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털
검색
검색어
검색
이전
정지
재생
다음
전체메뉴
전체메뉴 펼쳐보기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문화릴레이티켓
문화캘린더
문화공간·단체
문화 취약계층
장애인 문화정보
문화소외계층 문화정보
문화공감
문화TV
문화 디지털 영상
문화영상
유네스코 등재유산
한국문화100
기관별영상
문화인터뷰
공감마당
공감리포트
카드뉴스
문화마루
문화SNS 지도
웹진
문화지식
문화자료관
전통문양
디자인문양
형태별문양
용도별문양
활용디자인
전통문양특별전
3D프린팅콘텐츠
전통문양활용
문양의 이해
전통문양사용방법
예술지식백과
실감형 콘텐츠
문화알리미
문화지원사업 통합서비스
문화지원사업
보조금지원사업
문화지원사업 캘린더
문화지원사업 통계
민원행정서비스
채용·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
문화초대이벤트
문화포털API
공지사항
기타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자주찾는질문
서비스문의
마이페이지
개인정보수정
나의게시물
이벤트
English
문화홍보등록
챗봇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문화릴레이티켓
문화캘린더
문화공간·단체
문화 취약계층
문화공감
문화TV
공감마당
문화SNS 지도
웹진
문화지식
문화자료관
전통문양
예술지식백과
실감형 콘텐츠
문화알리미
문화지원사업 통합서비스
민원행정서비스
채용·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
문화초대이벤트
문화포털API
공지사항
로그인
메뉴펼쳐보기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카드뉴스
웹진
문화SNS지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N티켓
티켓 예매 발권 서비스
문화후기
관람 후기 공유
홈
문화공감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톡
주소복사
인쇄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인문학강연
국내외 문화PD가 제작한 쉽고 재미있는 문화영상을 즐겨보세요.
▶
3:10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그들이 웃는 날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사진들을 모아 AI로 영상 복원하였습니다. 흑백 사진 속 독립운동가들은 다시 움직이고, 그 순간의 표정과 시선을 통해 시대의 숨결을 후대에 전합니다. 지금, 그 역사와 마주해주세요.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 SunoAI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음원명 815_music (생성형 AI 사용)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 사용 폰트 [무료] 감탄로드고딕체(산돌구름), 코트라손글씨체(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 사용 생성형 AI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 ChatGPT, KlingAI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독립기념관의 자료를 일부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그들이 웃던 날 (대본) 나라를 빼앗긴 후 민족은 들불처럼 일어났다 그들의 싸움은 아주 작은 씨앗에서 시작되어 모든 이들을 목청껏 소리치게 했다 나라는 저물어갔지만 그 어떤것도 아까워하지 않고 헌신했다 자신의 재산도 자신의 젊음도 심지어 자신의 목숨까지도 나라를 지킬 수 있다면 손에 든 것이 무엇이든 처절하게 휘둘렀다 시대에 떠밀려 나라를 떠나왔어도 그 삶이 끝없이 척박했어도 늘 고국 생각 뿐이었다 성별도 상관 없었다 신분도 무의미했다 오직 독립 만을 꿈꿨다 너무 많은 희생 속에서 해방을 맞이하던 날 모두 달려나와 외쳤다 그리고 그들은 그제서야 웃었다 해방된 나라에서 그들의 현재를 위한 것이 아니라 먼 미래 누군가의 현재를 위해 싸웠다 그들이 웃는다 그토록 갈망했던 순간이었다
관리자
조회수: 469
▶
4:00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 기억광장을 걷다
광복은 하나의 장소에서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도시 곳곳에서 피어난 기억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역사이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단순한 구조물의 재현이 아닌, 각각의 장소가 담고 있는 상징성과 감정을 한자리에 모으는 기억의 재배치에 있다.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공간들을 한 장(場)에 엮어냄으로써, 우리는 광복이라는 거대한 이 야기를 보다 입체적이고 개인적인 방식의 경험을 유도하고자 한다. 본 영상에는 클로바더빙(CLOVA Dubbing)의 AI 보이스가 사용되었습니다. #클로바더빙 #고은 바로 가기 URL: https://clovadubbing.naver.com 사용폰트 GS칼텍스- 한용운체, GoogleXAdobe -본명조 사용음원 한국저작권위원회(https://www.copyright.or.kr/main.do) - 국악연주곡_묵념 Korean by CrazyTunes CrazyTunes Korean(유료) original_soundtrack Korea(유료) Tatamusic Korea(유료) (라이센스 보유) 본 저작물는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0920menuNo=200018, (저 작권자: 한국정책방송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0998menuNo=200018, (저 작권자: 한국정책방송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384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한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85937division=img, (저작권자: 국가유산청)]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387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418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0429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0417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6428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68363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68382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대본 여러분은 독립운동이 어디에서 일어난 사건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독립운동은 하나의 장소에서 일어난 일이 아닙니다. 서울 곳곳, 거리와 공원, 광장마다 그날의 기억은 남아 있습니다. 저는 그 흩어진 기억들을 디지털 공간 위에 다시 모아보려 합니다. 그 여정은 광화문에서 시작됩니다. 광화문은 일제에 의해 해체됐다가, 2010년이 되어서야 제자리를 되찾았습니다. 그 복원은 단순한 건축이 아니라,되찾은 기억의 상징입니다.저는 이 광장을 무대로 직접 3D 스캔한 장소들을 다시 엮어보려 합니다. 포토그래메트리는 사진을 통해 실물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식을 통해, 각기 다른 장소들을 하나의 기억 광장 안에 연결하고자 합니다. 처음 찾은 곳은 서대문독립공원입니다. 독립문은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한 자취입니다 일제의 지배가 시작되기 전, 이 문에는 자주와 개혁을 향한 민중의 뜻이 담겨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정신은, 20년 뒤 3.1 만세운동으로 이어졌습니다. 다음으로 향한 곳은 탑골공원입니다. 1919년 3월 1일, 이 평화로운 공원은 민중의 외침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 외침은 조선 전역을 흔든독립의 불꽃이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찾은 곳은 성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앞, 평화의 소녀상이 놓인 자리입니다. 이 소녀상은 평화의 나비를 품고, 우리를 향해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그 손엔 과거를 넘어, 미래와 연대를 향한 희망이 담겨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구서울역 앞 광장입니다. 이 광장에서 1919년 강우규 의사는 조선총독을 향해 폭탄을 던지며 대한의 독립정신을 알렸습니다. 서울역은 귀환의 장소이자, 목숨을 건 저항의 현장이기도 합니다. 이제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태어난 기억들을 하나의 광장에 다시 모읍니다. 현실에 존재하진 않지만, 우리가 함께 기억하고 싶은 모습입니다. 이제 광복: 기억광장을 소개하겠습니다. 독립을 향한 선언, 민중의 외침, 아직 끝나지 않은 증언, 그리고 기꺼이 맞선 저항. 이 모든 기억은 광복을 향한 여정의 일부였습니다. 도시 곳곳의 흔적과 사람들의 뜻이 모여 지금의 우리가 되었습니다. 기억은 연결될 때 힘을 가집니다. 우리가 기억할 때, 역사는 이어집니다.
