으면서 뽑아주시면 됩니다. 이 부분이 중요하니깐 한 번 더 보여드릴게요 뽑을 때 손으로 이렇게 공을 잡아서 뽑아주시는 겁니다. 이 공은 들키지 않게 손가락 사이에 끼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휴지를 잘 찢어주시면 됩니다. 편하게 찢어주시면 되고요 자 이제 여기서 중요합니다. 휴지뭉치를 잘 뭉치면서 동시에 진짜로 찢은 휴지와 미리 만들어 둔 휴지공을 바꿔치기하시면 됩니다. 다시 한번 보여드릴게요 찢은 휴지를 뭉치면서 이렇게 올려주시면 됩니다. 아 ! 꽃가루가 필요해요 마법의 가루 꽃가루를 뿌려주겠습니다 하면서 주머니의 찢은 휴지공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다음에 휴지를 천천히 피게 되면 짜자잔 이렇게 휴지가 재생되는 마술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생활용품으로 마술을 배워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이것도 충분히 연습하지 않으면 들킬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연습 후에 활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간단하지만 재미있는 마술로 어색한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주인공이 되어보세요 그럼 안녕 ~ 사용된 BGM (https://www.youtube.com/audiolibrary) 01. Zydeco Piano Party - Media Right Productions 02. Wishful Thinking - Dan Lebowitz 03. Wutif - Lauren Duski 04. Why Did You Do It - Everet Almond 05.Without A Sound - Letter Box
이단비
조회수: 183
▶
03:19
특별전시- 대전비엔날레 2020
기획의도 대전시립미술관에서 특별전시 중인 대전비엔날레 2020 인공지능: 햇살은 유리창을 잃고에 전시 내용들을 전달해드리고자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나레이션 및 자막 기술의 발달로 예술 또한 다양한 변화가 진행됩니다. 대전 시립미술관에서 특별 전시로 진행되는 인공지능: 햇살은 유리창을 잃고를 통해 인공지능과 예술의 새로운 융합을 한번 살펴볼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홍예슬입니다. 이번 대전시립미술관에서 개최 중인 대전 비엔날레 2020 인공지능에 대한 설명을 드리려고 하는데요. 인공지능이 어떻게 예술가들이 표현하고 확장하는 도구가 되는지 살펴보는 전시를 준비했습니다. 1-2전시실에는 주로 인공지능을 가지고 예술가들이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보는데요. 시각과 청각 감각적인 부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3전시실에는 인공지능에 주요 재료인 데이터가 합리적이고 정확한지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 작가들이 있습니다. 수치로 나오는 데이터들이 맞다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부분들이 정말로 맞는 것인지 작가들이 예민한 시선을 통해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고요 마지막으로 4전시실의 새 시대 도구로서의 인공지능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예전에는 화가들이 주로 캔버스의 붓과 물감으로 그림을 표현했다면, 이제 인공지능이 하나의 붓 같은 재료로서 새로운 미술을 표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21세기형 22세기형 예술가들은 그런 인공지능 코드나 알고리즘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함께 관람하러 가 보시죠 ~ 제1전시실은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인지의 영역을 새롭게 조명한 작업들을 통해 인간 감각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6명의 작가들의 작품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제2전시실은 인공지능이 지닌 예술성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인간과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조망하는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제3전시실은 인간을 모델로 탄생한 인공지능이 인간에 의한 , 그리고 인간을 위한 독립체로서의 정체성을 지니지만, 이내 철저히 인간이지도, 기계이지도 않은 인공지능의 편향적 면모를 조명하고자 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4전시실은 학습 패턴을 하나의 도구로서 적극 활용하는 작업들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하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예술의 다양한 융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로 문화 PD가 강력 추천드립니다. 