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털
검색
검색어
검색
이전
정지
재생
다음
전체메뉴
전체메뉴 펼쳐보기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문화릴레이티켓
문화캘린더
문화공간·단체
문화 취약계층
장애인 문화정보
문화소외계층 문화정보
문화공감
문화TV
문화 디지털 영상
문화영상
유네스코 등재유산
한국문화100
기관별영상
문화인터뷰
공감마당
공감리포트
카드뉴스
문화마루
문화SNS 지도
웹진
문화지식
문화자료관
전통문양
디자인문양
형태별문양
용도별문양
활용디자인
전통문양특별전
3D프린팅콘텐츠
전통문양활용
문양의 이해
전통문양사용방법
예술지식백과
실감형 콘텐츠
문화알리미
문화지원사업 통합서비스
문화지원사업
보조금지원사업
문화지원사업 캘린더
문화지원사업 통계
민원행정서비스
채용·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
문화초대이벤트
문화포털API
공지사항
기타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자주찾는질문
서비스문의
마이페이지
개인정보수정
나의게시물
이벤트
English
문화홍보등록
챗봇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문화릴레이티켓
문화캘린더
문화공간·단체
문화 취약계층
문화공감
문화TV
공감마당
문화SNS 지도
웹진
문화지식
문화자료관
전통문양
예술지식백과
실감형 콘텐츠
문화알리미
문화지원사업 통합서비스
민원행정서비스
채용·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
문화초대이벤트
문화포털API
공지사항
로그인
메뉴펼쳐보기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카드뉴스
웹진
문화SNS지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N티켓
티켓 예매 발권 서비스
문화후기
관람 후기 공유
홈
문화공감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톡
주소복사
인쇄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인문학강연
국내외 문화PD가 제작한 쉽고 재미있는 문화영상을 즐겨보세요.
▶
3:10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그들이 웃는 날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사진들을 모아 AI로 영상 복원하였습니다. 흑백 사진 속 독립운동가들은 다시 움직이고, 그 순간의 표정과 시선을 통해 시대의 숨결을 후대에 전합니다. 지금, 그 역사와 마주해주세요.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 SunoAI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음원명 815_music (생성형 AI 사용)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 사용 폰트 [무료] 감탄로드고딕체(산돌구름), 코트라손글씨체(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 사용 생성형 AI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 ChatGPT, KlingAI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독립기념관의 자료를 일부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그들이 웃던 날 (대본) 나라를 빼앗긴 후 민족은 들불처럼 일어났다 그들의 싸움은 아주 작은 씨앗에서 시작되어 모든 이들을 목청껏 소리치게 했다 나라는 저물어갔지만 그 어떤것도 아까워하지 않고 헌신했다 자신의 재산도 자신의 젊음도 심지어 자신의 목숨까지도 나라를 지킬 수 있다면 손에 든 것이 무엇이든 처절하게 휘둘렀다 시대에 떠밀려 나라를 떠나왔어도 그 삶이 끝없이 척박했어도 늘 고국 생각 뿐이었다 성별도 상관 없었다 신분도 무의미했다 오직 독립 만을 꿈꿨다 너무 많은 희생 속에서 해방을 맞이하던 날 모두 달려나와 외쳤다 그리고 그들은 그제서야 웃었다 해방된 나라에서 그들의 현재를 위한 것이 아니라 먼 미래 누군가의 현재를 위해 싸웠다 그들이 웃는다 그토록 갈망했던 순간이었다
관리자
조회수: 469
▶
4:00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 기억광장을 걷다
광복은 하나의 장소에서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도시 곳곳에서 피어난 기억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역사이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단순한 구조물의 재현이 아닌, 각각의 장소가 담고 있는 상징성과 감정을 한자리에 모으는 기억의 재배치에 있다.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공간들을 한 장(場)에 엮어냄으로써, 우리는 광복이라는 거대한 이 야기를 보다 입체적이고 개인적인 방식의 경험을 유도하고자 한다. 본 영상에는 클로바더빙(CLOVA Dubbing)의 AI 보이스가 사용되었습니다. #클로바더빙 #고은 바로 가기 URL: https://clovadubbing.naver.com 사용폰트 GS칼텍스- 한용운체, GoogleXAdobe -본명조 사용음원 한국저작권위원회(https://www.copyright.or.kr/main.do) - 국악연주곡_묵념 Korean by CrazyTunes CrazyTunes Korean(유료) original_soundtrack Korea(유료) Tatamusic Korea(유료) (라이센스 보유) 본 저작물는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0920menuNo=200018, (저 작권자: 한국정책방송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0998menuNo=200018, (저 작권자: 한국정책방송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384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한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85937division=img, (저작권자: 국가유산청)]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387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418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0429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0417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6428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68363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68382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대본 여러분은 독립운동이 어디에서 일어난 사건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독립운동은 하나의 장소에서 일어난 일이 아닙니다. 서울 곳곳, 거리와 공원, 광장마다 그날의 기억은 남아 있습니다. 저는 그 흩어진 기억들을 디지털 공간 위에 다시 모아보려 합니다. 그 여정은 광화문에서 시작됩니다. 광화문은 일제에 의해 해체됐다가, 2010년이 되어서야 제자리를 되찾았습니다. 그 복원은 단순한 건축이 아니라,되찾은 기억의 상징입니다.저는 이 광장을 무대로 직접 3D 스캔한 장소들을 다시 엮어보려 합니다. 포토그래메트리는 사진을 통해 실물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식을 통해, 각기 다른 장소들을 하나의 기억 광장 안에 연결하고자 합니다. 처음 찾은 곳은 서대문독립공원입니다. 독립문은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한 자취입니다 일제의 지배가 시작되기 전, 이 문에는 자주와 개혁을 향한 민중의 뜻이 담겨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정신은, 20년 뒤 3.1 만세운동으로 이어졌습니다. 다음으로 향한 곳은 탑골공원입니다. 1919년 3월 1일, 이 평화로운 공원은 민중의 외침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 외침은 조선 전역을 흔든독립의 불꽃이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찾은 곳은 성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앞, 평화의 소녀상이 놓인 자리입니다. 이 소녀상은 평화의 나비를 품고, 우리를 향해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그 손엔 과거를 넘어, 미래와 연대를 향한 희망이 담겨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구서울역 앞 광장입니다. 이 광장에서 1919년 강우규 의사는 조선총독을 향해 폭탄을 던지며 대한의 독립정신을 알렸습니다. 서울역은 귀환의 장소이자, 목숨을 건 저항의 현장이기도 합니다. 이제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태어난 기억들을 하나의 광장에 다시 모읍니다. 현실에 존재하진 않지만, 우리가 함께 기억하고 싶은 모습입니다. 이제 광복: 기억광장을 소개하겠습니다. 독립을 향한 선언, 민중의 외침, 아직 끝나지 않은 증언, 그리고 기꺼이 맞선 저항. 이 모든 기억은 광복을 향한 여정의 일부였습니다. 도시 곳곳의 흔적과 사람들의 뜻이 모여 지금의 우리가 되었습니다. 기억은 연결될 때 힘을 가집니다. 우리가 기억할 때, 역사는 이어집니다.
관리자
조회수: 446
▶
3:19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을 기다렸던 한 청포도를 찾아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삶의 터전 서울 성북구 종암동에서 만난 독립운동가 이육사의 이야기입니다. 그의 마지막 거처 근처에 세워진 전시관 문화공간 이육사를 직접 방문해, 이 육사의 활동과 삶의 흔적을 따라가보았습니다. 그리고 [청포도] 시에 담긴 마음도 잠시 들여다보며, 지금 우리의 자리에서 그를 다시 기억해봅니다. 이육사가 간절히 기다렸던 손님 광복. 광복을 기다렸던 한 청포도를 찾아서 지금 시작합니다.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본 저작물은 Pixabay 에 따라 [ 픽사베이 https://pixabay.com/ko/music/, 제작자: BackgroundMusicForVideos,Billy_Ziogas,Huynhhoa89]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Documentary Music (무료-Pixabay/제작자: BackgroundMusicForVideos) - Classical Music (무료-Pixabay/제작자: BackgroundMusicForVideos) - Camelot Master Track (무료-Pixabay/제작자: Billy_Ziogas) - instrumental piano music (무료-Pixabay/제작자: Huynhhoa89) - 사용 폰트 (윤디자인)만세체/(류양희)고운바탕체/(산돌구름)에스코어드림/조선일보명조체/조선100년체/(정선군)정선아리랑체/ 노토 산스체/Anton체/210 디딤고딕체 (상업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이육사문학관, 국가유산청, 한국학중앙연구원, 공공누리 의 자료를 일부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문화공간 이육사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00;00;12;17 - 00;00;16;19 서울 성북구 종암동. 