관리자
조회수: 446
▶
3:19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을 기다렸던 한 청포도를 찾아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삶의 터전 서울 성북구 종암동에서 만난 독립운동가 이육사의 이야기입니다. 그의 마지막 거처 근처에 세워진 전시관 문화공간 이육사를 직접 방문해, 이 육사의 활동과 삶의 흔적을 따라가보았습니다. 그리고 [청포도] 시에 담긴 마음도 잠시 들여다보며, 지금 우리의 자리에서 그를 다시 기억해봅니다. 이육사가 간절히 기다렸던 손님 광복. 광복을 기다렸던 한 청포도를 찾아서 지금 시작합니다.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본 저작물은 Pixabay 에 따라 [ 픽사베이 https://pixabay.com/ko/music/, 제작자: BackgroundMusicForVideos,Billy_Ziogas,Huynhhoa89]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Documentary Music (무료-Pixabay/제작자: BackgroundMusicForVideos) - Classical Music (무료-Pixabay/제작자: BackgroundMusicForVideos) - Camelot Master Track (무료-Pixabay/제작자: Billy_Ziogas) - instrumental piano music (무료-Pixabay/제작자: Huynhhoa89) - 사용 폰트 (윤디자인)만세체/(류양희)고운바탕체/(산돌구름)에스코어드림/조선일보명조체/조선100년체/(정선군)정선아리랑체/ 노토 산스체/Anton체/210 디딤고딕체 (상업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이육사문학관, 국가유산청, 한국학중앙연구원, 공공누리 의 자료를 일부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문화공간 이육사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00;00;12;17 - 00;00;16;19 서울 성북구 종암동. 이 조용한 골목 안에, 00;00;16;19 - 00;00;20;06 한 시인의 흔적이 고요히 숨 쉬고 있습니다 00;00;20;06 - 00;00;24;25 강철 같은 의지로 시를 쓰고, 민족을 위해 싸웠던 이육사. 00;00;24;25 - 00;00;27;12 우리는 지금, 그를 다시 만납니다. 00;00;30;24 - 00;00;35;17 1904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이육사. 본명은 이원록. 00;00;35;17 - 00;00;39;29 그는 조국의 자유를 꿈꾸며 독립운동에 투신했고, 00;00;39;29 - 00;00;45;27 일제의 감시망 속에서 264번 수인번호를 지닌 채 옥고를 치렀습니다. 00;00;45;27 - 00;00;49;01 그 숫자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은 이유... 00;00;49;01 - 00;00;54;19 (나의)고통과 저항의 흔적을 시 속에 남기기 위함이었을지도 모릅니다 00;01;03;16 - 00;01;10;19 서울 종암동, 조용한 주택가 골목 안에 자리한 문화공간 이육사. 이곳은 시인 이육사의 거처 근처에 세워진 전시관입니다. 00;01;12;15 - 00;01;17;02 1930년대 후반, 끊임없는 투옥과 감시 속에서도 00;01;17;02 - 00;01;20;08 이육사는 서울 종암동에 터를 잡습니다. 00;01;20;08 - 00;01;27;07 V3, 내용 이곳은 그의 마지막 집이자, 광야와 절정 같은 대표작이 탄생한 공간입니다. 00;01;27;07 - 00;01;33;18 V3, 내용 이육사의 시는 단순한 언어가 아닌, 민족의 미래를 향한 간절함이었습니다. 00;01;37;00 - 00;02;07;10 1930년, 이육사는 1월 10일부터 대한청년동맹 간부라는 이유로 구속되었고, 1932년, 윤세주의 권유로 의열단장 김원봉이 설립 중인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 1기로 입교하였습니다. 1939년, 서울 종암동 62번지로 이사하였고, 1944년, 1월 16일 베이징에서 순국하였습니다. 00;02;10;05 - 00;02;15;11 전시관 안에는 이육사의 시를 직접 따라 써보는 공간도 있는데요. 00;02;17;26 - 00;02;21;08 글씨를 한 자 한 자 눌러 쓸수록, 00;02;21;08 - 00;02;28;15 시를 통해 무언가를 간절히 전하고자 했던 이육사의 마음이 조금은 느껴졌어요. 00;02;28;15 - 00;02;31;09 이육사의 대표 시 청포도. 00;02;31;09 - 00;02;36;03 이 시는 일제 강점기였던 1939년에 발표되었지만, 00;02;36;03 - 00;02;42;20 단 한 번도 억압이나 식민지라는 말 없이 강한 저항과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 00;02;42;20 - 00;02;46;21 푸른 청포도는 그가 꿈꿨던 조국의 미래였고, 00;02;46;21 - 00;02;49;28 기다리는 손님은 바로 광복이었겠죠. 00;02;49;28 - 00;02;53;22 광복 80주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00;02;54;03 - 00;02;58;05 조국을 위해 붓을 든 한 시인의 이야기 00;03;02;14 - 00;03;05;09 이육사의 시가 다시 울리는 지금, 00;03;05;09 - 00;03;08;11 우리는 그 시를 살아갑니다
관리자
조회수: 430
▶
9:29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의 땅을 걷다. 유적지에서 마주한 독립의 기억