이번 주 주말은 미술관 나들이 어떠세요? 사용된 BGM (https://www.youtube.com/audiolibrary) 01. Twinkle in the Night - Aakash Gandhi 02. Unavailable Causmic 03. Ubiquitous - Diamond Ortiz
이단비
조회수: 165
전체메뉴
문화예술
문화유산
문화산업
체육
관광
생활
총
39
건
검색정보 입력
전체
국내
해외
지역
7거리
볼거리
탈거리
살거리
놀거리
느낄거리
먹을거리
잠잘거리
검색
▶
05:01
[그사람이야기] K-pop은 알지만 국악은 모르는 당신에게!_선영숙 가야금연주자 (전남 화순)
영상소개 마냥 정적이고 조용조용한 줄로만 알았던 가야금 산조 알고보면 남도 자락의 매력이 따로 있다?! 전라도를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야금 명인 선영숙을 만나보자! 자막 그사람이야기 선영숙편 구름과 마음이 쉬어가는 곳 전라남도 화순 바람을 타고 들려오는 가야금 소리 두 손으로 만들어낸 깊은 울림 인터뷰/자막 선영숙 가야금 명인 저는 김병호류 가야금산조를 보유하고 있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47호 선영숙입니다 자막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악 독주곡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인터뷰/자막 선영숙 가야금 명인 (가야금의)음색이 참 곱죠? (가야금의 음색이) 곱고 청아하고 예뻐서 그 소리에 매료가 됐는데 (연주를)하면 할수록 (소리에) 희로애락이 다 담겨있는 것 같아요 인생의 고통이라든지 즈리거움 같은 것들 자막 가야금을 연주한다는 건 가야금과 대화하는 것 대화를 하면 할수록 깊어지는 음색 Q.산조가 무엇인가요? 인터뷰/자막 선영숙 가야금 명인 산조는 한자로 풀이하자면 흩어질 산(散), 고를 조(調) 자인데 여러 가지 가락을 한데 모아서 장단에 맞춰 조화를 시킨다 그렇게 산조 한바탕이 완성되는 건데 가장 느린 곡부터 시작해서 빠른 곡으로 끝내는 거예요 자막 가야금산조의 악장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엇모리, 자진모리, 휘모리순(느린 순서부터)으로 짜여짐 인터뷰/자막 선영숙 가야금 명인 우리나라에는 가야금산조 유파가 6,7개 되거든요 그중에서 김병호류 산조도 많이 알려졌지만 접하기가 굉장히 쉽지 않은 곡이에요 그래도 다행히 제가 무형문화재가 된 후로 (예전에 비해서) 사람들이 많이 알게 됐고 많이 전승되고 있죠 자막 애수의 가을밤 가야금병창으로 떠난 님을 그리워하는 영인의 심정을 그린 노래 Q. 앞으로 무언가 꿈꾸는 바가 있다면? 인터뷰/자막 선영숙 가야금 명인 (요즘 사람들이) 국악을 하나만이라도 알고 우리 문화를 먼저 접한 다음 다른 나라의 음악에 관심을 가지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많은 아이들이 이곳에 와서 (국악을) 접하고 한 번이라도 우리 악기를 만져봤으면 해요 한 번이라도 만져보면 기억에 남거든요 자막 우리의 문화를 널리 알리고 싶고 우리의 문화를 더 키워나가고 싶은 바람 마을 주민에게도 국악을 가르치면서 명맥을 이으려 노력하는 선영숙 명인 인터뷰/자막 선영숙 가야금 명인 가야금은 저의 생명 같아요 (가야금이) 없었다면 힘든 과정을 견디기가 더 어려웠을 거예요 자막 제게 있어 가야금은 친구이자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영혼과 같아요...! 가야금을 연주하는 건 마치 가야금과 대화하는 것 같아요. 가야금과 대화를 하면 할수록, 연주에 더욱 빠져들어요. [전라도 인물편] 손이 빚어내는 울림, 가야금 연주자 선영숙
관리자
조회수: 587
▶
00:12
[우리지역문화이야기] 전라도편
우리 지역 문화이야기 전라도편을 소개합니다! 관련 링크 보기 [그사람이야기] 힐링이 필요하다면 OOO마을로 오세요!_류병덕 어류힐링문화연구자 (전북 완주) https://www.culture.go.kr/mov/culturePdView.do?idx=6666 [그사람이야기] 새파란 하늘이 빨랫줄에 내려앉았다?!_정관채 염색장 (전남 나주) https://www.culture.go.kr/mov/culturePdView.do?idx=6664 [그사람이야기] Hands Up! 다 같이 부채(?)핸썹!_김대석 접선장 (전남 담양) https://www.culture.go.kr/mov/culturePdView.do?idx=6676 [그사람이야기] K-pop은 알지만 국악은 모르는 당신에게!_선영숙 가야금연주자 (전남 화순) https://www.culture.go.kr/mov/culturePdView.do?idx=6662 자막 우리 동네 그 사람 이야기 전라도편 정관채 염색장 국가무형문화재 제11호 염색장 전통방식의 천연 쪽물염색 전라도편 김대섭 접선장 국내유일 전라도 무형문화재 50년 넘는 전통방식 부채만들기 전라도편 선영숙 가야금 명인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가야금 산조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의 계승자 전라도편 류병덕 물고기 마을 어류힐링문화연구 분야 기술보유 대한명인/세계명인 선정 그사람이야기