이 조용한 골목 안에, 00;00;16;19 - 00;00;20;06 한 시인의 흔적이 고요히 숨 쉬고 있습니다 00;00;20;06 - 00;00;24;25 강철 같은 의지로 시를 쓰고, 민족을 위해 싸웠던 이육사. 00;00;24;25 - 00;00;27;12 우리는 지금, 그를 다시 만납니다. 00;00;30;24 - 00;00;35;17 1904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이육사. 본명은 이원록. 00;00;35;17 - 00;00;39;29 그는 조국의 자유를 꿈꾸며 독립운동에 투신했고, 00;00;39;29 - 00;00;45;27 일제의 감시망 속에서 264번 수인번호를 지닌 채 옥고를 치렀습니다. 00;00;45;27 - 00;00;49;01 그 숫자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은 이유... 00;00;49;01 - 00;00;54;19 (나의)고통과 저항의 흔적을 시 속에 남기기 위함이었을지도 모릅니다 00;01;03;16 - 00;01;10;19 서울 종암동, 조용한 주택가 골목 안에 자리한 문화공간 이육사. 이곳은 시인 이육사의 거처 근처에 세워진 전시관입니다. 00;01;12;15 - 00;01;17;02 1930년대 후반, 끊임없는 투옥과 감시 속에서도 00;01;17;02 - 00;01;20;08 이육사는 서울 종암동에 터를 잡습니다. 00;01;20;08 - 00;01;27;07 V3, 내용 이곳은 그의 마지막 집이자, 광야와 절정 같은 대표작이 탄생한 공간입니다. 00;01;27;07 - 00;01;33;18 V3, 내용 이육사의 시는 단순한 언어가 아닌, 민족의 미래를 향한 간절함이었습니다. 00;01;37;00 - 00;02;07;10 1930년, 이육사는 1월 10일부터 대한청년동맹 간부라는 이유로 구속되었고, 1932년, 윤세주의 권유로 의열단장 김원봉이 설립 중인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 1기로 입교하였습니다. 1939년, 서울 종암동 62번지로 이사하였고, 1944년, 1월 16일 베이징에서 순국하였습니다. 00;02;10;05 - 00;02;15;11 전시관 안에는 이육사의 시를 직접 따라 써보는 공간도 있는데요. 00;02;17;26 - 00;02;21;08 글씨를 한 자 한 자 눌러 쓸수록, 00;02;21;08 - 00;02;28;15 시를 통해 무언가를 간절히 전하고자 했던 이육사의 마음이 조금은 느껴졌어요. 00;02;28;15 - 00;02;31;09 이육사의 대표 시 청포도. 00;02;31;09 - 00;02;36;03 이 시는 일제 강점기였던 1939년에 발표되었지만, 00;02;36;03 - 00;02;42;20 단 한 번도 억압이나 식민지라는 말 없이 강한 저항과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 00;02;42;20 - 00;02;46;21 푸른 청포도는 그가 꿈꿨던 조국의 미래였고, 00;02;46;21 - 00;02;49;28 기다리는 손님은 바로 광복이었겠죠. 00;02;49;28 - 00;02;53;22 광복 80주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00;02;54;03 - 00;02;58;05 조국을 위해 붓을 든 한 시인의 이야기 00;03;02;14 - 00;03;05;09 이육사의 시가 다시 울리는 지금, 00;03;05;09 - 00;03;08;11 우리는 그 시를 살아갑니다
관리자
조회수: 430
▶
9:29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의 땅을 걷다. 유적지에서 마주한 독립의 기억
종소리로 시작된 충청권 만세운동의 현장인 공주 제일교회, 외침이 거리를 가득 메웠던 3.1 중앙 공원, 그리고 그날의 기록을 간직한 공주 독립운동기념관. 이 공간들을 하나하나 마주하며 느낀 감정과 생각은 단순한 역사 지식이 아니라 지금 우리 삶과 연결된 살아 있는 기억이었습니다.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공주 광복 유적지를 찾아가보았습니다.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mountain-path-125573 (무료- 저작권 없음) Forest Lullabye - Asher Fulero (무료- 저작권 없음) Swans In Flight - Asher Fulero (무료- 저작권 없음) Ceremonial Library - Asher Fulero (무료- 저작권 없음) - 사용 폰트 G마켓 산스-g마켓(무료)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정림사지체 -부여군(무료)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KOHI나눔-한국보건복지개발인력원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00;00;07;00 - 00;00;10;26 V3, 1 80년 전 우리는 잃었던 나라를 되찾았습니다 00;00;11;04 - 00;00;13;29 V3, 1 수많은 이름 없는 이들의 희생과 용기 00;00;14;11 - 00;00;16;18 V3, 1 그리고 조용히 이어진 저항과 기도가 00;00;16;21 - 00;00;18;20 V3, 1 이 땅의 광복을 가능케 했습니다 00;00;19;23 - 00;00;23;22 V3, 1 공주는 충남 지역 독립운동의 중요한 거점이었습니다 00;00;23;26 - 00;00;28;13 V3, 1 31운동 이후 공주에서도 수많은 시민들이 만세 시위에 나섰고 00;00;28;13 - 00;00;33;05 V3, 1 학생, 기독교인, 지역 지식인들이 주도적으로 항일운동을 이어갔습니다 00;00;33;05 - 00;00;36;13 V3, 1 그 중심에 공주 제일교회가 있었습니다 00;00;36;13 - 00;00;40;01 V3, 1 예배당은 믿음의 공간이자 교육과 계몽 00;00;40;01 - 00;00;42;12 V3, 1 그리고 조용한 저항의 시작점이었습니다 00;00;45;14 - 00;00;49;28 V3, 1 선교사들은 이 예배당을 중심으로 충청 지역 최초로 00;00;49;28 - 00;00;52;28 V3, 1 사립인 영명 여학교와 영명 남학교를 세우고 00;00;52;28 - 00;00;55;05 V3, 1 독립 운동을 전개 했다고 합니다 00;00;55;05 - 00;00;58;20 V3, 1 이 제일 교회를 직접 걸어보고 듣고 00;00;58;20 - 00;01;02;27 V3, 1 광복의 시작이 이곳에서 어떻게 울리게 되었는지 00;01;02;27 - 00;01;07;04 V3, 1 전시실을 관람 하면서 느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1;07;04 - 00;01;09;04 V3, 1 교회에 처음 도착하면 00;01;09;04 - 00;01;12;24 V3, 1 최초 예배당이라는 문구 아래에 벽화를 볼 수 있는데요 00;01;12;24 - 00;01;19;09 V3, 1 사애리시 선생님과 유관순 열사를 표현한 벽화가 전시 되어있습니다 00;01;23;20 - 00;01;26;04 V3, 1 제일교회 기독교 박물관 내에는 00;01;26;04 - 00;01;30;04 V3, 1 약 만여점의 근대 기독교 문화 유산을 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00;01;31;16 - 00;01;34;12 V3, 1 1919년 3월 1일 이후 공주시에도 00;01;34;12 - 00;01;37;01 V3, 1 만세 시위의 물결이 확산되었습니다 00;01;37;10 - 00;01;40;25 V3, 1 공주읍 장터를 중심으로 일어난 공주의 만세 시위는 00;01;40;25 - 00;01;44;08 V3, 1 담임 목사 뿐만 아니라 공주읍 교회의 임원이며 00;01;44;08 - 00;01;47;11 V3, 1 영명학교 교사였던 이들과 영명학교 학생 등 00;01;47;11 - 00;01;50;25 V3, 1 공주지역 감리회 공동체가 주도하여 진행되었습니다 00;01;51;23 - 00;01;55;11 V3, 1 근대기 공주시 사회복지와 교육을 주도 하였으며 00;01;55;11 - 00;01;58;15 V3, 1 민족의 고난을 회피하지 않고 함께 견뎌낸 00;01;58;15 - 00;02;02;00 V3, 1 공주제일교회와 공주 기독교 박물관 예배당은 00;02;02;00 - 00;02;05;11 V3, 1 공주시 근현대사가 집약된 역사의 현장입니다 00;02;07;02 - 00;02;11;18 V3, 1 여기 보면 유관순 열사의 그릇이라고 00;02;11;18 - 00;02;14;22 V3, 1 유관순 열사가 직접 썼던 그릇까지 00;02;14;22 - 00;02;16;13 V3, 1 안에 전시가 되어있는데요 00;02;20;09 - 00;02;24;11 V3, 1 이런 것들을 보면 유관순 열사도 어린 학생이었을 텐데 00;02;24;11 - 00;02;28;08 V3, 1 독립운동을 했다는 게 같은 청년으로서 00;02;28;08 - 00;02;33;08 V3, 1 정말 마음이 무거워지고 좋지 않네요 00;02;36;11 - 00;02;38;22 V3, 1 전시관을 걷다 보면 00;02;38;22 - 00;02;41;16 V3, 1 역사책 속 이름 하나가 마음을 두드립니다 00;02;42;27 - 00;02;43;26 V3, 1 유관순 00;02;44;21 - 00;02;48;21 V3, 1 열여섯, 꽃 같은 소녀였던 그녀는 바로 이 교회에서 00;02;48;21 - 00;02;50;02 V3, 1 예배를 드렸습니다 00;02;50;20 - 00;02;55;05 V3, 1 공주 제일교회 그녀가 어린 시절 손을 모아 기도하던 이 곳은 00;02;55;05 - 00;03;00;24 V3, 1 믿음과 배움 그리고 저항의 뿌리가 함께 자라던 공간이었습니다 00;03;00;24 - 00;03;04;29 V3, 1 그리고 그 중심엔 한 부부의 조용한 헌신이 있었습니다 00;03;04;29 - 00;03;06;17 V3, 1 사애리시 00;03;06;17 - 00;03;09;08 V3, 1 그녀가 심은 믿음과 교육의 씨앗은 00;03;09;08 - 00;03;12;29 V3, 1 이 작은 제일교회 공주라는 도시에서 퍼져나가 00;03;12;29 - 00;03;15;21 V3, 1 한 민족의 깨어남으로 이어졌습니다 00;03;17;06 - 00;03;22;07 V3, 1 사애리시 선생님은 유관순 열사를 양녀로 삼고 00;03;22;07 - 00;03;25;24 V3, 1 교육을 한 유관순 열사의 첫 스승이라고 합니다 00;03;25;24 - 00;03;31;13 V3, 1 사애리시 선교사들에 관한 글들이 전시가 되어있습니다 00;03;33;02 - 00;03;36;19 V3, 1 유관순 열사가 공주에서 영명학교를 다니던 시절 00;03;36;19 - 00;03;39;10 V3, 1 이 교회를 2년간 다니면서 예배를 드렸고 00;03;39;10 - 00;03;41;23 V3, 1 민족 대표 33인 중에 1인인 00;03;41;23 - 00;03;46;04 V3, 1 신홍식 목사님과 함께 예배를 드린 장소라고 합니다 00;03;49;00 - 00;03;54;26 V3, 1 교회 앞에는 신홍식 목사님의 동상이 전시가 되어있는데요 00;03;54;26 - 00;03;59;17 V3, 1 신홍식 목사님은 3.1운동 때에 목사로서 처음으로 00;03;59;17 - 00;04;02;03 V3, 1 참여 의사를 밝힌 인물이기도 합니다 00;04;02;03 - 00;04;05;15 V3, 1 당시 체포된 그는 법정에서도 일제가 제시한 00;04;05;15 - 00;04;08;06 V3, 1 동양평화론의 허구성을 질타 하면서 00;04;08;06 - 00;04;12;10 V3, 1 독립에 대한 확신을 피력한 인물 중에 한 명이라고 합니다 00;04;12;10 - 00;04;16;09 V3, 1 교회에서 선교사들이 주도적으로 3.1운동에 참가 했다는 것은 00;04;16;09 - 00;04;18;13 V3, 1 저도 처음 안 사실이었습니다 00;04;18;13 - 00;04;23;23 V3, 1 독립운동가들에 대해서 조금 더 많이 알게 될 수 있는 기회였고 00;04;23;23 - 00;04;26;10 V3, 1 그 당시에 많은 사람들이 종교와 관련 없이 00;04;26;10 - 00;04;30;04 V3, 1 민족을 지켜내야 된다는 마음 하나만으로 00;04;30;04 - 00;04;35;07 V3, 1 독립운동을 전개 했다는 사실이 뜻깊은 경험이었습니다 00;04;35;07 - 00;04;39;10 