종소리로 시작된 충청권 만세운동의 현장인 공주 제일교회, 외침이 거리를 가득 메웠던 3.1 중앙 공원, 그리고 그날의 기록을 간직한 공주 독립운동기념관. 이 공간들을 하나하나 마주하며 느낀 감정과 생각은 단순한 역사 지식이 아니라 지금 우리 삶과 연결된 살아 있는 기억이었습니다.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공주 광복 유적지를 찾아가보았습니다.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mountain-path-125573 (무료- 저작권 없음) Forest Lullabye - Asher Fulero (무료- 저작권 없음) Swans In Flight - Asher Fulero (무료- 저작권 없음) Ceremonial Library - Asher Fulero (무료- 저작권 없음) - 사용 폰트 G마켓 산스-g마켓(무료)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정림사지체 -부여군(무료)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KOHI나눔-한국보건복지개발인력원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00;00;07;00 - 00;00;10;26 V3, 1 80년 전 우리는 잃었던 나라를 되찾았습니다 00;00;11;04 - 00;00;13;29 V3, 1 수많은 이름 없는 이들의 희생과 용기 00;00;14;11 - 00;00;16;18 V3, 1 그리고 조용히 이어진 저항과 기도가 00;00;16;21 - 00;00;18;20 V3, 1 이 땅의 광복을 가능케 했습니다 00;00;19;23 - 00;00;23;22 V3, 1 공주는 충남 지역 독립운동의 중요한 거점이었습니다 00;00;23;26 - 00;00;28;13 V3, 1 31운동 이후 공주에서도 수많은 시민들이 만세 시위에 나섰고 00;00;28;13 - 00;00;33;05 V3, 1 학생, 기독교인, 지역 지식인들이 주도적으로 항일운동을 이어갔습니다 00;00;33;05 - 00;00;36;13 V3, 1 그 중심에 공주 제일교회가 있었습니다 00;00;36;13 - 00;00;40;01 V3, 1 예배당은 믿음의 공간이자 교육과 계몽 00;00;40;01 - 00;00;42;12 V3, 1 그리고 조용한 저항의 시작점이었습니다 00;00;45;14 - 00;00;49;28 V3, 1 선교사들은 이 예배당을 중심으로 충청 지역 최초로 00;00;49;28 - 00;00;52;28 V3, 1 사립인 영명 여학교와 영명 남학교를 세우고 00;00;52;28 - 00;00;55;05 V3, 1 독립 운동을 전개 했다고 합니다 00;00;55;05 - 00;00;58;20 V3, 1 이 제일 교회를 직접 걸어보고 듣고 00;00;58;20 - 00;01;02;27 V3, 1 광복의 시작이 이곳에서 어떻게 울리게 되었는지 00;01;02;27 - 00;01;07;04 V3, 1 전시실을 관람 하면서 느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1;07;04 - 00;01;09;04 V3, 1 교회에 처음 도착하면 00;01;09;04 - 00;01;12;24 V3, 1 최초 예배당이라는 문구 아래에 벽화를 볼 수 있는데요 00;01;12;24 - 00;01;19;09 V3, 1 사애리시 선생님과 유관순 열사를 표현한 벽화가 전시 되어있습니다 00;01;23;20 - 00;01;26;04 V3, 1 제일교회 기독교 박물관 내에는 00;01;26;04 - 00;01;30;04 V3, 1 약 만여점의 근대 기독교 문화 유산을 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00;01;31;16 - 00;01;34;12 V3, 1 1919년 3월 1일 이후 공주시에도 00;01;34;12 - 00;01;37;01 V3, 1 만세 시위의 물결이 확산되었습니다 00;01;37;10 - 00;01;40;25 V3, 1 공주읍 장터를 중심으로 일어난 공주의 만세 시위는 00;01;40;25 - 00;01;44;08 V3, 1 담임 목사 뿐만 아니라 공주읍 교회의 임원이며 00;01;44;08 - 00;01;47;11 V3, 1 영명학교 교사였던 이들과 영명학교 학생 등 00;01;47;11 - 00;01;50;25 V3, 1 공주지역 감리회 공동체가 주도하여 진행되었습니다 00;01;51;23 - 00;01;55;11 V3, 1 근대기 공주시 사회복지와 교육을 주도 하였으며 00;01;55;11 - 00;01;58;15 V3, 1 민족의 고난을 회피하지 않고 함께 견뎌낸 00;01;58;15 - 00;02;02;00 V3, 1 공주제일교회와 공주 기독교 박물관 예배당은 00;02;02;00 - 00;02;05;11 V3, 1 공주시 근현대사가 집약된 역사의 현장입니다 00;02;07;02 - 00;02;11;18 V3, 1 여기 보면 유관순 열사의 그릇이라고 00;02;11;18 - 00;02;14;22 V3, 1 유관순 열사가 직접 썼던 그릇까지 00;02;14;22 - 00;02;16;13 V3, 1 안에 전시가 되어있는데요 00;02;20;09 - 00;02;24;11 V3, 1 이런 것들을 보면 유관순 열사도 어린 학생이었을 텐데 00;02;24;11 - 00;02;28;08 V3, 1 독립운동을 했다는 게 같은 청년으로서 00;02;28;08 - 00;02;33;08 V3, 1 정말 마음이 무거워지고 좋지 않네요 00;02;36;11 - 00;02;38;22 V3, 1 전시관을 걷다 보면 00;02;38;22 - 00;02;41;16 V3, 1 역사책 속 이름 하나가 마음을 두드립니다 00;02;42;27 - 00;02;43;26 V3, 1 유관순 00;02;44;21 - 00;02;48;21 V3, 1 열여섯, 꽃 같은 소녀였던 그녀는 바로 이 교회에서 00;02;48;21 - 00;02;50;02 V3, 1 예배를 드렸습니다 00;02;50;20 - 00;02;55;05 V3, 1 공주 제일교회 그녀가 어린 시절 손을 모아 기도하던 이 곳은 00;02;55;05 - 00;03;00;24 V3, 1 믿음과 배움 그리고 저항의 뿌리가 함께 자라던 공간이었습니다 00;03;00;24 - 00;03;04;29 V3, 1 그리고 그 중심엔 한 부부의 조용한 헌신이 있었습니다 00;03;04;29 - 00;03;06;17 V3, 1 사애리시 00;03;06;17 - 00;03;09;08 V3, 1 그녀가 심은 믿음과 교육의 씨앗은 00;03;09;08 - 00;03;12;29 V3, 1 이 작은 제일교회 공주라는 도시에서 퍼져나가 00;03;12;29 - 00;03;15;21 V3, 1 한 민족의 깨어남으로 이어졌습니다 00;03;17;06 - 00;03;22;07 V3, 1 사애리시 선생님은 유관순 열사를 양녀로 삼고 00;03;22;07 - 00;03;25;24 V3, 1 교육을 한 유관순 열사의 첫 스승이라고 합니다 00;03;25;24 - 00;03;31;13 V3, 1 사애리시 선교사들에 관한 글들이 전시가 되어있습니다 00;03;33;02 - 00;03;36;19 V3, 1 유관순 열사가 공주에서 영명학교를 다니던 시절 00;03;36;19 - 00;03;39;10 V3, 1 이 교회를 2년간 다니면서 예배를 드렸고 00;03;39;10 - 00;03;41;23 V3, 1 민족 대표 33인 중에 1인인 00;03;41;23 - 00;03;46;04 V3, 1 신홍식 목사님과 함께 예배를 드린 장소라고 합니다 00;03;49;00 - 00;03;54;26 V3, 1 교회 앞에는 신홍식 목사님의 동상이 전시가 되어있는데요 00;03;54;26 - 00;03;59;17 V3, 1 신홍식 목사님은 3.1운동 때에 목사로서 처음으로 00;03;59;17 - 00;04;02;03 