관리자
조회수: 277
▶
02:38
[상하이/해외문화PD]한국 전통음악의 아름다움을 알리다 - 2019 국악강좌
영상설명 지난 10월 2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주상하이한국문화원에서 2019 국악강좌가 진행됐습니다. 이번 국악강좌를 통해 중국에 한국 전통 음악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대본---------------------------------- 자막 부채춤 장구 태평무 지난 10월 2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주상하이한국문화원에서 2019 국악강좌가 진행됐습니다. 부채춤 인터뷰 부채춤에 대해 알고 있었나요? 한국의 전통무용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리고 2012년에 여수 엑스포에서 부채춤을 봤었어요. 이런 전통문화와 관련된 수업이 더 많이 있으면 좋겠어요. 장구 장구에 대해 알고 있었나요? 사극에서 본 적이 있어요. 본적만 있지 다뤄본 적은 없었습니다. 수업에 참여해보니 어떤가요? 재밌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 선생님께서 잘 가르쳐주세요. 판롱 수업에 참여해보니 어떤가요? 처음에 배우는 것부터 후에 알아가는 과정까지 다 너무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다 배우고 나니 무척 뿌듯했습니다. 태평무 황옌 수업에 참여해보니 어떤가요? 먼저 한국의 전통무용은 우아하고 자세를 바르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수업을 들으면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성과 몸매를 예쁘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평소에 문화원 활동에 많이 참여하나요? 많이 참여하는 편입니다.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고, 특히 이 지역에서 쉽게 배울 수 없는 것들을 문화원에서는 다 배울 수 있습니다. 이민혜 /강사 어릴 때부터 한국 전통예술을 하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더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이렇게 좋은 기회에 참여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게다가 중국 학생들이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열심히 수업에 참여해줬고, 같이 뜻깊은 시간을 만들어갈 수 있어서 너무 좋았어요. 자막 이번 국악강좌를 통해 중국에 한국 전통 음악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조소현
조회수: 408
▶
02:30
[홍콩/해외문화PD] 홍콩에 울린 한국의 아리랑, 국악공연 다시보기
홍콩에서 한국의 국악이 울려퍼졌습니다. 한국의 현대적 느낌의 아리랑을 들은 홍콩 사람들은 감탄을 쏟아냈습니다. 지난 10월 3일, 홍콩 조키클럽 공연장에서 아주 특별한 공연이 열렸습니다. 바로 Festive Korea의 개막공연 21세기 국악프로젝트가 열렸는데요. 공연이 시작하기 한창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 한국을 대표하는 젊은 음악인들의 무대를 기다렸습니다. 무대 위에서도 홍콩에서의 공연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는데요. 곧 이어, 모두가 기다렸던 공연이 시작되었습니다.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한국의 젊은 아티스트 공연에 홍콩 시민들은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며 한국의 음악으로 무대와 관객석은 하나가 됐습니다. 공연은 재밌었어요. 원래는 이 공연이 재밌고 야성적인지 몰랐어요. 민요와 전통 음악을 결합되었는데요. 홍콩에서 이런 공연을 보는 게 처음이네요. 한국 전통음악은 처음 들어봤는데 아름답고 신선했어요. 멜로디가 신나고 좋았어요. 저는 원래 한국 전통음악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는데 공연을 보고 나서 전통 음악이 재밌고 독창적이고 즐겁고 굉장함을 느꼈어요. 저 지금은 KPOP, 영화와 드라마 외에 또 다른 한국 문화를 알고 싶어졌어요.