V3, 1 그럼 저는 두 번째 장소로 이동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4;44;24 - 00;04;47;00 V3, 1 여기는 공주독립운동기념관이라고 00;04;47;00 - 00;04;52;15 V3, 1 영명중학교 영명고등학교와 같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00;04;52;15 - 00;04;57;05 V3, 1 옆으로 가시면 유관순 열사의 학교 였던 00;04;57;05 - 00;04;59;08 V3, 1 영명고등학교가 옆에 있습니다 00;04;59;29 - 00;05;04;18 V3, 1 공주독립운동기념관에는 공주와 충남지역에서 활동한 00;05;04;18 - 00;05;09;16 V3, 1 독립운동가들의 사진과 영명학교에 대한 역사가 전시 되어있습니다 00;05;10;16 - 00;05;13;10 V3, 1 이곳은 단지 한 지역의 기억을 넘어 00;05;13;10 - 00;05;17;17 V3, 1 충청권 독립운동의 중심지로서 수많은 무명의 이들이 00;05;17;17 - 00;05;20;20 V3, 1 목숨을 걸고 지켜낸 정신의 터전입니다 00;05;20;20 - 00;05;25;22 V3, 1 3.1운동 이후 공주에서는 수백명이 만세운동에 참여했고 00;05;25;22 - 00;05;28;18 V3, 1 학생과 교사까지 거리로 나섰습니다 00;05;29;27 - 00;05;34;09 V3, 1 일제의 감시 아래에서도 비밀결사 조직, 청년운동이 00;05;34;09 - 00;05;36;07 V3, 1 이곳에서 조용히 이어졌습니다 00;05;38;11 - 00;05;42;02 V3, 1 공주 거점으로 해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00;05;42;02 - 00;05;45;14 V3, 1 옛날 사진들이 벽면에 붙어 있습니다 00;05;45;14 - 00;05;48;19 V3, 1 실제 신홍식 목사님의 사진입니다 00;05;48;19 - 00;05;51;01 V3, 1 벽면에 사진을 보시면 00;05;51;01 - 00;05;56;11 V3, 1 영명학교와 관련된 옛날 사진들이 전시가 되어있습니다 00;05;56;11 - 00;06;01;29 V3, 1 1915년 7월에 촬영된 영명학교 단체 사진인데요 00;06;01;29 - 00;06;03;24 V3, 1 이 사진이 굉장히 특별한 이유는 00;06;03;24 - 00;06;08;07 V3, 1 유관순 열사의 어릴적 모습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00;06;08;07 - 00;06;12;27 V3, 1 정말 학생들이 다 어리고 조그마한 여학생들인데 00;06;12;27 - 00;06;17;03 V3, 1 이런 아이들이 자라서 항일운동의 주역이 됐다는 것이 00;06;17;03 - 00;06;20;11 V3, 1 굉장히 큰 의의가 있고 깊은 울림을 받는 00;06;20;11 - 00;06;22;20 V3, 1 그런 사진인 것 같습니다 00;06;26;00 - 00;06;29;02 V3, 1 국내 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나라의 독립을 위해서 00;06;29;02 - 00;06;32;26 V3, 1 목숨을 내걸고 독립운동에 투신한 열사들의 00;06;32;26 - 00;06;34;27 V3, 1 흔적들이 기록 되어 있는 곳입니다 00;06;34;27 - 00;06;38;22 V3, 1 일제감시대상 인물카드도 있는데 00;06;38;22 - 00;06;42;29 V3, 1 1920년대 1940년대에 걸쳐서 조선총독부에서 00;06;42;29 - 00;06;45;26 V3, 1 제작된 카드라고 추정하고 있고요 00;06;45;26 - 00;06;50;10 V3, 1 독립운동을 연구하는데 아주 귀중한 자료로 평가가 되고 있으니 00;06;50;10 - 00;06;53;26 V3, 1 여기 와서 한 번 이것도 유심히 살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00;06;53;26 - 00;06;59;20 V3, 1 성명, 본적, 출생지, 생년월일 그리고 죄명까지 00;06;59;20 - 00;07;02;26 V3, 1 공주에 왔으니까 공주시에서 활동한 00;07;02;26 - 00;07;05;16 V3, 1 독립운동가들을 한 번 찾아보겠습니다 00;07;08;18 - 00;07;10;18 V3, 1 지역별로 한 번 가볼까요 00;07;10;19 - 00;07;12;18 V3, 1 지역지도가 나오는데요 00;07;12;21 - 00;07;15;22 V3, 1 이렇게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공주에서 00;07;16;13 - 00;07;19;01 V3, 1 독립운동 전개를 했다고 합니다 00;07;19;01 - 00;07;20;12 V3, 1 클릭을 하시면 00;07;21;20 - 00;07;29;09 V3, 1 독립운동가의 성명과 출생, 본적, 설명이 간단하게 나와있어요 00;07;29;09 - 00;07;32;04 V3, 1 학생의 입장으로서 학생운동에 또 굉장히 00;07;32;18 - 00;07;34;26 V3, 1 저는 가장 많이 관심이 가게 되는 것 같아요 00;07;34;26 - 00;07;38;16 V3, 1 학생운동에는 공주에서 활동하신 독립운동가분들이 00;07;38;16 - 00;07;40;03 V3, 1 총 다섯 명 이렇게 있네요 00;07;40;17 - 00;07;44;01 V3, 1 눌러보면 똑같이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00;07;44;09 - 00;07;47;20 V3, 1 다들 정말 어린 나이에 독립운동을 하고 00;07;47;20 - 00;07;52;03 V3, 1 퇴학을 당하고 일본군에게 잡혀가고 감시의 대상이 되었다는게 00;07;52;03 - 00;07;55;17 V3, 1 정말 마음이 아프고 00;07;55;17 - 00;07;58;13 V3, 1 저라면 과연 그때 제가 그렇게 할 수 있었을까 00;07;58;13 - 00;08;02;12 V3, 1 반성과 책임의식을 갖게 하는 순간인 것 같습니다 00;08;03;10 - 00;08;08;29 V3, 1 독립운동기념관 옆에 공원이 하나 있거든요 00;08;08;29 - 00;08;13;22 V3, 1 3.1중앙공원이라고 공주에서 가장 오래된 00;08;13;22 - 00;08;15;12 V3, 1 공원으로 전해집니다 00;08;15;12 - 00;08;20;22 V3, 1 공원 뒤쪽으로 오면 유관순 열사의 일대기도 있기 때문에 00;08;21;01 - 00;08;22;29 V3, 1 일대기까지 한 번 읽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00;08;22;29 - 00;08;24;04 V3, 1 일대기까지 한 번 읽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00;08;27;14 - 00;08;30;06 V3, 1 독립 운동을 했던 유관순 열사의 00;08;30;06 - 00;08;33;29 V3, 1 일대기를 따라서 이 장소를 직접 걸어보고 00;08;33;29 - 00;08;34;01 V3, 1 자료들을 직접 보고 00;08;34;01 - 00;08;40;00 V3, 1 공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들을 직접 느껴보니까 00;08;40;00 - 00;08;46;28 V3, 1 이들이 있었기 때문에 제가 평안하고 또 자유롭게 이 나라에서 00;08;46;28 - 00;08;48;18 V3, 1 활동을 할 수 있는 것 같고요 00;08;48;18 - 00;08;51;23 V3, 1 한 번 쯤은 우리 마음 속에서 깊이 생각을 할 수 있는 00;08;51;23 - 00;08;55;28 V3, 1 그런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00;08;58;07 - 00;09;02;28 V3, 1 우리가 유적지를 찾는 이유는 단순히 역사를 배우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00;09;03;22 - 00;09;06;15 V3, 1 그날을 기억하고 지금 우리가 무엇을 지키며 00;09;06;15 - 00;09;08;20 V3, 1 살아가는지 되묻기 위해서 입니다 00;09;09;15 - 00;09;12;26 V3, 1 공주의 독립운동 유적지 세 곳을 따라 걷는 여정은 00;09;13;06 - 00;09;16;12 V3, 1 한 세기 전의 청춘들이 외쳤던 자유의 의미를 00;09;16;15 - 00;09;18;21 V3, 1 오늘의 청춘이 새기는 과정입니다
관리자
조회수: 446
▶
2:38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디지털시대, 우리가 역사 속 인물을 기억하는 방법
경기도 화성시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문기의 전시가 열린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을 방문한 김진경 문화PD..! 독립운동가 조문기의 독립운동 정신을 전시를 통해 배우고 언리얼 엔진으로 조문기의 메타휴먼을 제작한다! [고지사항] - 사용 음원 1. On DeadIy Land - 브금대통령 2. In Desert - 브금대통령 3. 6.6 - 브금대통령 **Music provided by - 브금대통령**Track : 6.6 - https://youtu.be/LrtnRjRTADE?feature=shared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Track : On Deadly Land - https://youtu.be/qfbt2catqVg? feature=shared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Track : In Desert - https://youtu.be/DEBEMV27sL4? feature=shared - 사용 폰트 프리텐다드 - 길형진(orioncactus)(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한글재민체3.0 - 박재갑(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KCC손기정체 - 한국저작권위원회(출처(저작자)만 밝히면 상업/비영리목적으로 이용가능, 2025 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사용 생성형 AI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 OOO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기획전시의 자료를 일부 촬영하여 제작 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내레이션) 독립운동가 조문기는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 태어났다. 어린시절 함께 지낸 외할아버지의 항일애국정신에 영향을 받은 조문기는 일찍이 식민지 국가의 현실을 깨닫고 독립운동을 위해 일본으로 향했다. 1945년 3월 한국으로 돌아온 조문기는 유만수와 강윤국 등과 함께 비밀결사 대한애국청년당을 조직하여, 친일파 박춘금을 비롯한 친일 거두와 식민통치기관을 처단하는 목표를 세운다. 때마침 박춘금이 부민관에서 아세아민족분격대회를 개최한다는 소식을 접한 이들은 직접 제작한 시한폭탄을 대회장에 설치하여 박춘금이 연설하고 있을 무렵 폭탄을 터트렸다. 성공적으로 마친 부민관 폭파 의거는 일제의 패망 직전까지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보여준 마지막 의거였다. 부민관 폭파 의거 이후, 1945년 8월 15일 조문기가 그토록 바라던 독립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문기는 부끄러웠다. 온전한 한 나라의 독립이 아닌 독립 이후 분단된 나라 그리고 친일파가 권력을 잡고 있는 현실에 독립운동가로서 통일된 자주 독립의 나라를 만들지 못한 죄책감 때문이었다. 광복 이후, 친일청산은 현시대의 독립운동임을 외치며 친일청산을 위해 끝까지 노력했다. 완전한 자주독립이라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떳떳한 독립운동가가 될 수 없었던 조문기는 친일청산이라는 과업을 후대에라도 전수하겠다고 다짐했다.