V3, 1 참여 의사를 밝힌 인물이기도 합니다 00;04;02;03 - 00;04;05;15 V3, 1 당시 체포된 그는 법정에서도 일제가 제시한 00;04;05;15 - 00;04;08;06 V3, 1 동양평화론의 허구성을 질타 하면서 00;04;08;06 - 00;04;12;10 V3, 1 독립에 대한 확신을 피력한 인물 중에 한 명이라고 합니다 00;04;12;10 - 00;04;16;09 V3, 1 교회에서 선교사들이 주도적으로 3.1운동에 참가 했다는 것은 00;04;16;09 - 00;04;18;13 V3, 1 저도 처음 안 사실이었습니다 00;04;18;13 - 00;04;23;23 V3, 1 독립운동가들에 대해서 조금 더 많이 알게 될 수 있는 기회였고 00;04;23;23 - 00;04;26;10 V3, 1 그 당시에 많은 사람들이 종교와 관련 없이 00;04;26;10 - 00;04;30;04 V3, 1 민족을 지켜내야 된다는 마음 하나만으로 00;04;30;04 - 00;04;35;07 V3, 1 독립운동을 전개 했다는 사실이 뜻깊은 경험이었습니다 00;04;35;07 - 00;04;39;10 V3, 1 그럼 저는 두 번째 장소로 이동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4;44;24 - 00;04;47;00 V3, 1 여기는 공주독립운동기념관이라고 00;04;47;00 - 00;04;52;15 V3, 1 영명중학교 영명고등학교와 같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00;04;52;15 - 00;04;57;05 V3, 1 옆으로 가시면 유관순 열사의 학교 였던 00;04;57;05 - 00;04;59;08 V3, 1 영명고등학교가 옆에 있습니다 00;04;59;29 - 00;05;04;18 V3, 1 공주독립운동기념관에는 공주와 충남지역에서 활동한 00;05;04;18 - 00;05;09;16 V3, 1 독립운동가들의 사진과 영명학교에 대한 역사가 전시 되어있습니다 00;05;10;16 - 00;05;13;10 V3, 1 이곳은 단지 한 지역의 기억을 넘어 00;05;13;10 - 00;05;17;17 V3, 1 충청권 독립운동의 중심지로서 수많은 무명의 이들이 00;05;17;17 - 00;05;20;20 V3, 1 목숨을 걸고 지켜낸 정신의 터전입니다 00;05;20;20 - 00;05;25;22 V3, 1 3.1운동 이후 공주에서는 수백명이 만세운동에 참여했고 00;05;25;22 - 00;05;28;18 V3, 1 학생과 교사까지 거리로 나섰습니다 00;05;29;27 - 00;05;34;09 V3, 1 일제의 감시 아래에서도 비밀결사 조직, 청년운동이 00;05;34;09 - 00;05;36;07 V3, 1 이곳에서 조용히 이어졌습니다 00;05;38;11 - 00;05;42;02 V3, 1 공주 거점으로 해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00;05;42;02 - 00;05;45;14 V3, 1 옛날 사진들이 벽면에 붙어 있습니다 00;05;45;14 - 00;05;48;19 V3, 1 실제 신홍식 목사님의 사진입니다 00;05;48;19 - 00;05;51;01 V3, 1 벽면에 사진을 보시면 00;05;51;01 - 00;05;56;11 V3, 1 영명학교와 관련된 옛날 사진들이 전시가 되어있습니다 00;05;56;11 - 00;06;01;29 V3, 1 1915년 7월에 촬영된 영명학교 단체 사진인데요 00;06;01;29 - 00;06;03;24 V3, 1 이 사진이 굉장히 특별한 이유는 00;06;03;24 - 00;06;08;07 V3, 1 유관순 열사의 어릴적 모습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00;06;08;07 - 00;06;12;27 V3, 1 정말 학생들이 다 어리고 조그마한 여학생들인데 00;06;12;27 - 00;06;17;03 V3, 1 이런 아이들이 자라서 항일운동의 주역이 됐다는 것이 00;06;17;03 - 00;06;20;11 V3, 1 굉장히 큰 의의가 있고 깊은 울림을 받는 00;06;20;11 - 00;06;22;20 V3, 1 그런 사진인 것 같습니다 00;06;26;00 - 00;06;29;02 V3, 1 국내 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나라의 독립을 위해서 00;06;29;02 - 00;06;32;26 V3, 1 목숨을 내걸고 독립운동에 투신한 열사들의 00;06;32;26 - 00;06;34;27 V3, 1 흔적들이 기록 되어 있는 곳입니다 00;06;34;27 - 00;06;38;22 V3, 1 일제감시대상 인물카드도 있는데 00;06;38;22 - 00;06;42;29 V3, 1 1920년대 1940년대에 걸쳐서 조선총독부에서 00;06;42;29 - 00;06;45;26 V3, 1 제작된 카드라고 추정하고 있고요 00;06;45;26 - 00;06;50;10 V3, 1 독립운동을 연구하는데 아주 귀중한 자료로 평가가 되고 있으니 00;06;50;10 - 00;06;53;26 V3, 1 여기 와서 한 번 이것도 유심히 살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00;06;53;26 - 00;06;59;20 V3, 1 성명, 본적, 출생지, 생년월일 그리고 죄명까지 00;06;59;20 - 00;07;02;26 V3, 1 공주에 왔으니까 공주시에서 활동한 00;07;02;26 - 00;07;05;16 V3, 1 독립운동가들을 한 번 찾아보겠습니다 00;07;08;18 - 00;07;10;18 V3, 1 지역별로 한 번 가볼까요 00;07;10;19 - 00;07;12;18 V3, 1 지역지도가 나오는데요 00;07;12;21 - 00;07;15;22 V3, 1 이렇게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공주에서 00;07;16;13 - 00;07;19;01 V3, 1 독립운동 전개를 했다고 합니다 00;07;19;01 - 00;07;20;12 V3, 1 클릭을 하시면 00;07;21;20 - 00;07;29;09 V3, 1 독립운동가의 성명과 출생, 본적, 설명이 간단하게 나와있어요 00;07;29;09 - 00;07;32;04 V3, 1 학생의 입장으로서 학생운동에 또 굉장히 00;07;32;18 - 00;07;34;26 V3, 1 저는 가장 많이 관심이 가게 되는 것 같아요 00;07;34;26 - 00;07;38;16 V3, 1 학생운동에는 공주에서 활동하신 독립운동가분들이 00;07;38;16 - 00;07;40;03 V3, 1 총 다섯 명 이렇게 있네요 00;07;40;17 - 00;07;44;01 V3, 1 눌러보면 똑같이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00;07;44;09 - 00;07;47;20 V3, 