우은재
조회수: 641
▶
00:53
국립국악원 업무협약식
한국문화정보원과 국립국악원이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이번 협약은 국민 모두가 우리 음악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악을 공공저작물로 등록하기 위해 체결되었습니다공공저작물은 한국문화정보원의 '공공누리' 사이트를 통해 개방되고있는국가가 공표한 저작물로, 국민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문화정보원은 국립국악원이 보유한 3000여건의 국악 관련 콘텐츠의 저작권 권리 확인을 지원합니다따라서 올해 연말부터 관련 콘텐츠들을 공공누리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국악의 한류화, 한국문화정보원이 함께합니다!
관리자
조회수: 460
▶
05:00
[홍콩/해외문화PD] 한국전통공연 : 현금무가 5분 다시보기
주홍콩한국문화원에서는 6월 전통문화주간을 맞아한국을 대표하는 樂, 歌, 舞가 어우러진 전통음악 연주회가 열렸습니다.------------------------대본-------------------------2019 한국전통공연 ‘현금무가’韓國傳統表演 《玄琴舞歌》 6월 20일, 21일 주홍콩한국문화원 다목적홀6月20, 21日 駐香港韓國文化院 多用途廳주홍콩한국문화원 한국전통문화주간을 맞아 駐香港韓國文化院於《韓國傳統文化週間》?行了한국을 대표하는 樂, 歌, 舞가 어우러진 전통음악 연주회가 열렸습니다.由代表韓國的「樂, 歌, 舞」所組成的傳統音樂演奏會-축원 祝願-태평무 太平舞-해금 거문고 산조병조 奚琴, 玄琴 散調?奏-경기민요 京畿民謠-장구춤 杖鼓舞-해금독주곡, 아리랑연곡 奚琴獨奏曲, 阿里?連奏曲-가야금병창 伽倻琴?唱-사물놀이 四物協奏
우은재
조회수: 462
▶
5:48
[LA/해외문화PD] 노래와 가야금과 거문고의 만남
제목: [LA/해외문화PD] 노래와 가야금과 거문고의 만남내레이션. 지난 11월 2일, LA한국문화원은 2018 Ari Project의 열다섯번째 무대로 지윤자 가야금 해외무형문화전승회관을 선정하여 ‘노래와 가야금과 거문고의 만남’ 공연을 개최하였습니다.자막. The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and Ji Yun Ja Gayageum Korean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Center presented the 15th Ari Project series of this year in the Ari Hall, titled, ‘An Encounter of Korean Song, Gayageum and Geomungo’ on November 2nd, 2018.인터뷰.질문. 답변. Ji Yun Ja / President, Ji Yun Ja Gayageum Korean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Center오늘 공연은요, 저희가 가야금하고 거문고가 있는데, 가야금의 세미한 거 하고 거문고의 힘찬 소리가 같이 어우러지니까 정말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 그런 콘셉트을 잡아서 오하이오에 계시는 박찬응 교수님을 모시고 한 번 했습니다.자막. Today’s concert will feature gayageum and geomungo. The delicate sounds of gayageum and the robust sounds of geomungo harmonize together to make beautiful sounds. With that concept in mind, we invited Professor Chan-eung Park as a part of this concert. 인터뷰.질문. 답변. Park Chan Eung / Professor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performance studies at The Ohio State University뭔가 새로운 것을 좀 해보자. 예를 들어서, ‘거문고하고 가야금하고 이렇게 해서 한 번 해볼까?’ ‘노래를 이렇게 해서 주거니 받거니 해볼까?’ LA가 한국의 문화를 그리워하고, 더 호기심을 갖고 그러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분들을 또 만나는 게 저는 굉장히 즐겁고 좋습니다.