관리자
조회수: 448
전체메뉴
문화예술
문화유산
문화산업
체육
관광
생활
총
195
건
검색정보 입력
전체
국내
해외
지역
7거리
볼거리
탈거리
살거리
놀거리
느낄거리
먹을거리
잠잘거리
검색
▶
3:42
Soul of City - 서울브랜드송 프로젝트
-기획의도- ‘서울'의 문화는 서울시민이라는 ‘개인'의 문화가 약 천 만개 모여 만들어진 융합문화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의 시작은 구성원인 시민에게 있습니다. 저는 이 컨텐츠를 통해 실제로 서울에서 거주하는 시민들의 이야기를 가사로 엮어 시민과 함께하는 서울 송을 만듦으로써 노래 안에 그들의 이야기를 녹여 내고자했습니다. -대본- “소울오브시티(Soul of City)” #자막: 어떻게 서울에서 살게 되었나요? #나레이션 -저는 태생이 서울이라서 서울에서 쭉 살게 됐고, -이사를 하게 돼서 서울에 오게 되었어요. -태어날 때 서울 요양병원에서 태어나서, -부모님 따라서 왔어요. -저는 태어나면서 서울에서 살게 되었어요. -저는 서울에서 태어나서 그냥 서울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저는 취직을 하려고 서울로 상경했습니다. #자막: 작곡 김희원 편곡 손혁진 보컬 김희원 #자막: 작사 김희원 외 서울시민 30명 #자막: ‘서울’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혹은 단어는? #나레이션 -도시. 복잡한 도시? -새벽까지 열려있는 많은 가게들. -한강이랑 또, 서울시청. -명동/광화문 /사람이 너무 많아서 복잡스러운 것? -복잡함/야경 그리고 지하철. #대사: 서울의 한복판, 나는 오늘 여기서. #자막: “Soul of City” #가사: (서울 송 시작) 할일이 많아 오늘도 평범한건 어려워 어둑해진 밤에도 혼자 불을 켜 (또) 기회가 많지만 대신할 사람도 많겠지 이젠 내게 올 기회가 남았을까 (싶어) 복잡한 도시와, 더 복잡한 관계관계(관계) 나른한 저녁이면 다시 밀려오네 Can you feel the soul of the city? 이 도시의 빛은 어디를 비추나 끝없이 질문만을 남겨놓은 채 그저 눈부시게 반짝이네 회색도시 어지러운 거리거리, 늦은밤 지하철에 몸을 맡기면 밤이 와도 꺼지지 않는 불빛처럼 들려오는 너의 이야기 Can you feel the soul of the city? 이 도시의 빛은 어디를 비추나 끝없는 질문들을 뒤로한 채 그저 눈부시게 반짝이는 너 Can you feel the soul of the city? 외로움 가득한 이방인의 도시 이 도시가 영원히 빛나는 이유 그건 더없이 눈부신 너 Can you feel the soul of the city. (서울 송 마침) #자막: 어떤 것을 할 때 가장 행복한가요? #나레이션 -혼자만의 시간을 좀 여유롭게 가질 수 있을 때 -피아노 칠 때 하고/맛집 탐방할 때 -친구들하고 놀러갈 때/게임할 때 -비오는 것을 좋아하는데 비가 올 때 -그리고 새로운 것에 도전할 때 #대사: 서울, 내게 왜 여기 서 있느냐 묻는다. 그 이유야 어쨌든 나는, #자막: 서울 송 프로젝트에 도움을 주신 30명의 서울 시민들게 감사드립니다. #나레이션 -저는 그림 그리는걸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하루 끝나고 누워서 게임하는 걸 제일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저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을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저는 고양이를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멍하니 생각하기를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저는 그냥 평범하게 살아가는 서울의 시민입니다. #엔딩크레딧 *사용음원: Soul of City(작곡 김희원,편곡 손혁진) / 유튜브오디오라이브러리 : Retreat, Escape
김희원
조회수: 17,806
▶
4:5
혼자서는 우리의 세상을 구할 수 없다
- 기획의도 - 언어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언어는 인권이기도 하죠 . 하지만 현재 우리는 우리의 세상에 다가온 위협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있지요 . 최근 월드컵을 보더라도 대한민국을 목이 터져라 응원하지만 정작 우리의 언어인 ‘ 한글 ’ 의 위대함과 소중함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만 다가오고 있는 위협에 대해서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기도 하죠 . 이에 영화 예고편의 형식을 빌려 전문가의 인터뷰와 더불어 우리의 세상인 ‘ 한글 ’ 이 여러 ‘ 외계어 ’ 에 의해 위협받고 있으며 , 이러한 현실을 영웅물 영화에 나오듯 , 함께 힘을 합치어 세상을 구하자는 영웅심리를 통해 주인의식을 갖자고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 - 대본 - ( 자막 )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말 ( 음성 ) 이 서로 맞지 않으니 이런 이유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그러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 내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마다 이것을 쉽게 익혀 편히 사용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 ( 인터뷰 ) 안녕하세요 . 저는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 ( 자막 ) 우리의 세상인 우리말글 ( 인터뷰 ) 그렇죠 . 언어는 정말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모든 것이기도 하죠 . ( 자막 ) 언어는 인권이다 ( 인터뷰 ) 단지 우리가 우리말과 한글이 ‘ 우리 것이기 때문에 사랑한다 ’ 이 수준을 넘어서서 ( 자막 ) “100 년 안에 전 세계 언어 90% 는 사라질 것 ” 미국의 유명 언어학자이자 정치평론가 존 맥워터 - ( 인터뷰 ) 한국어의 미래를 걱정하는 분들이 제법 많더라구요 . “ 이러다가 사라지는 거 아니냐 ” ( 자막 ) 영어침략 , 국어 사라질 위기 , 우리말 살리기 절실 2018. 04.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스 ( 인터뷰 ) 우리말이 차지하고 있던 자리를 외국어가 자꾸 이렇게 몰아내는 거죠 . ( 자막 ) 우리의 세상이 위협받고 있다 . 외국어 남용 혐오표현 급식체 은어 외계어 ( 자막 ) “100 년 안에 사라질 언어 후보에 한국어가 들어있다는 사실 알아요 ?” 우리말 사랑 동아리 6 기 오름마당 토박이말 바라기 리창수 선생님의 우리말과 우리글 강연 중 ( 인터뷰 ) 걱정에만 머무르면 안되고 ( 제목 ) 혼자서는 우리의 세상을 구할 수 없다 ( 인터뷰 ) # 어떤 일을 하시나요 ? 저는 글을 쓰는 일을 하고 있구요 . 직접 거리에 나가서 시민들에게 호소하는 일도 하고 제 생각 , 또 우리말과 한글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생각을 알리는 일을 주로 하고 있어요 . # 언어는 인권이다 ? 단지 우리말과 한글이 우리의 것이기 때문에 소중하다는 관점을 좀 더 넘어서 “ 말과 글이 편해지지 않으면 민주주의라는게 지켜지기 어렵다 .” 모두가 서로 배려하는 말로 말하고 글쓰고 하지 않는다면 좀 더 서로를 배려하는 그런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라고 생각을 하게 되는 거죠 . 그래서 ‘ 민주주의와 인권 ’ 이런 측면에서 우리말과 한글을 생각해야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 # 우리말글이 파괴되고 있다 ? 한국어가 세계 13 위 정도의 덩치 큰 언어이기 때문에 ‘ 사라지진 않을 것이다 ’ 이렇게 생각하죠 . 그렇지만 속이 좀 무르고 있다 . 정말 중요한 것을 결정할 때 사용하는 말은 다 영어로 하는 것이 아닐까 ? 이런 걱정은 사실 좀 들긴 합니다 . # 우리말글을 위협하고 있는 외계어에 대한 생각은 ? 특히 그 중에 제가 보기에는 제일 큰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영어 남용이에요 . 다른 무엇보다 영어 남용이 좀 심하고 , 혐오표현이라고 흔히 얘기하는 그런 것들이 저는 문제가 된다고 생각을 해요 . 사회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보다는 화만 내고 상대방을 공격하는 데에만 집중하는 그런 표현인 것 같아요 . # 신조어와 줄임말 , 파괴와 창조 ? 우리말 파괴라고 보는 사람도 있고 새로운 창조라고 보는 사람도 있는 것 같아요 . 그 두 가지는 늘 그렇게 대립하면서 가는 거라고 저는 생각해요 . 그런데 그런 변화 중에서 어떤 것은 그다지 사람들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것도 있고 , 어떤 것은 괜찮은 것도 있고 그렇지 않습니까 ? 요즘 뭐 전화기로 다 사진도 찍을 수 있고 동영상도 찍을 수 있고 그래요 . 그러다 보니깐 몰래카메라 범죄 이런 게 막 늘어나잖아요 . 그런데 그런 것을 좋은 거라고 볼 수는 없잖아요 . 그래서 그런 것은 바꿔내자 라고 얘기를 하게 되고 고쳐야 된다 , 없애야 된다라고 이렇게 얘기를 하겠죠 . # 현재를 살아가는 저희들에게 지금 현재 내 눈 앞에서 이게 재밌고 , 이게 익숙하고 , 이 신조어가 재밌긴 하더라도 그것보다 조금 더 가치 있고 , 재밌고 한 것을 놓쳐서는 안 된다 . 저는 그게 우리말과 우리글에서 문화적인 뿌리와 줄기 , 잎을 튼튼하게 키워가는 그런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모두 함께 노력을 해야 할 부분이라고 봅니다 . ( 자막 ) 우리의 세상은 ‘ 함께 ’ 지킬 수 있습니다 . # 엔딩크레딧 * 사용음원 : Verdi 진혼곡 ( 진노의 날 ) / 오디오라이브러리 : The New Order, The Morning After * 기사출처 : http://www.koreahiti.com/news/articleView.html?idxno=2816
정한매
조회수: 12,807
▶
4:29
갱상도 손투리 사용설명서