1 다들 정말 어린 나이에 독립운동을 하고 00;07;47;20 - 00;07;52;03 V3, 1 퇴학을 당하고 일본군에게 잡혀가고 감시의 대상이 되었다는게 00;07;52;03 - 00;07;55;17 V3, 1 정말 마음이 아프고 00;07;55;17 - 00;07;58;13 V3, 1 저라면 과연 그때 제가 그렇게 할 수 있었을까 00;07;58;13 - 00;08;02;12 V3, 1 반성과 책임의식을 갖게 하는 순간인 것 같습니다 00;08;03;10 - 00;08;08;29 V3, 1 독립운동기념관 옆에 공원이 하나 있거든요 00;08;08;29 - 00;08;13;22 V3, 1 3.1중앙공원이라고 공주에서 가장 오래된 00;08;13;22 - 00;08;15;12 V3, 1 공원으로 전해집니다 00;08;15;12 - 00;08;20;22 V3, 1 공원 뒤쪽으로 오면 유관순 열사의 일대기도 있기 때문에 00;08;21;01 - 00;08;22;29 V3, 1 일대기까지 한 번 읽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00;08;22;29 - 00;08;24;04 V3, 1 일대기까지 한 번 읽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00;08;27;14 - 00;08;30;06 V3, 1 독립 운동을 했던 유관순 열사의 00;08;30;06 - 00;08;33;29 V3, 1 일대기를 따라서 이 장소를 직접 걸어보고 00;08;33;29 - 00;08;34;01 V3, 1 자료들을 직접 보고 00;08;34;01 - 00;08;40;00 V3, 1 공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들을 직접 느껴보니까 00;08;40;00 - 00;08;46;28 V3, 1 이들이 있었기 때문에 제가 평안하고 또 자유롭게 이 나라에서 00;08;46;28 - 00;08;48;18 V3, 1 활동을 할 수 있는 것 같고요 00;08;48;18 - 00;08;51;23 V3, 1 한 번 쯤은 우리 마음 속에서 깊이 생각을 할 수 있는 00;08;51;23 - 00;08;55;28 V3, 1 그런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00;08;58;07 - 00;09;02;28 V3, 1 우리가 유적지를 찾는 이유는 단순히 역사를 배우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00;09;03;22 - 00;09;06;15 V3, 1 그날을 기억하고 지금 우리가 무엇을 지키며 00;09;06;15 - 00;09;08;20 V3, 1 살아가는지 되묻기 위해서 입니다 00;09;09;15 - 00;09;12;26 V3, 1 공주의 독립운동 유적지 세 곳을 따라 걷는 여정은 00;09;13;06 - 00;09;16;12 V3, 1 한 세기 전의 청춘들이 외쳤던 자유의 의미를 00;09;16;15 - 00;09;18;21 V3, 1 오늘의 청춘이 새기는 과정입니다
관리자
조회수: 449
▶
2:38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디지털시대, 우리가 역사 속 인물을 기억하는 방법
경기도 화성시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문기의 전시가 열린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을 방문한 김진경 문화PD..! 독립운동가 조문기의 독립운동 정신을 전시를 통해 배우고 언리얼 엔진으로 조문기의 메타휴먼을 제작한다! [고지사항] - 사용 음원 1. On DeadIy Land - 브금대통령 2. In Desert - 브금대통령 3. 6.6 - 브금대통령 **Music provided by - 브금대통령**Track : 6.6 - https://youtu.be/LrtnRjRTADE?feature=shared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Track : On Deadly Land - https://youtu.be/qfbt2catqVg? feature=shared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Track : In Desert - https://youtu.be/DEBEMV27sL4? feature=shared - 사용 폰트 프리텐다드 - 길형진(orioncactus)(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한글재민체3.0 - 박재갑(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KCC손기정체 - 한국저작권위원회(출처(저작자)만 밝히면 상업/비영리목적으로 이용가능, 2025 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사용 생성형 AI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 OOO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기획전시의 자료를 일부 촬영하여 제작 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내레이션) 독립운동가 조문기는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 태어났다. 어린시절 함께 지낸 외할아버지의 항일애국정신에 영향을 받은 조문기는 일찍이 식민지 국가의 현실을 깨닫고 독립운동을 위해 일본으로 향했다. 1945년 3월 한국으로 돌아온 조문기는 유만수와 강윤국 등과 함께 비밀결사 대한애국청년당을 조직하여, 친일파 박춘금을 비롯한 친일 거두와 식민통치기관을 처단하는 목표를 세운다. 때마침 박춘금이 부민관에서 아세아민족분격대회를 개최한다는 소식을 접한 이들은 직접 제작한 시한폭탄을 대회장에 설치하여 박춘금이 연설하고 있을 무렵 폭탄을 터트렸다. 성공적으로 마친 부민관 폭파 의거는 일제의 패망 직전까지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보여준 마지막 의거였다. 부민관 폭파 의거 이후, 1945년 8월 15일 조문기가 그토록 바라던 독립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문기는 부끄러웠다. 온전한 한 나라의 독립이 아닌 독립 이후 분단된 나라 그리고 친일파가 권력을 잡고 있는 현실에 독립운동가로서 통일된 자주 독립의 나라를 만들지 못한 죄책감 때문이었다. 광복 이후, 친일청산은 현시대의 독립운동임을 외치며 친일청산을 위해 끝까지 노력했다. 완전한 자주독립이라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떳떳한 독립운동가가 될 수 없었던 조문기는 친일청산이라는 과업을 후대에라도 전수하겠다고 다짐했다.