자막. We were thinking about doing something new. Like, “Should we put geomungo and gayageum together?” or “Should we sing back and forth?” I feel like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are nostalgic and curious about Korean culture. And to me, it’s really fun to meet them. 자막.Gayageum Byeongchang (singing and instrumentation) ‘Hallim haksa banga taryeong’가야금 병창 ‘한림학사 방아타령’자막.Gayageum Sanjo가야금 산조자막.Pansori “Ilcheol tonggok” From the Song of Chunhyang판소리 춘향가중 '일절통곡'자막.Gayageum Ensemble “Fragrance of Flower”꽃의 향기자막.Geomungo Solo거문고 솔로자막.Gayageum Geomungo Duet가야금과 거문고의 합창자막.Namdo and Gyeonggi Minyo Medley남도와 경기민요 '새타령, 오봉산, 태평가, 창부타령' 자막.Pansori Sugungga “Hare Journey's to the Water Palace”판소리 솔로 '토끼 수궁에서' 자막.Taepyongso Samulnori태평소와 사물놀이
공승은
조회수: 1,261
▶
4:4
[터키/해외문화PD] Traveling Korean Arts 정가악회 노닐다 공연
[리포트] Traveling Korean Arts 정가악회 노닐다 공연 내레이션)지난 10월 3일 오르타 도우 테크닉 대학교에서 국악단체 정가악회 노닐다 공연이 펼쳐졌습니다. 국악공연을 보기 위해 많은 관객들이 몰려와 850석의 자리가 순식간에 가득 찼습니다. 아쟁, 거문고, 피리, 장구 등 한국전통악기의 음색을 보여주는 연주가 관객들을 사로잡았습니다. 자막)알리오 Alio염양춘 Yeom-yangchun얼싸 Eolssa영정거리 Yeongjeong-geoli어차 Uh Cha 내레이션)신나는 공연에 관객들은 함께 장단을 맞추고 춤을 추는 등 즐거워했고, 인터뷰)차아르 샤키로오울랄르 / 관객 저는 10년째 한국문화원의 행사와 OT대학교의 행사를 참여하고 있는데문화원행사에서 모든 사람들이 이렇게 일어나서 춤추는 장면을 처음 봤습니다.이런 점에서 너무 좋은 행사였습니다. 내레이션)알리오, 영정거리, 얼싸, 어차 등 원곡을 재해석한 공연은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우리고유의 정서를 잘 담아냈습니다. 인터뷰)관객너무 좋았습니다. 이런 전통과 현대가 조화가 정말 매력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살아있는 공연이었습니다. 모든 관객들이 정말 흥겨워했습니다.너무 재미있었고, 정말 좋았습니다. 인터뷰)관객오늘 공연 너무 좋았습니다. 제 딸과 친구들과 함께 왔는데 너무 좋아합니다.한국과 관련된 행사가 있으면 꼭 보러 가곤 합니다. 한국의 행사를 너무 좋아하고 항상 가고 싶어 합니다. 인터뷰)선우진영 / 정가악회 타악기 연주자저희 곡 중에 ‘어차’라는 곡이 있어요. 보통 그 곡이 신나기는 하지만 노 젓는 행동을 같이 해주는 것을 보면서거의 모든 관객들이 같이 해주시는 모습을 보면서 되게 마음 속으로 감동을 많이 받았고,그런 장면을 제가 무대에서 보면서 무대에 또 한번 섰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내레이션)공연을 하며 한국 연주자와 터키 관객이 함께 즐거워하고오늘날 재해석된 많은 국악 노래를 선보인 이번 공연은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윤나은
조회수: 1,150
▶
3:17
[북경/해외문화PD] 주중한국문화원 7월 한국 문화가 있는 날 행사
주중한국문화원 7월 문화가 있는 날 - 주중한국문화원 공연장 주중한국문화원은 7월 문화가 있는 날을 맞이하여 국악 공연을 개최하였다. 이번 공연을 위해 피리정악 대취타 보존회가 초청되었다. 대취타는 국가무형문화재 제 46호로, 임금이 행차할 때 악사들이 연주하는 음악이다. 태평소, 용고, 장구, 나팔, 나각, 자바라, 징 등 8 가지 악기의 합주로 씩씩하고 장중한 분위기로 한국의 기개를 느낄 수 있었던 무대였다. - 판소리 한국인에게 익숙한 흥부전이 중국 베이징에서 울려퍼졌다. 