누구나 알고 있던 사투리가 진화했다?!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발달과 함께 등장한 손으로 치는 사투리, 손투리! 억양이 상실된 손투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수상한 설명서를 발견했다는데...?! -------------------------------------대본------------------------------------------------ 여대생: 이건 형식 파괴다 여대생: 사투리가 텍스트 형태로 나타나다니... 여대생: 이게 바로 말로만 듣던 손투리인가? 여대생: 에잇 여대생: 이 손투리의 근원지는 바로 경상도임이 분명하다. 여대생: 나는 그 길로 손투리를 찾아 유학길에 올랐다 타이틀: 갱상도 손투리 사용설명서 여대생: 이 머나먼 경상도 땅까지 유학을 온 것도 벌써 일 년... 여대생: 하지만 아직 손투리의 실마리조차 발견할 수 없었다 여대생: 어?! 여대생: 이게 뭐지?! 여대생: 손투리 사용 설명서? 강사: 자네, 손투리가 궁금한 표정이군 여대생: 어?! 이거 뭐야 강사: 그렇다면 잘 찾아왔네 강사: 흐하하하 강사: 원래 사투리란 억양이 핵심이지 강사: 하지만 손투리는 오직 텍스트로만 전달되기 때문에 강사: 굉장히 어려웠을 걸세 강사: 자, 그럼 바로 우리 손투리의 기초부터 시작하도록 하지 타이틀: STEP 1 문장부호 -‘자’의 의미 유추하기- 조교: 자! 강사: 이렇게 ‘자’ 끝에 느낌표나 마침표가 들어가게 되면 강사: ‘이거 줄게’, ‘이거 가져’ 이런 표현입니다 강사: 표준어인줄 아셨죠? 강사: 흐하하하 강사: 아닙니다 강사: 사실 ‘아나’보다 더 자주 쓰게 되는 경상도 사투리입니다 조교: 자? 강사: 이렇게 ‘자’ 끝에 물음표가 붙게 되면 강사: ‘설마 쟤야?’라는 의미의 의심의 표현입니다 조교: 우이씨! 타이틀: STEP 2 상황파악 분노의 정도 유추하기- 조교: 머라캐쌌노 조교: 미친개이가 조교: 터쟈뿔라마 강사: 언뜻 들으면 다소 격양되어 보일 수 있는 경상도 언어 강사: 하지만 그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강사: 그들의 미묘한 분노의 정도를 읽어낼 수 있습니다 친구: 내일 너네 집에서 치킨 시켜먹기로 했는데 너도 올래? 이미지: 70% 조교: 미친개이가 강사: ‘너 정말 미치광이니’ 이런 뜻의 표현입니다 강사: 상대가 어이없는 말을 하거나 강사: 혹은 정신이 진짜 이상해진 것 같다 의심될 때 강사: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조원 1: 제가 자료조사 할게요. 조원 2: 그럼 저는 PPT를 만들게용! 조교: 그럼 발표는 제가 하겠습니다. 조원 3: 그럼 저는 잘 하는게 없으니까 응원할게용 이미지: 100% 조교: 터쟈뿔라마!!! 강사: ‘피떡이 되도록 터뜨려주마’라는 뜻의 무시무시한 표현입니다 강사: 정말로 터뜨리고 싶은 사람을 만났을 때 주로 쓰는 표현입니다 조교: 누가 이 말을 했다고요? 조교: 지금 당장 도망치세요! 타이틀: STEP 3 띄어쓰기 -‘가가가가가’ 해석- 강사: 손투리 학습의 최종 단계, 대망의 ‘가가가가가’ 해석 강사: 띄어쓰기로 그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강사: “가씨 성을 가진 사람이 그 사람이냐?” 조교: 가가가 가가 강사: “그 사람? 그 사람이 그 사람이냐?” 조교: 가 가가 가가 강사: “그 녀석이 가지고 가서 말이지” 조교: 가가 가가가 여대생: 쌤! 쌤! 쌤! 여대생: 쌤, 이게 진짜 끝인가요? 강사: 건투를 비네 여대생: 자네, 손투리가 알고 싶은가? BGM 1. YouTube 오디오 라이브러리: Brain_Trust 2. YouTube 오디오 라이브러리: Brooke_s_Dream 3. YouTube 오디오 라이브러리: Eyes_of_Glory
조소영, 최아현
조회수: 19,226
▶
6:29
골목길 해설사님과 함께하는 종로의 600년 골목길역사
영상 기획의도 및 설명) 청운동, 효자동부터 시작해 세종마을,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익선동,체부동, 이화동, 북촌 마을까지... 우리에겐 너무나 익숙한 수많은 종로의 동네들이 있다. 하지만 여기저기 맛집을 다니고, 관광을 다니면서도 그 사이사이 있는 문화 유적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하는 게 사실. 장면가옥이 어떤 역사적 의미가 있는 곳인지, 시인의 언덕이 왜 생겨났는지 우리는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이젠 ‘골목해설사’들과 함께 그 길을 따라가 보려 한다. 우리가 알지 못한 채 걸었던 수많은 종로의 골목길에서, 600년에 걸친 따끈따끈한 지난 이야기를 들어보자. - 골목길 해설사님과 함께하는 종로의 600년 골목길 역사 대본 여보세요? 어디라고? 거의 다왔네, 장면 가옥에서 내리면 돼. 어, 거기가 대학로야. 장면 가옥이 어디냐고? 나도 몰라. 버스 정류장 이름이 그래. 어. 알겠어 거기서 봐. 그러게, 장면 가옥이 대체 어디지? 자막) 장면가옥에서 내리면 돼 자막) 나도 몰라. 버스 정류장 이름이 그래. 자막) 장면가옥? 타이틀 자막) 골목길 해설사님과 함께하는 종로의 600년 골목길 역사 나레이션, 자막) 안녕하세요, 저는 골목길 해설사 김정순입니다. 만나서 반가워요. 골목길 해설이란, 종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주민들이 직접 골목길 구석구석을 안내하며 역사, 문화, 관광자원들에 대해 해설을 해주는 종로만의 특별한 해설 프로그램이예요. 자막) 종로구의 골목길 해설 청운효자동부터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혜화명륜동에 이르기까지 종로의 다양한 골목길들을 해당 동네에 거주 중인 골목길해설사님의 해설과 함께 더욱 실감나고 재미있게 돌아볼 수 있다. 동네에 얽힌 각종 역사, 문화 이야기는 물론, 동네 주민인 해설사님만이 알고 있는 비하인드스토리까지 들으며 더욱 생생한 골목길 체험이 가능하다. 자막) 종로구의 골목길 해설 혜화/명륜 편 출발지인 혜화역 4번 출구부터 시작해 대명거리-탕평비와 거마비-서울 문묘와 성균관-한무숙 문학관-장면 총리 가옥- 혜화주민센터-한양도성기념관-혜화문의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자막) 대명거리 자막, 나레이션) 이곳은 반촌골이라고 하는데요, 반촌거리에서 지금 정비를 해서 대명거리로 이름이 바뀌었어요. 왜 반촌거리냐면, 성균관을 반궁이라고 했기 때문이에요. 성균관의 유생들이 노비들을 데리고 와서 공부를 했는데, 노비들은? 먹고 살기 위해서 여기서 하숙도 치고, 소나 돼지나 이런 거 도축을 해서 고기들을 대주는 일을 했다고 해요. 이곳에서는 성균관 안에서 금기시 되는 바둑이나 장기들을 둘 수도 있고, (놀 수 있는 ) 주막도 있고, 성균관에서 논하지 못하는 천주교에 대한 것들도 논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자막) 탕평비각과 하마비 자막, 나레이션) 이 것은 탕평비각입니다. 영조가 휘둘리지 말고 군자의 길을 가라는 뜻으로, 영조가 직접 글을 써서 하사해서 비를 세웠다고 합니다. 이건 하마비인데요, 모든 사람이 말에서 내리라는 겁니다. 아무리 높은 직위가 있는 사람이라도 하마비 앞에서는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거죠. 다음에는 문묘로 갈까요? 자막) 서울문묘와 성균관 자막, 나레이션) 이곳은 대성전입니다. 대성전이라고 쓴 글씨는 한석봉 님의 글씨라고 해요. 자막, 나레이션) 기숙사는 동쪽은 동무, 서쪽엔 서무가 있는데요. 동무에는 생원이나 진사 (분들이 거주했고요), 왼쪽에 있는 서무에는 고관자제분들이나 동학, 서학, 남학 이런 데에서 공부를 잘하는 사람들이 왔었다고 해요. 저 북이 한 번 울리면 일어나야 하고요, 두 번 울리면 의관을 정제하고 인사를 하고 식당으로 가서 밥을 먹었다고 합니다. 자막) 한무숙 문학관 자막, 나레이션) 이 집은 소설가 한무숙 선생이 1953년부터 돌아가실 때까지 40년 동안 사시고 여러 책을 쓰신 집입니다. 자막) 소설가 한무숙 심리묘사에 능숙한 동양적 오성의 소설가. 《역사는 흐른다》,《빛의 계단》, 《석류나무집 이야기》 등을 집필했으며, 《감정이 있는 심연》으로 자유문학상, 신사임당상 등을 수상하였다. 나레이션) 이것은 김동리 선생이 한무숙 선생에게 기증하신 책이고... 자막) 한무숙 문학관 작가 한무숙 선생의 생애와 문학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한무숙 선생의 문학교류활동뿐 아니라 응접실, 집필실, 전시실의 다양한 자료를 통해 한무숙 작가의 예술 및 문학 활동을 생생히 느껴볼 수 있다. 자막) 장면총리가옥 나레이션, 자막) 이 곳은 장면가옥입니다. 이 장면가옥은 양식, 일식, 한식 세 가지가 건축 양식이 어우러져서 보존의 가치가 높고요. 자막) 장면 총리가 1937년 건립하여 거주했던 곳이다. 안채를 비롯한 사랑채,경호원실,수행원실이 원형대로 잘 남아 있으며, 한식, 일식, 서양식의 건축양식이 혼합되어 있는 독특한 양식의 보기 드문 가옥이다. 대한민국 외교관 1호 여권 등 국무총리 및 부통령을 역임한 역사적 인물인 장면의 발자취가 잘 남아있다. 자막) 한양도성 전시안내센터 나레이션, 자막) 전통가옥과 일본 건물이 함께 어우러진 건축물입니다. 대법관 공관으로 쓰다가, 서울시 공관으로 바뀌었다고 해요. 18대 박영수 시장님부터 박원순 시장님까지 여기서 살았다고 하는데요, 위는 살림공간이고 아래는 사람들이 모여서 회의도 하고 간단한 파티도 하고 식사도 하는 곳(입니다). 자막) 한양도성 전시안내센터 혜화동에 있는 옛 서울시장 공관으로, 한양도성의 성벽을 담장으로 사용하고 있어 철거 논란이 있었으나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하기로 결정하여 한양도성 순성길의 쉼터이자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자막) 혜화문 자막, 나레이션) 이 곳은 혜화문입니다. 동대문하고 북대문 사이에 있는 동소문이라고 했습니다. 원래는 (이름이) 홍화문이었어요. 그런데 혜화문을 먼저 짓고 나서 홍화문이라고 이름을 붙여놨는데, 창경궁을 건축하고 보니 창경궁의 문이 홍화문인 거예요. 우리 홍화문에서 만나자 그러면 창경궁인지 여기 작은 문의 홍화문인지 알 수가 없잖아요. 그래서 여기는 다시 혜화문으로 바꿨습니다. 보통 용이 그려져있는데, 여기 천장에는 봉황이 그려져있어요. 이 근방에 과수가 많이 있었다고 해요. 배나무라든가, 사과라든가 새들이 많이 와서 과일을 쪼아먹고 그러니까, 조상들이 여기다가 가장 큰 새인 봉황을 그려놓으면 새들이 오지 않을거라고 해서 (봉황을 그려넣었다고 합니다). 자막, 나레이션) 오늘 명륜동, 혜화동 골목길 해설은 혜화문을 끝으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다른 골목길 해설도 궁금하지 않으세요? 자막) 골목길 안내 신청하는 방법 종로구청 홈페이지 접속 역사문화관광 탭 클릭 후, 골목길해설사 신청을 누른다. 날짜 및 코스를 지정하고 신청한다. 이외의 유의사항과 주의사항은 홈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 사용 음원) Simon's Song - Dan Lebowitz spanish rose - Chris Haugen 출처 -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무료 음원)