관리자
조회수: 448
전체메뉴
문화예술
문화유산
문화산업
체육
관광
생활
총
3,569
건
검색정보 입력
전체
국내
해외
지역
7거리
볼거리
탈거리
살거리
놀거리
느낄거리
먹을거리
잠잘거리
검색
▶
3:2
[스페인/해외문화PD] 봄을 알리는 한국 음악 (3,4월 행사 영상)
제목 봄을 알리는 한국 음악 내레이션 지난 3월과 4월, 주 스페인 한국문화원에서는 한국의 음악을 알리는 여러 초청 공연이 있었습니다. 자막 En los meses de marzo y abril, tuvimos lugar varios conciertos con el fin de dar a conocer la m?sica coreana a la sociedad espa?ola en el Centro Cultural Coreano en Espa?a. 내레이션 3월에 열린 제 4회 미니콘서트에서는 국내 몇 안되는 리코더 연주자 중 유럽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리코더리스트 최세나 씨의 리사이틀이 열렸는데요, 자막 En marzo hubo la cuarta temporada de Mini Conciertos de Sena Choi que es una artista coreana de flauta dulce, una de pocas artistas de flauta dulce en Corea del Sur y atrae mucha atenci?n en Europa. 내레이션 첼로, 루트와 함께 정통 바로크 음악의 숨결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자막 Hemos podido disfrutar de la m?sica barroca con el violoncelo y el conducto. 내레이션 4월에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한국 대표 퓨전국악밴드 고래야의 공연이 있었습니다. 자막 En abril, hemos tenido el concierto del grupo coreano de la fusi?n de la m?sica tradicional 'Coreyah'. 내레이션 특히 거문고, 장구, 대금, 소금과 같은 전통악기와 퍼커션, 기타의 만남을 더욱 풍성한 사운드를 만들어 냈습니다. 자막 Particularmente la colaboraci?n de los instrumentos tradicionales coreanos como Geomungo, Changgu, Daeguem, Sogum y los intrumentos como percusi?n y guitarra ha sido la m?s admirada. 내레이션 신나는 박자와 독특한 음색에 공연을 관람한 현지인들의 뜨거운 호응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자막 Hemos podido ver que muchos espa?oles han disfrutado mucho del concierto con los ritmos y sonidos espectaculares. 인터뷰 아드리아나 정말 흥미로운 공연이었어요. ‘고래야’ 밴드의 공연은 각기 다른 스타일, 문화, 음악의 조합이었기에 정말 좋았습니다. 루이스 정말 좋은 공연이었어요. 마드리드에 더 많은 공연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내레이션 봄의 문턱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한국 음악을 통해 한국을 좀 더 알게 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자막 Al comenzar la primavera en Madrid, hemos podido tener la oportunidad para conocer m?s Corea del Sur a trav?s de la m?sica coreana.
한주희
조회수: 4,524
▶
1:58
[이탈리아/해외문화PD] FAO 방문 프로그램 행사영상
------------------------------- 대 본 ----------------------------------주이탈리아한국문화원은 지난 10일 FAO 방문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자막 : Il giorno 10 Aprile 2017 alcuni rappresentanti della FAO hanno partecipato al programma di visita dell'Istituto Culturale Coreano프로그램은 한복체험과 함께 K-Culture 체험관을 둘러보는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자막 : I visitatori hanno provato ad indossare gli abiti tradizionali coreani Hanbok e hanno visitato la sala esposizione K-Culture Experience 그 후 문화원에서 진행되었던 재이탈리아 한국미술가협회 창립기념전을 감상하였으며 한국 소개 시간을 가져 우리나라에 대해 깊이 있게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자막 : Inoltre hanno potuto ammirare le opere in esposizione degli artisti dell' ARCOI뿐만 아니라 한지 공예 시간을 통해 손수 한지로 손거울을 만들어보아 방문객들의 흥미를 끌었습니다.자막 : I visitatori hanno imparato a realizzare uno specchio con la carta coreana Hanji 마지막 순서로 문화원장님께서 한식체험 프로그램으로 김밥을 만들기 강좌를 진행하셨습니다. 방문객들은 직접 만든 김밥을 시식하는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체험을 마무리 하였습니다.자막 : Infine il Direttore dell'Istituto Culturale Coreano ha insegnato a prepare il piatto coreano chiamato Kimbap compiacendo i visitatori.?
김민주
조회수: 3,230
▶
2:14
[도쿄/해외문화PD]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홍보존 제막식
제목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홍보존 제막식 자막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홍보존 제막식 2017년 4월 11일(화) 도쿄한국문화원 내레이션 지난 4월 11일, 도쿄에 있는 주일한국문화원에서「평창동계올림픽 홍보존」설치를 기념한 제막식 행사가 있었습니다. 한국문화원을 찾은 분들에게 1층 로비에서 평창동계올림픽을 알리는 팜플렛과 스티커, 뱃지 등의 기념품을 배포하였고, 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와 함께 인사를 나누며 사진을 찍었습니다. 제막식행사에는 이준규 주일한국대사, 최문순 강원도지사, 김현환 한국문화원장, 신상용 한국관광공사 도쿄 지사장 등이 참가하였습니다. 인터뷰최문순 강원도지사 이제 평창동계올림픽이 삼백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 평창동계올림픽은 2018년 평창, 2020년 도쿄, 그리고 2022년 베이징 올림픽으로 연결되는 세 개의 큰 메가 이벤트의 첫 번째 행사가 되겠습니다. 이 세 개의 메가이벤트를 통해서 아시아 시대를 선언하는 행사가 연이어 열리기 때문에 우리 평창동계올림픽에 많이 참가하셔서 아시아의 시대를 활짝 열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내레이션제막식 후에는 한국의 다과가 마련되어 이준규 대사를 비롯한 관계자와 일반시민이 함께 교류를 나누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한국문화원에서는 앞으로도 건물 내외 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 문화원 행사 및 외부 대형행사시 홍보부스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을 홍보할 예정입니다.