많은 관객들이 함께 추임새를 곁들이고 호응을 해주어 공연자와 관객들이 함께 무대를 즐길 수 있었다. - 수룡음 생황과 단소로 이루어진 연주의 깊고 부드러운 음색은 많은 관객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 심향무 한국 전통 무용의 반주로 사용되는 음악인 심향무는 관객들이 가야금 연주의 정수를 볼 수 있었던 공연이었다. - 수제천 국악 협주곡 수제천은 다양한 악기로 구성된 합주이다. 생소한 한국 악기의 연주소리가 울려퍼지자 많은 중국인들이 휴대폰을 꺼내 촬영을 하는 등 많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 태평소와 사물놀이 이 날 공연의 마지막은 경쾌하고 에너지 넘치는 태평소와 사물놀이로 장식했다. 다양한 타악기들이 신명나는 리듬을 만들어내자 공연장의 열기는 한층 더 달아올랐다. 이 날 한국의 전통 음악을 감상하기 위해 많은 중국인들이 주중한국문화원을 찾았다. 중국인들에게 생소한 한국의 전통 악기 연주는 많은 중국인들에게 한국 전통 문화의 가치를 선보일 수 있었던 의미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근왕
조회수: 1,340
▶
3:35
[홍콩/해외문화PD] 《相遇:만남》
《相遇:만남》2018년 6월 21일주홍콩한국문화원 나레이션_2018년 6월 21일, 한국의 현대음악과 한국 작곡가를 소개하는 공연 만남이 열렸습니다.주홍콩한국문화원의 ‘한국 문화가 있는 날’ 으로 열린 이번 공연에는 첼리스트 이나래와 해금 연주자 윤세비가 한국 작곡가의 현대음악을 각색하여 첼로와 해금 듀엣으로 연주하였습니다.이번 공연은 클래식과 한국 전통음악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기회로 한국의 우수한 연주자와 한국의 음악을 홍콩에 알릴 수 있었습니다. 인터뷰_Venus Hui-공연관람객한국음악을 이렇게 가까이서 들은 적은 처음이에요.해금에 대해 알게 되어 좋았고요,해금은 전통적이고 아름다운 악기인 것 같습니다.해금과 첼로가 이렇게 잘 맞을지 전혀 생각지도 못했어요.이번 공연에서 접동새라는 곡이 제일 좋았어요.이번 공연에 초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무경
조회수: 1,250
▶
5:35
[LA/해외문화PD] Ari Project 무브먼트 코리아
제목: [LA/해외문화PD] Ari Project 무브먼트코리아내레이션. 지난 6월 7일, LA한국문화원 3층 아리홀에서 2018 Ari Project의 다섯번째 무대로 광개토사물놀이 예술단의 무브먼트코리아 공연이 개최되었습니다.자막. The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and Gwanggeto Samulnori had presented the 5th Ari Project series of this year at Ari Hall, titled, "Movement Korea" on June 7th, 2018.인터뷰.질문. 공연에 대한 소개와 함께 소감을 말씀해주신다면답변. Kwon Jun Sung / Art director of Gwanggeto Samulnori저는 광개토사물놀이 예술단장을 맡고 있는 권준성이라고 합니다. LA한국문화원 아리 프로젝트를 통하여 한국 문화의 신명의 에너지를 나눠드릴 수 있게 되어 굉장히 기쁜 마음입니다.자막. I’m Kwon Jun Sung, the art director of Gwanggeto Samulnori. I’m elated and honored to be able to share the vibrance of Korean groove through Ari Project of Korean Cultural Center LA.인터뷰.질문. 공연에 대한 소개와 함께 소감을 말씀해주신다면답변. Park Kyung Jin / Korean traditional vocalist네, 안녕하세요. 저는 소리꾼 박경진이라고 합니다. 우리 국악 전통과 그리고 힙합이 함께하는 융복합 퓨전 콘서트 무브먼트코리아라는 이름으로 같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무대 만들기를 희망합니다.자막. Hello, I’m Park Kyung Jin, a Korean traditional vocalist. We hope to create a stage filled with the convergent beauty of Korean tradition and hip-hop, where everyone can enjoy the performance under the name Movement Korea. 인터뷰.질문. 공연에 대한 소개와 함께 소감을 말씀해주신다면답변. Park Jin Hyoung / MB B-boys 안녕하세요, 저희는 대한민국을 대표하고 있는 비보이팀 MB 크루 마룻바닥 비보이입니다. 