연지희
조회수: 19,980
▶
5:37
우리는 문화를 찍는다 (feat. 박비단)
기획의도 현 시대에 영상이 가지는 의미를 알아 본다. 처음에는 내가 좋아하는 것을 나누고, 즐기기 위해서만이라 생각했다 . 여러 사람과 얘기를 나누고 난 후, 영상의 진정한 의미는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줌이라 느꼈고, 이를 ‘ 소통 ’ 이라는 핵심 단어로 풀려 한다 . 대본 김동완 요즘 내 삶의 낙은 잠자기 전에 영상 콘텐츠를 보는 것이다. 제목 우리는 문화를 찍는다. 김동완 ‘ 박비단’ 처럼 남한산성이나 가볼까 ? 아 여기가 여기구나! 어우, 힘들어 여기가 어디야? 박비단 하나 둘 셋 안녕하세요. 비단입니다 . 저는 유튜브 ‘ 박비단 골동문학방 ’ 주인장이고요 . 문화콘텐츠를 주로 다르고 있어요. 역사 이야기라든가 역사 문화 탐방이든가 여러 가지 문화 콘텐츠를 다루고 있어요. 제가 좋아하고, 제가 취미로 하고 있는 것들을 많이 소개하고 있답니다 . Q. 어떤 계기로 영상을 만들기 시작했나요? 우선 영상이란 매개체에 매력을 느꼈고요. 글도 좋지만 좀 더 실감나게 보여줄 수 있고, 그때에 얘기하는 제 모습이나 느낀점이나 이런 것을 보시는 분들에게 생동감있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꼈고요. 여러 콘텐츠를 다루면서 설명하면서, 소개하면서 , 구독자 분들과 소통하는 장을 만들고 싶었어요. Q. 왜 문화를 주 콘텐츠로 하시나요? 유튜브를 하면서 원래 뷰티 ( 콘텐츠 ) 를 주로 했어요 . 학창시절에 역사 과목을 처음에는 싫어하다가 나중에는 좋아하게 됐는데, 그때 현실적인 이유로 ( 콘텐츠를 ) 하지 않았어요. 지금은 유튜브를 하니까 ‘ 다양한 영상을 만들어 보자 ’ 생각이 들어서 역사로 시작했다가 지금은 역사도 다루고 , 유적지 탐방도 가고 문화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를 하고 있어요 . Q. 최근에는 어떤 콘텐츠를 하셨나요? 제가 최근에 찍은 윤동주 시인 ( 영상 ) 같은 경우도 윤동주 시인의 일생이라기 보다는 시인은 이랬고 , 그러한 감정이고 , 그때 우리였다면 어땠을까 ? 그분이 잘못된 점 , 잘한 점 말고 , 어떤 마음인가를 서로 생각이 다르니깐 “ 여러분들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이런 ( 소통할 수 있는 ) 장을 만들고 싶어요 . Q. 앞으로 목표는 무엇인가요? 저도 예전에 여러 가지 영상을 찍어봤고 많이 도전해봤는데요. 제가 생각하면서 얘기하는 거에 가장 공감을 많이 해주시는 것 같아요. 제가 이제 처음에 역사 콘텐츠를 시작할 때 역사 콘텐츠를 시작했을 때는 설명 위주로 많이 하는 방식이었는데 , 그렇게 하다 보니깐 딱딱한 느낌이 계속 보여지는 거예요. 영상 콘텐츠라는 게 한 번에 “ 딱 이거다 ” 라고 할 수 없더라고요 . 이렇게 시도도 해보고 , 저렇게 시도도 해보고 하는 것 중에 가장 저다운 또 제가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것을 계속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해요 . 채널이 하나의 성격이고 , 그게 또 제 성격이잖아요 . 그러니깐 저를 잘 보여줄 수 있는 거면 , 저를 통해서 역사 콘텐츠나 문화 콘텐츠를 접하면서 우리가 무뎌졌던 것들에 대한 상기를 . 그리고 보는 사람들 입장에서도 다시 생각해볼 수 있고 , “ 아 , 저 사람은 저런 생각을 하는구나 ” 역사 , 이 인물에 대해서 혹인 이사건에 대해서 소통이 더 잘 될 거라고 생각이 들어서 그렇게 하고 싶어요 . 이순주 동완이 왜 안 오냐 박성준 뭐 하고 있나 보지 또 이순주 맨날 늦어 박성준 어 왔다. 왔다 ! 이순주 어디 갔다가 왔어 김동완 남한산성 갔다가 왔는데 좀 늦었다 미안 광주시에 있는 남한산성 혹시 가봤어? 내가 유튜브에 관심이 생겨서 유튜버가 어디 갔다 왔는지 거기 따라서 다녀 왔거든. 이순주 너 유튜브 한다며 박성준 어, 나도 시작한지 좀 됐어 한 지 한 2 개월 됐지 . 김동완 너는 유튜브 왜 했어? 박성준 내가 좋아하는 게 락이잖아 락 음악이잖아! 근데 이게 혼자만 즐기다 보니깐 외롭더라고. 그래서 여러 사람들한테 알려 주고 싶어서 그런 계기로 시작하게 됐어 나만의 것이 될 수 있으니깐. 그런 걸 알려주고 싶은거야, 좋은 음악이 있고 같이 즐겼으면 좋겠다 . 그런 맥락에서 시작한거지 너도 유튜브 요즘 한다며, 이순주 나는 여행 콘텐츠 하고 있는 건데, 내가 전문적으로 하고 있지는 않아 내가 취미 삼아서 여행 갔다 온 걸 지금 다시 편집해서 올리는 식으로 하고 있거든 김동완 너는 유튜브 왜 해? 이순주 나는 유튜브를 시작할 때 ‘ 유튜브를 시작해야겠다 ’ 이런 의미로 생각한 게 아니라 20 대의 나의 모습을 영상에 녹여 내고 싶어가지고 처음 시작하게 된 거거든 나 같은 경우에 예전부터 영상이나 이런 것을 찍는 거 좋아하기도 했고 나중에 그 영상을 봤을 때 ‘ 그때에는 이런 감정이었지 , 이런 기분이었지 ’ 를 느낄 수 있잖아. 그 영상을 보고 , 글로 적으면 좀 제한적이잖아 . 나를 표현하고 싶어서 기록을 남기고 싶어서 그래가지고 시작한 거 같아 김동완 뭘 해야 할까? 콘텐츠를 이순주 영상을 만들더라도, 진정성있게 만들었으면 좋겠어 . 박성준 나는 네가 하고 싶은 거 하는 게 제일 좋다고 생각해. 김동완 내가 진정성 있고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게 뭘까 생각해보면 나는 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 좋아하는 것을 나누고, 즐기고 , 소통하기 위해서 우리는 문화 영상을 찍는다. 사용 음원 Soul Ballad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Sound Off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Follow Me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자료제공 박비단 골동문학방 https://www.youtube.com/user/dayajjing 박비단 : 다람쥐 생활 https://www.youtube.com/channel/UCwoL82Isl7iDRKaMG6QArNg 뜐뜌 sally Lee https://www.youtube.com/channel/UCT5c9m9XeVOnn_0knG6m30A
김세진
조회수: 6,743
▶
2:50
동해선에 몸을 싣다
[ 기획의도 ] 부산 동해선 전철이 개통한 지 1년 반, 꾸준히 이용객이 증가하여 2018년 8월을 기준으로 승객 수가 80만 명을 넘어섰다. 부산 시민들의 출퇴근 시간에 든든한 발이 되어 주며,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동부산권으로의 여행 길잡이가 되어 주고 있는 동해선 전철. 동해선 전철이 개통함에 따라 새롭게 떠오른 여행지의 풍경을 감성적인 영상으로 담아내어 동해선 전철을 통한 뚜벅이 여행을 제안하고자 한다. [ 대본 ] 내레이션: 2016년 12월에 개통한 이래로, 부산 시민들의 든든한 발이 되어주고 있는 동해선 광역철도. 이전에는 대중교통으로 가기 불편했던 지역도 이제는 동해선을 통해 쉽게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 동해선이 데려다주는 부산의 또 다른 얼굴을 다 함께 만나보자. Title: 동해선에 몸을 싣다 자막: 부전시장부전역에서 도보로 2분 소요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부산 최대 전통 시장 내레이션: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부전 시장은 6·25 전쟁 이후 전국의 피난민들이 터를 잡으며 형성되었다. 주로 농축산물, 수산물을 판매하며 부산 최대 전통 시장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부산스러운 시장이 가진 매력을 느껴보고 싶다면 부전시장을 방문해 보는 것은 어떨까. 자막: 송정해수욕장송정역에서 도보로 10분 소요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단골 MT 장소이자 서퍼들의 천국 내레이션: 부산 대학생들의 단골 MT 장소이자 서퍼들의 천국, 송정 해수욕장!동해선 송정역에 내려 도보로 10분 정도 걷다 보면 넓게 펼쳐진 시원한 바다를 만날 수 있다. 무엇보다 송정 해수욕장의 진짜 묘미는 늦은 저녁 맛있는 간식과 함께 달빛 아래 즐기는 산책이다. 자막: 죽성드림성당기장역에 내려 마을버스로 환승 후 15분 소요드라마 촬영 세트장으로 지어진 예쁜 성당과 바다 풍경이 장관 내레이션: 죽성드림성당은 원래 드라마 촬영세트장으로, 현재 많은 사람들의 사진 명소가 되고 있다. 동해선 기장역에 내려 마을버스로 15분을 더 가야 도착하는 곳이지만, 탁 트인 바다 배경에 예쁜 성당을 보고 있노라면 그 풍경에 그 정도 수고가 아깝지 않다. 자막: 일광해수욕장일광역에서 도보로 5분 소요잔잔한 바다 내음과 커피 한 잔의 낭만이 있는 곳 내레이션: 일광역에서 도보로 5분이면 도착하는 일광해수욕장은 한적하고 잔잔한 바닷가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보석 같은 곳이다. 동해선 운행과 함께 부산 시민들에게‘가볼 만 한 곳’으로 떠오른 일광 해수욕장은 맛집과 카페 등 다양한 즐길 거리로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한 추억을 선사하고 있다. 일광 해수욕장의 바다 전망 카페들은 해운대나 광안리에 위치한 카페와는 또 다른 새로운 느낌을 준다. 바다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추천, 또 추천! 마음까지 뻥 뚫리는 바다를 보며 마시는 커피는 낭만 그 자체다. 현재 부전역에서 일광역까지 14개의 역으로 운행 중인 동해선 전철은 앞으로 울산 태화강역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태화강역까지 개통이 된다면, 또 어떤 곳이 매력적인 여행지로 떠오를까?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사용음원] Mamas whisper -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폰트 지원]산돌구름
박선미,강정호
조회수: 15,196
▶
4:21
업사이클링 팝업북? 팝업놀이터!