이정화
조회수: 7,730
▶
1:32
[폴란드/해외문화PD] 김매자 무용단 [Shining Light] 공연
제목? 김매자 무용단? 바르샤바 공연 ? ? 자막 김매자 무용단 공연 4월 11일 (화) 폴란드 바르샤바 문화과학궁전 (스튜디오 테아트르 대극장) ? ? 내레이션 4월 11일 화요일, ?김매자 창무 무용단의 샤이닝라이트 공연이 바르샤바 문화과학궁전 내 스튜디오 테아트르 대극장에서 열렸습니다. ? 주폴란드 한국문화원이 주최한 이번 공연 샤이닝라이트는 춤으로 세상을 밝히고 신명의 세상으로 함께 나아간다는 주제를 담아 제작된 김매자 무용단의 작품입니다. ? 무용단은 신문지로 빛을 품은 꽃을 형상화하고,해와 달의 빛을 연상시키는 조명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무대를 펼쳤습니다. 여기에 한국 창작음악그룹 ‘나무’의 연주가 더해져 밀도 높은 공연을 선보였습니다. ? 전석 매진으로 진행된 이날 공연에서는, 쇼팽의 나라 폴란드를 위해 무용단이 쇼팽 발라드 1번곡을 한국 무용으로 재해석한 특별 무대가 진행되기도 하였습니다. ? ? 자막 주폴란드 한국문화원 http://pl.korean-culture.org/ ?
김지수
조회수: 3,904
▶
1:30
[LA/해외문화PD] 2017 K-POP Night !
2017 년 3 월 29 일 수요일 , LA 한국문화원 3 층 아리홀에서 한국의 음악과 춤을 즐길 수 있는 2017 K-POP Night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 On March 29th,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held “2017 K-POP Night’ and invited local K-POP fans to share each other’s passion for Hallyu while enjoying K-POP music and dance together. ? 이번 행사를 통해, LA한국문화원은 전문 강사와 DJ를 초청하여, K-POP댄스 워크숍, K-POP댄스 배틀, K-POP 플래쉬몹 프로그램 등이 진행되어 모두가 함께 즐기는 축제의 장이 되었습니다. For this special event, KCCLA invited professional dance instructors and a DJ to hold a K-POP Dance workshop, a K-pop dance battle, and a K-POP flash mob, which was a great success.? 참가자들은 각자의 기량을 마음껏 뽐내는 프로그램을 통해 부상으로 K-POP콘서트 티켓을 얻는 기회도 주어져 더 많은 팬들이 지속적으로 K-POP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K-POP fans had a chance to show off their dance moves, and they took home K-POP concert tickets as prizes,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more people to continue building interest in K-POP as well as the Korean culture. ??
이원지
조회수: 4,819
▶
5:34
문화예보 4월 둘째주 본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 주간 문화체육관광 소식을 알려드리는 주간 문화예보의 ‘문화예보관’ 이세라입니다. 바쁜 출근 길, 창밖의 봄꽃이 마음에 여유를 주듯이, 바쁜 일상 속 시간을 쪼개 본 문화공연이 한 주의 피로회복제가 되기도 합니다. 여러분의 피로회복을 돕는 주간 문화예보,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관리자
조회수: 32,292
▶
99:99
[문화TV] 이음센터 열린콘서트 '선물' - 곰두리밴드, 딕훼밀리, 박마루
[문화TV] 이음센터 열린콘서트'선물' - 곰두리밴드, 딕훼밀리, 박마루 동네 곳곳 숨겨져 있는 문화행사를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문화TV LIVE! ? 이번 문화TV는 대학로 이음센터에서 진행된 열린콘서트 '선물'곰두리밴드, 딕훼밀리, 박마루 편 공연입니다. ? *문화TV란?국민 모두가 시간, 공간적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는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http://www.culture.go.kr ? *문화포털 문화TV 다시보기 http://www.culture.go.kr/mov/tvReviewList.do? ?
관리자
youtube
▶
5:20
문화예보 4월 첫째주 본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 주간 문화체육관광 소식을 알려드리는 주간 문화예보의 ‘문화예보관’ 이세라입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 '오늘은 어떤 즐거운 일이 기다릴까' 기대가 되곤 하는데요, 오늘도 기분 좋은 예감을 가득안고 주간 문화예보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관리자
조회수: 30,524
▶
2:30
해외문화PD 해단식&발대식 및 2018 평창 서포터즈 임명식
? 해외문화 PD 해단식 ˙ 발대식 및 2018 평창 서포터즈 임명식 2017 년 3 월 28 일 , 평창 대관령 트레이닝 센터에서 해외문화 PD 해단식 ˙ 발대식 및 2018 평창 서포터즈 임명식이 개최되었다 . ● 개회 및 참석자 소개 이날 현장에는 평창 조직위 김기홍 기획 사무차장을 비롯한 조직위 관계자 , 한국문화정보원 김소연 원장 및 임직원 , 해외문화 PD 가 참석하였다 . ● 인사말 및 격려사 ● 5 기 해외문화 PD 활동보고 영상 시사 ● 5 기 우수 활동자 상장 및 수료증 수여 ● 6 기 해외문화 PD 선서 ● 6 기 해외문화 PD 임명장 수여 해외문화 PD 는 문화원의 행사를 영상으로 기록하여 해외 한류현장을 국내에 소개하는 것은 물론 , 현지인의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한국문화 수요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 ● 2018 평창 홍보 기획영상 시사 ● 2018 평창 서포터즈 임명장 수여 올해는 평창조직위의 도움으로 해외문화 PD 가 2018 평창홍보 서포터즈로 임명되어 국내와 해외에서 2018 평창 홍보를 위한 영상을 제작하는 서포터즈 활동도 겸하게 된다 . ● 베뉴투어 및 소양교육 앞으로 , 세계 곳곳에서 활동할 해외문화 PD 6 기의 활약을 지켜봐 주세요 ! 문화포털 http://www.culture.go.kr 해외문화 PD 가 제작한 영상은 문화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관리자