안녕하세요! 사물놀이의 신나는 장단에 맞춰서 비보잉을 하다보니깐, 저희도 업이 더 되고 신나는 퍼포먼스가 연출이 되는 것 같아요. 자막. Hi, we are MB b-boys. B-boying to the rhythm of Samulnori truly lifts our spirits and it seems to naturally boost the performance onto a higher level.전통 창작타악합주 “운우풍뢰-혼의 소리”Korean Traditional Drum Ensemble “Samulnori - The sound of the soul”자막.비보이 마당놀이 “코리아 Style”B-BOY Performance "Korea Style“자막.비트박스 사자탈놀이 “어흥 yo!"Beatbox Lion dance "U-heung YO!"자막.판소리비트박스 퍼포먼스 "판Beat 소리 ? 신춘향전”Pansori Beatbox New collaboration Performance "Pan Beat Sori - New Chunhyangjeon"자막.창작 연희 놀음판 “Move MentKorea”Korea Entertainment Playing "MoveMent Korea"인터뷰.질문. 공연 보신 소감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답변. Govind Menon (Father)/ Alina Menon (Daughter)my name is a Govind Menon and this is Alina. It was fantastic. We really liked it. I liked it, I liked it so much. I loved it. Loved it so much (in Korean).자막.제 이름은 고빈 메논, 제 딸 알리나입니다. 환상적인 공연이었습니다. 너무 좋았습니다.좋아해요, 너무 좋아해요.인터뷰.질문. 공연 보신 소감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답변. Katlyn / Audience Very very well done. very professional. very uplifting. just great.자막. 매우 완성도 있고, 전문성 있는 무대였어요. 신명나고 대단한 공연이었습니다. 인터뷰.질문. 공연 보신 소감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답변. Govind Menon / Alina Menon Favorite part, I like. My favorite part is the Lion dance. What was interesting was Samulnori. I liked it a lot and I thought the combination of combining the Break-dancing with tradition. That was really nice. Very well done.자막. 가장 좋았던 부분이요? 사자 좋아해요. 가장 흥미로웠던 건 사물놀이였어요. 매우 좋았고, 브레이크 댄스와 전통 음악의 결합도 정말 멋지고, 완성도 있는 무대였습니다.
공승은
조회수: 1,542
▶
1:36
[북경/해외문화PD] 주중한국문화원 4월 한국 문화가 있는 날 행사
자막_ 4월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에 걸쳐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주중한국문화원에서 연주회를 개최하였다 25일, 한중 특파원을 초청하여 문화 공연과 만찬을 가져 양국 인사들이 교류하는 의미있는 시간을 가졌다 이 날은 한국 전통 악기인 가야금과 해금, 중국의 전통악기 얼후와 양금, 몽골족 마두금의 연주를 통해 아름다운 공연을 선보였다 26일, 주중한국문화원 한중 대학생 서포터즈 2기의 발대식이 함께 진행되었다 이 날 공연을 시작으로 서포터즈는 다양한 한중문화교류행사를 기획하고 참여할 예정이다 가야금 삼중주를 시작으로 얼후와 가야금의 합주 등 풍성한 공연은 다른 나라의 선율들이 만나 하모니를 이루어 관객들의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특히 말울음 소리를 흉내낸 마두금와 얼후의 합주는 관객들에게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이근왕
조회수: 2,016
처음
이전
1
2
3
4
다음
마지막
관련기관 안내
이전
정지
재생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