기획의도 그림책은 코팅으로 인해 재활용을 할 수 없다. 그렇기에 나이가 들면 어릴 때와 달리 그림책은 쓰레기 취급을 받는다. 이렇게 도서가 버려지는 것에 안선화 작가님은 이를 이용해 창작 활동을 하고자 했다. 그 결과 나온 것이 '팝업놀이터' 프로그램이고?책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만들고자 했다. 대본 그림책 볼 나이도 아니고... 버릴까? 안선화 작가 인터뷰 책을 버리는 게 아이들이 아닌 어른이거든요. 엄마들, 도서관 그러다보니 엄마들이 버리기 전에 좀 알아야 아이들에게 이런 수업도, 이런 활동도 연계할 수 있지. 아이들이 어, 엄마 나 책 찢어서 팝업북 만들게 하면 엄마들이 모르시면 야, 책을 왜 찢어 이렇게 갈 수 있거든요. 그래서 이제 활동을 주로 성인대상으로 활동을 하고 있고요. 이렇게 미련없이 버린 책들이죠. 그런 이야기를 하면 아이들이 책을 잘 집어 가요. 체험자 인터뷰 어렸을 때 읽었던 책들이 많이 생각이 나지만, 어렸을 때 읽었던 책들이 현대에서 다른 명작으로 또 만났을 때에는 그 느낌이 다른데. 이렇게 오리고 자르고 하니까 그거는 또 다른 이야기를 낳게 되는 거 같아요. 기획자 인터뷰 사실 시중에 판매하는 팝업북 너무 이쁘고 갖고 싶고 관심이 늘 있었는데, 워낙 고가고 하나의 예술작품이라서 쉽게 소유하거나 즐겨 보는 게 어려웠었거든요. 안선화 작가님의 팝업북은 그런 면에서 접근하기가 쉽고, 쉽게 만들어 보고 관리나 그런 측면에서 부담이 없었기 때문에 관심이 가고 해보고 싶은 기획이라서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안선화 작가 인터뷰 아! 이 책은 되고 이 책은 안 돼! 이런 게 아니라 모든 책, 글밥책, 얇은 책, 하드커버 등의 모든 책들이 저와 함께하면 다시 태어나는 것을 꿈꾸고 있고요. 최종 목적은 모든 책들을 가지고 노는 '아름다운가게'라든가 '새활용 프라자'같은 그런 지역의 곳곳의 재활용이 가능한 센터들이 많이 생기고 있잖아요. 저는 종이, 책 그래서 사실 그림책으로 팝업북을 만들고 있지만, 그림책 뿐만 아니라 그런 곳에서 저도 한 자리를 가꾸어 갈 수 있는 사람... 사용음원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About That Odies, At The Fair, Ponies and Balloons, Sophomore Makceout, Wedding Inviting
김세진,김광우
조회수: 17,439
▶
2:16
게임 사운드 탄생의 비밀, 폴리 아티스트
영화, 게임 등 영상 콘텐츠의 생동감을 한층 더해주는 소리. 다양한 도구와 신체를 사용해서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소리를 만들어내는 직업이 있다. 바로 ‘폴리 아티스트’. 폴리 아티스트를 찾아 NC소프트의 사운드 던전으로... -------------------------------------대본------------------------------------ 대사: 영상에서 총을 겨눌 때 같은 경우는 자막: 영상에서 총을 겨눌 때 같은 경우는 대사: 문고리 같은 걸로 소리를 내요 자막: 문고리 같은 걸로 소리를 내요 Title: NC SOFT SOUND DUNGEON, FOLEY ARTIST 대사: 안녕하세요, 저는 NC소프트 사운드 센터에서 자막: 안녕하세요, 저는 NC소프트 사운드 센터에서 대사: 소리를 만들고 있는 폴리 아티스트 박준오입니다 자막: 소리를 만들고 있는 폴리 아티스트 박준오입니다 대사: 폴리 아티스트란 주변에 있는 여러 사물들을 이용해서 자막: 폴리 아티스트란 주변에 있는 여러 사물들을 이용해서 대사: 소리를 만들어내는 사람인데요 자막: 소리를 만들어내는 사람인데요 대사: 영상에 따라 그림에 맞게 감정을 표현하거나 자막: 영상에 따라 그림에 맞게 감정을 표현하거나 대사: 포인트를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을 폴리 아티스트라고 합니다 자막: 포인트를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을 폴리 아티스트라고 합니다 대사: 게임 같은 경우는 실제 존재하지 않는 여러 생명체, 자막: 게임 같은 경우는 실제 존재하지 않는 여러 생명체, 대사: 여러 몬스터 자막: 여러 몬스터(의 소리를 만듭니다) 대사: 이런 소리들을 가지고 자막: 이런 소리들을 가지고 대사: 전갈이나 몬스터들이 공격하는 자막: 전갈이나 몬스터들이 공격하는(효과음을 만들거나) 대사: 아니면 눈으로 본 적 없었던 마법 스킬 자막: 아니면 눈으로 본 적 없었던 마법 스킬 대사: 이런 것들을 상상을 먼저 하고 자막: 이런 것들을 먼저 상상하고 대사: 어울리는 재질들을 찾고 자막: 그와 어울리는 재질들을 찾는 대사: 그런 과정들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자막: 그런 과정들을 많이 겪게 되는데요 대사: 게임과 영화의 가장 큰 차이점이 그 부분이 아닐까 자막: 게임과 영화의 가장 큰 차이점이 그 부분이 아닐까 대사: 특별히 어떤 몇 가지만으로 소리를 만드는 건 아니라서 자막: 특별히 어떤 몇 가지 재료만으로 소리를 만드는 건 아니라서 대사: 정말 다양한 물건들을 항상 다 가지고, 소장하고 있거든요 자막: 정말 다양한 물건들을 항상 소장하고 있거든요 대사: 고물상이나 아니면 이런 곳에 가서 직접 만져보고 들어보고 자막: 고물상 같은 곳에 가서 직접 만져보고 들어보고 대사: 필요할 수 있을 것 같애, 이런 것들은 따로 모아서 자막: 필요할 것 같은 것들은 따로 모으거나 대사: 아니면 원룸 단지들 같은 데 보면 자막: 또는 원룸 단지에서 대사: 버려놓은 쓰레기들 중에 자막: 버려놓은 쓰레기들 중에 대사: '어 필요한 것 같은데?'라고 생각되는 게 있으면 자막: '어 필요한 것 같은데?'라고 생각되는 게 있으면 대사: 또 주워오기도 하고 자막: 또 주워오기도 하고 대사: 게임만 전문적으로 하고 있는 사람은 사실 자막: 게임만 전문적으로 하고 있는 폴리 아티스트는 사실 대사: 저희 말고는 아직 없는 상황이고요 자막: 저희 말고는 아직 없는 상황이고요 대사: 영화까지 해서 그런 분들까지 다 합치면 자막: 영화업계에서 활동하시는 분들까지 다 합치면 대사: 열몇 분들이 계시는 것 같고요 자막: (국내 폴리 아티스트는) 열몇 분 정도 계시는 것 같고요 대사: 교육 과정이 특별히 있지도 않고 자막: (폴리 아티스트가) 교육 과정이 특별히 있지도 않고 대사: 대부분 도제식으로 전수되어 오는 일들이 많기 때문에 자막: 대부분 도제식으로 전수되어 오는 일들이 많기 때문에 대사: 한 명이 되게 오래 일하는 자막: 보통 한 명이 오래 일하게 되는 것이 대사: 그런 부분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자막: (국내 폴리 아티스트의) 현실입니다 대사: 실제 저희가 만드는 이런 소리들을 영상에 입히고 자막: 실제로 저희가 만드는 이런 소리들을 영상에 입히는데 대사: 그 영상을 굉장히 인상 깊게, 즐겁게 봐주시면 자막: 그 영상을 (여러분이) 굉장히 인상 깊게, 즐겁게 봐주시면 대사: 그거 자체가 저희는 되게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자막: 그 자체가 저희는 되게 즐겁게 일할 수 있는 대사: 하나의 원동력이 아닐까... 자막: 하나의 원동력이 아닐까... 자막: FOLEY ARTIST BGM 1. iMovie: Adrenaline 2. YouTube 오디오 라이브러리: Scratch_the_Itch
최아현
조회수: 16,095
▶
3:43
서울 詩(시), 대학생의 하루
“ 서울 詩 ( 시 ), 대학생의 하루 ” 영상 기획의도 : 우리의 생활에 밀착해 있는 현대의 시를 통해 현대인의 일상을 바라보자. # 자막 : 이 영상은 도서 ‘ 서울시 ( 저자 하상욱 )’ 의 내용 일부를 인용해 재구성한 컨텐츠로, 중앙북스의 허가를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나레이션 / 자막 -제가 길게 쓸 필요가 있나요. 읽는 분들의 인생에 더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는데. # 타이틀 : 서울 詩 ( 시 ), 대학생의 하루 # 나레이션 / 자막 1 장 - 나는 시 쓰길 좋아하는 평범한 대한민국의 대학생이다. 아는 사람 하나 없이 서울살이를 시작해, ‘ 남들보다 더 열심히? ?, 남들보다 더 성실히’ 를 외쳐온 나는 오늘, 늦었다. - 내가 어떤 시를 쓰냐고? 평범하고, 또 평범한 시. 근데 재밌는 건 대부분이 공감한다는 거. 왜? 그들도 똑같이 평범하니까. 예를 들면 이런 거 - 시1: “끝이 어딜까 너의 잠재력 - 다 쓴 치약 중에서” 2 장 - 20 대의 꽃 같은 대학생의 삶은 생각보다 피곤하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다. 이제 진짜 공부를 해야, 해야 하는데. - 시2: “오래간만에 정말 푹잤어. - 도서관 중에서” 3 장 - 평일의 끝자락, 금요일. 사람들은 할 일을 마치면 대부분 돌아간다. 누군가의 엄마 아빠로, 누군가의 딸로. 그렇지만 나는, 알바생이 된다. 하루 중 제일 시간이 안간다. 시간도 안가고, 손님도 안가고. ( 대사 ) 주인공 : 안녕하세요, 주문 도와드리겠습니다. 손님 : 화이트 초콜릿 모카 프라푸치노에 우유는 저지방으로 바꿔 주시구요, 프라푸치노 로스트 한 펌프 빼주시고 샷 하나 추가에 화이트 모카 시럽 한 펌프 빼주시고 휘핑크림은 두유로 바꿔주세요. 아, 자바칩은 반은 갈고 반은 통으로 생크림 위에 올려주세요. 주인공 : 감사합니다. - 시3: “나만 이런걸까 , 다들 즐거울까? 불금 중에서” 4 장 - 이젠 퍽퍽한 서울살이에 단련돼 어른이 되었다 생각했지만, 난 여전히 응석부리고 싶은 스무살이었다 . - 시4: “다 됐나 덜 됐나 어른 중에서” - 여러분은 오늘 어떤 시를 썼나요? # 엔딩 크레딧 *사용음원:유튜브 라이브러리 / Welcome, Tiptoe out the back, Bongo Madness, After the soft Rains, Rio Night, Spanish Rose, Moving on.
김희원, 김정연
조회수: 17,727
▶
4:30
우리 술, 한 잔 할래요?