조회수: 11,853
▶
5:39
[해외문화PD 기획영상] Olympic
OS와 사랑의 빠진다는 영화'HER'을 패러디하여 평창올림픽이 어떤 즐거움을 주는지를 영상에 담았습니다 ---- 대 본 ---- Olhimpic [BGM] Cylinder Six - Chris Zabriskie 소민 : 바쁜 사람들 속에 오늘 나의 하루도 바쁘게 지나간다. 시간을 따라 달리다 보니 오늘이 마무리 되고 여유와 활기는 내일로 미루어 버린다. [타이틀] him 소민 : 그를 처음 만난 건 평소와 다를 것 없었던 그 날이었다. 조금은 무료했던 오후 그는 문득 나에게 찾아왔다. [BGM] Darkest Child - Kevin Macleod [자막] him HIM : 소민씨! [BGM] First Noel Instrumental - Jingle Punks 소민 : 이렇게 걷고 있으면 HIM씨가 정말 존재하는 것 같아요. 아주 오래된 친구같이. HIM : 그럴지도 모르죠. 소민씨에게는 그런 존재이고 싶어요. HIM : 소민씨 뭐 읽어요? 소민 : 그냥요. 용기가 조금 필요한 거 같아서. HIM : 지칠 때 나한테 얘기해요. 내가 힘을 줄께요. HIM : 우리 기분전환 겸 이번 주말에 여행가는 거 어때요? 소민 : 여행이요? [BGM] Pioneers - Audionautix 소민 : 여기 풍경 너무 좋아요. 아 좋다! HIM : 평창으로 혼자 자주 여행오곤 했었는데. 오늘은 소민씨랑 함께여서 그런가 더 좋네요. 소민 : HIM씨는 왜 저한테 잘해주는 거에요? HIM : 소민씨가 다시 일어서는 모습을 보고 싶어서요. 소민씨는 밝게 웃을 때가 제일 예쁘거든요. HIM : 어쩌면 우리 예전부터 알고 있던 사이일수도 있어요. 소민 : 너를 만나러 가고 싶어. [자막] him HIM : 당신에게 줄께요. [자막] olhimpic HIM : 용기를 [자막] olympic HIM : 위로를 [자막] olympic HIM : 환호와 기쁨을
소재탁,김민주
조회수: 8,753
▶
2:35
[해외문화PD 기획영상] RUN!!
영상 기획의도 내년 2월이면 세계 어느 곳보다 더 활기차고 주목받는 곳이 되어있을 평창! 그 평창을 달리는 한 남자를 통해 평창의 관광지와 동계올림픽 종목들을 알아보는 영상 ----------대본---------- 제목 : Run!! BGM : Run (출처 : 유튜브 라이브러리) 평창행 버스에서 내린 한 남자가 평창의 관광지를 달립니다. 자막 (촬영지 및 올림픽 종목) 오대산 월정사 Snowboarding 효석 문화마을 Ski Jumping Bobsleigh Speed Skating 대관령 삼양목장
서지민,유승희
조회수: 8,690
▶
2:54
[해외문화PD 기획영상] Tasty 평창
평창의 대표적인 농·축·수산물을 활용하여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의 입맛에도 잘 맞도록 개발한 올림픽 퓨전음식 10선이 있다. 평창의 음식 세 가지(메밀파스타, 더덕롤까스, 좋은날애 사과파이)를 중점적으로 소개하며, 평창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동시에 홍보하고자 한다. 더불어 올림픽 특선메뉴 10선을 선보인 에드워드 권 셰프와의 인터뷰를 통해, 음식, 개발의 배경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심층적인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 NAR_ 가깝고도 먼 평창 . 높은 고도를 자랑하는 태백산맥에 위치한 이곳은 , 드넓은 초원과 깨끗한 자연 환경 덕분에 , 무공해 농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곳 평창에서 지역특산물로 만든 특선메뉴를 찾아 떠나볼까요 ? 서늘하고 습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메밀 . 메밀의 고장으로 알려진 평창에선 질좋은 100 퍼센트 순메밀에 간장 소스와 마늘향을 더한 메밀파스타를 맛 볼 수 있습니다 . 김윤희 _ 메밀에는 루틴이란 성분이 참 많아요 . 루틴이 몸에 혈관 청소라든가 , 이런 건강한 것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대요 . 메밀파스타는 전국에 어딜 가나 다 있겠지만 , 백프로 순메밀로 만든 파스타는 평창에 꼭 오셔야지만 드실 수 있어요 . 그래서 한국의 음식도 선보일 수도 있고 , 외국 사람들의 입맛도 살릴 수 있는 매우 고품격 음식입니다 . NAR_ 평창의 자랑거리는 메밀뿐만이 아닙니다 . 평균 해 발고도 700 미터를 자랑하는 평창은 고랭지 농업을 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어 , 우수한 품질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습니다 . 그중 강원도 더덕과 각종 야채를 얇은 등심에 말아 바삭하게 튀겨낸 더덕롤까스 ! 피로회복과 집중력 강화에 탁월할 뿐만 아니라 , 그 조화로움 또한 누구나 좋아할 맛입니다 . 그리고 평창 사과의 달콤한 맛을 페스츄리 안에 감싸 만든 “ 좋은날애 ” 사과파이 . 행복과 사랑을 듬뿍 전해주고 싶은 마음을 담은 달콤한 디저트입니다 . 에드워드권 셰프 _ 강원도 평창 특선메뉴개발자 ·EK FOOD 대표 제가 그 지역 ( 평창 ) 출신이다 보니 , 이 지역을 찾아주시는 분들에게 음식을 통한 추억을 드리고 싶었어요 . 이 음식이 지속적으로 판매가 되면서 지역 경제에 기여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요 . 다른 지역에선 볼 수 없는 음식이지만 가격도 굉장히 저렴하고 대중 분들이 오셨을 때 쉽게 주문해서 즐기실 수 있는 부분을 통해서 앞으로도 10 년 , 50 년 , 100 년을 갈 수 있는 메뉴로 이 지역에 자리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 NAR_ 오감을 만족시킬 다양한 메뉴와 함께 , 평창에 방문하는 모든 이들이 맛과 멋으로 가득한 추억을 만들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하경,이정화
조회수: 16,058
처음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마지막
관련기관 안내
이전
정지
재생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