술 문화가 활발한 우리 나라에서 정작 전통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부족하다. '바'문화와 '전통주'의 이색적인 만남을 소개하여, 사람들이 한국 전통주의 매력에 빠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나레이션,자막 :'술'은 사람들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하는 동반자 입니다. 하지만, 술 문화가 활발한 우리나라에서 정작 전통주를 마시는 모습은 쉽게 볼 수 없는데요. 여러분은 우리 전통주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우리 술, 한 잔 할래요? #이용자 인터뷰 :- 어떤 술을 좋아하세요?성한빛: 저는 맥주 좋아하거든요. 양한솔: 저도 맥주? 아니면 칵테일도 가끔 마시러 가는 것 같아요. 박근형: 저는 맥주 되게 좋아하는 편이라서,이현우: 저는 요즘 수입맥주 많이 나오잖아요. 마트 가서 잘 골라서 마시는 편인 것 같아요.- '전통주'에 대해 아시나요?성한빛: 막걸리? 양한솔: (다른 건) 뭐 있는 지 잘 모르겠어요.박근형: 막걸리 정도? 그 정도만 좋아하고 (다른) 전통주는 잘 모르겠어요. #나레이션 :와인, 맥주, 칵테일. 요즘 사람들은 양보다 질을 중요시하며 다채로운 술 문화를 즐깁니다.새로운 유행으로 떠오른 ‘바’ 문화와 ‘전통주’의 이색적인 만남,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대표 인터뷰 :- WHAT(이 곳은 무엇을 하는 곳인가요?)우리나라 술을 기존에 있던 위스키 '바' 문화에 결합을 시킨 '바' 형태의 가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술 중에서 막걸리나 탁주, 약주라고 흔히 얘기하는 발효주들을 포함해서 증류식 소주들을 위주로 팔고 있어요. 일반 바들이 위스키 같은 고도주의 술들을 파는 것처럼 우리나라에서 만들고 생산되는 술 중에 40도 정도의 고도주들을 위주로 판매 하고 있고요. 예를 들면 안동소주, 문배주 같은 기본적인 증류식 소주도 있고, 감홍로, 죽력고, 이강주 같은 일반 증류주에 포함되는 술들도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 WHY(어떻게 시작하게 되셨나요?)우리나라 술이라고 하면 좀 올드하거나 오래됐다, 아니면 막걸리, 도자기에 먹어야 하고 그런 이미지가 너무 강한거 같아요. 그래서 좀 세련되고 재즈를 들으면서 유리 글라스에 충분히 먹을 수 있는 술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바'라는 문화를 접목시키면 조금 더 편하게 즐길 수 있고 혼자 와서도 먹을 수 있고, 머리 아픈 막걸리다 이런 느낌에서 조금 탈피할 수 있을 거 같아서 이런 컨셉을 잡았습니다. - HOW(전통주를 즐기는 특별한 방법)대부분의 주점들이 병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병으로 사 먹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큽니다. 그래서 저희 가게는 다른 여느 ‘바’들처럼 우리나라 술을 잔으로도 판매합니다. 글라스 잔으로 판매하니까 어떤 술이던 먼저 드시고 자기의 취향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드리는게 가장 큰 특징 이고요. 그리고 막연히 센 도수의 술들이 어렵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칵테일 형태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바’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손님들이 오시면 추천을 해달라고 말씀을 하세요. 그런 경우들은 일단 제가 취향에 대해 먼저 여쭤보고 취향에 따라 잔으로 먼저 추천을 드리고 그런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용자 인터뷰: - 전통주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나요?양한솔: 막걸리 느낌이 많이 날 줄 알았는데 그냥 일반적인 술로도 즐기기 좋을 것 같았어요.성한빛: 그동안 전통주를 접할 기회가 별로 없었잖아요. 근데 마셔보니까 너무 좋고, 이현우: 전통주가 굉장히 어렵고 거리감이 느껴졌었는데 이렇게 바 형태로 접하니까 매력도 있고,박근형: 처음에는 도수가 높아서 마시기 힘들 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마셔보니까 맛도 좋아서 기분 좋은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대표 인터뷰:우리나라 술들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보시기에 되게 어렵고 접근하기 힘들고 비싸고 그런 이미지가 강해요. 다른 위스키나 외국 술들에 비해 제가 생각할 때는 가성비도 좋고 결코 어렵지 않고 직관적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술이니까 너무 거기에 대한 부담을 갖지 마시고 우리나라 술을 조금 더 쉽게 편하게 즐길 수 있는 그런 안목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나레이션 :바쁜 일상에 지친 오늘, 우리 술, 한 잔 할래요? ---------- 음원 출처: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Fresh Fallen Snow - Chris HaugenBirds in Flight - Dan LebowitzAlmost A Year Ago - John Delay
허유진, 김지우
조회수: 19,140
▶
2:23
당일치기 태안 힐링여행
당일치기 태안 힐링 여행 기획의도 머나먼 곳까지는 향할 수 없지만 삶에 지쳐 조금이라도 여유를 원하는 젊은이들에게 홀로 또는 가족, 친구와 떠날 수 있는 국내 여행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여름에 알맞는 서해의 지상낙원 태안이다. 당일치기 컨셉의 영상으로써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태안의 명소 만리포 해수욕장부터 신두사구, 팜카밀레, 드르니항 꽃게다리 그리고 태안 군민이 소개하는 맛집 정보 등 유용한 팁들을 소개한다. 대본 당일치기 태안 힐링 여행 #첫번째 코스 #만리포 해수욕장 : 태안반도 서쪽에 위치하는 서해안의 3대 해수욕장 중 하나이다. #여름이다 #베이브리즈 #만리포핫플 #바다 풍경 #한국의 사막 신두리 해안사구 : 바닷가 모래들이 바람으로 인해 쌓여져 사막을 만든 곳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해안 사구지대이다. #홍두깨 칼국수 #태안 군민 추천 맛집 #팜카밀레 : 허브를 가꾸고 향기를 전달하는 농원. 다양한 축제를 진행하고 있다. #어린왕자의 정원 #인생샷 건짐 #수국축제 #꽃지 해수욕장 : 낙조가 아름답기로 유명한 서해안의 대표 해수욕장이다. #할미 할아비 바위 : 아름다운 일몰 경관을 보여주는 우리나라 서해안 낙조 감상의 대표적 명소이다. #일몰 최고 (출처 : 충남넷미디어) #간이 횟집 #드르니항 새우튀김 #꼭드세요 #후한 인심 #드르니항 꽃게다리 : 드르니항과 안면도 백사장항을 잇는 해상인도교이다. #한 여름의 꿈 #태안 힐링 여행
최자민
조회수: 19,179
▶
1:39
[카자흐스탄/해외문화PD] KGSP 장학생과의 만남
한국 유학을 꿈꾸는 이들이 주카자흐스탄 한국문화원을 찾아왔습니다! 한국 정부 초청 장학생 프로그램인 KGSP에 합격한 3명의 학생들이 준비 과정, 한국에서의 대학 생활, 인턴쉽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였는데요. SNS 라이브 방송까지 요청 받아 진행했을 만큼 뜨거웠던 현장,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대본----- 내레이션) 주카자흐스탄 한국문화원은 지난 7월 27일 한국 정부 초청 장학생 프로그램 ‘KGSP(Korean Government Scholarship Program) 장학생과의 만남’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27 июля 2018 г. Корейский культурный центр Посольства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провел мероприятие 'Встреча со студентами корей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ипендиальной программы KGSP (Korean Government Scholarship Program)'. 인터뷰) 아라일름,(’18년 KGSP 장학생, 서강대학교 대학원 입학 예정) 제가 KGSP 프로그램에 합격했을 때 (문화원으로부터) 이 행사에 대해 제안을 받았어요. 저는 기쁜 마음으로 동의했고, 제 개인적인 경험을 나누고 싶었어요. Арайлым, стипендиат 'KGSP 2018' (магистратура в университете Соган) После того, как я выиграла данную стипендию, я получила предложение о том, чтобы провести данную встречу. Я с радостью согласилась, так как тоже хотела поделиться своим личным опытом. 내레이션) 3명의 KGSP 장학생은 강사로 참여해 한국 유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SNS 라이브 방송 시청자를 포함해 총 285명의 참석자들은 KGSP 프로그램 정보뿐 아니라 한국 대학 생활에 대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Три студента-стипендиата KGSP выступили перед пришедшими слушателями, представив им общую информацию об обучении в Республике Корея. На встрече приняло участие 285 человек, включая зрителей в прямой SNS трансляции. Слушатели смогли не только получить информацию о программе KGSP, но также узнать об университетской жизни в Корее. 인터뷰) 자리나, 행사 참석자 현재 한국에서 대학교 3학년인 고자이음이 한국에서 얼마나 적극적으로 생활하고 있는지, 한국인들이 자신을 어떻게 대하는지와 같은 이야기가 정말 재밌었어요. Зарина, Участница встречи По рассказам Козайым, которая в данный момент учится уже на 3 курсе, мне очень понравилось, что она очень активно вела жизнь в Корее, и понравилось то, как к ней относились сами корейцы. 내레이션) 이후 참석자들은 질의응답 시간에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라이브 방송 온라인으로도 적극적으로 질문하며 한국 유학에 대한 열의를 보였습니다. Участники проявили большой интерес к обучению в Корее, активно задавая вопросы не только в зале проведения встречи, но и посредством прямой SNS трансляции. 인터뷰) 아델, 행사 참석자 늘 궁금했지만 어디에서도 답을 얻을 수 없었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오늘 드디어 얻었어요. 이 행사에 참여하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나중에 제가 목표로 하는 대학교에 꼭 가고 싶어요. Адель, Участница встречи Я сама сегодня задала два вопроса, которые я нигде не могла найти и вот девочки мне сегодня помогли с этим вопросом. Я очень рада, что посетила это мероприятие. Надеюсь, в дальнейшем я поступлю в университет, как я и планировала. 인터뷰) 고자이음, (’16년 KGSP 장학생, 연세대학교 재학 중) 문화원에서 저도 처음부터 끝까지 한국어를 공부했고 문화원 덕분에 한국에서 공부를 할 수 있게 돼서 정말 언제든지 어떤 방법으로도 보답하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여러 가지 궁금한 것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하고, 한국에서 많은 후배들을 많이 보고 싶습니다. Козайым, стипендиат 'KGSP 2016' (Бакалавриат в Университете Ёнсе) Свое обучение корейскому языку я прошла от начала до конца в Корейском культурном центре, и благодаря Центру я поступила на учебу в Корею. Я очень благодарна Корейскому культурному центру за все и поэтому в любое время и любым способом хотела бы вернуть полученное мною здесь добро. Если у вас будут какие-либо вопросы, можете задавать их мне в любое время. И, конечно я хотела бы увидеть побольше своих 'хубе' (студенты младших курсов) в Корее. 사용 음원 Fun_Activity_Montage.mp3
정혜정
조회수: 4,085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마지막
관련기관 안내
이전
정지
재생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