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젊음의 여름봉사('72)-미술인 초청 다과회('72)-프로복싱 동양 주니어 웰터급 선수권 쟁탈전('72)-제1회 대통령배 쟁탈 전국 남녀 농구대회('7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석탄 채탄('61)-하버드대학교 합창단('61)-세 쌍둥이 위성('61)-한일 친선 농구('6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재일 동포 하계학교 개교('75)-밀양 향토 박물관 개관('75)-식생활 개선 전시('75)-장발족 단속('75)-제6회 아시아 AG 수영 선수권 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명랑한 여름철('71)-육군 여군 간부후보생 졸업·임관식('71)-전천후 하역장('71)-학생봉사활동('71)-영국과의 친선 축구('7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안동 다목적댐 건설 현장('74)-광산촌의 광부('74)-가나안 농군학교에서 실습('74)-고등학생들의 봉사활동('74)-대학생 병영훈련('7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석문 간척 자조근로사업장('68)-한국정유공장('68)-홍차 잎 재배('68)-구례방송 중계소 개소식('68)-대간첩 전투대 위문공연('68)-새로운 수박 생산 성공('68)-미리폴스키 유화전('68)-낙우회 조각 작품전('68)(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늘어가는 수출('80)-정치계와 경제계 인사 간담회('80)-결핵치료제 전달('80)-제1차 아시아 기독교 연합대회('80)-합동결혼식('80)-산악협동 세미나('80)-예총 이동극장 마련('8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양호 진수식('63)-삼척의 남산 절단 공사('63)-세계 최대 요트경기대회('63)-외로운 고아 돕기('63)-미국 캘리포니아 경마대회('63)-故 성의경 컵 쟁탈 제1회 전국 아마추어 권투대회('63)-한·일 친선 유도대회('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나라사랑 자연사랑('84)-현대종교 미술전('84)-KBS 교향악단 정기 연주('84)-제12회 해군참모총장배 쟁탈 수영대회('8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3회 독립신문 기념상 시상식('69)-스웨터 수출공업단지 준공식('69)-뇌염 공보('69)-바다를 메워 옥토를 일다('69)-찰스 왕자 황태자 책봉식('69)(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못 다한 고백
못 다한 고백(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정책방송원
만화 속에 담긴 작은 세상 - 이원복 덕성여대 교수
만화 속에 담긴 작은 세상 - 이원복 덕성여대 교수(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25 특집> 낙동강 전선과 임시수도 부산
6.25 특집 낙동강 전선과 임시수도 부산(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군 항공창 준공(62')
*시사 줌인-공군 항공창 준공(62')*시사 줌인-뻗어가는 방송망(62')*시사 줌인-근로재건단의 생활(62')*그때 그 시절-모심기(62')*그때 그 시절-새해에 조기 풍어(62')*그때 그 시절-남대문 보수(62')*그때 그 시절-남인수씨 가다(62')*문화 예술-젊은 천재 음악가 초청 음악회(69')*문화 예술-제1회 부산 충열제(69')*해외 토픽-핵 잠수함 라화에호 진수(62')*해외 토픽-뉴욕에 새로운 고층 건물(62')*해외 토픽-맥주통 들기 시합(62')(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치있는 활엽수, 계방산의 숲
가치있는 활엽수, 계방산의 숲(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댁의 부인은 어떠십니까?
1966년 개봉 감독 :이성구 주연 : 신성일 KTV 시네마에서 함께 합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그리운 형사님 - 용산경찰서 김상중 형사 편
그리운 형사님 - 용산경찰서 김상중 형사 편(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쿄 코리아센터, 한류 '전진기지'
어제 일본 도쿄에서는 코리아센터 개원식이 열렸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곳을 한류의 전진기지로 삼겠다는 계획입니다. 일본의 수도 도쿄 중심부에 우리나라의 문화를 알릴 수 있는 코리아센터가 문을 열었습니다. 개원식에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비롯해 한, 일 정관계와 문화예술계 주요인사 300여명이 대거 참석했습니다. 유장관은 축사를 통해서 코리아 센터가 더욱 성숙한 한일 관계의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도쿄 코리아센터는 다른 지역의 코리아센터와 달리 처음으로 해외에서 신축한 것으로 우리 전통 미를 살렸습니다. 승무가 가진 곡선의 멋과 한국 전통의 건축미를 현대적으로 형상화했고 전통 한옥 사랑방과 대청마루, 전통 정원 등을 갖추고 있어 일본 도심 속에서 한국의 정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코리아센터는 해외 문화원에 한국관광공사와 한국문화 콘텐츠 진흥원 등 문화부 관련 기관들의 해외사무소를 통합한 것으로 우리 문화의 전진기지 역할을 합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2012년 완공을 목표로 뉴욕 맨하탄에 뉴욕 코리아센터를 짓고 있으며 해외에서 운영중인 한국문화원을 코리아센터로 전환해 우리 문화의 홍보 거점으로 키워나갈 계획입니다. KTV 강명연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드라마 - 네모칸 안에 세상을 그리다! - 이원복
포토드라마 - 네모칸 안에 세상을 그리다! - 이원복(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름다운 울림 - '한 알의 진주' 박영숙
한 알의 진주 / 박영숙하늘을 향해가슴을 열다 삼켜버린작은 모래 한 알살속 깊이 파고드는소금가는태산처럼 몰려오는파도를 칼질하며어제와 오늘이 흘러가고숨죽여 내려와공격하는 거북을 피해갈매기처럼날고 싶던 작은 소망채찍으로 밀려오는 포말의 기도에저 큰하늘 눈에 핏발이 선다세월 속에 절여진노을빛 꽃물이바다 위에 내려 않고조개 입에 물리는 재갈눈물로 구워낸태고의 남빛으로승화된 아픔이 탄생하는 날한 알의 진주가고통으로 물든 사연빛으로말을 한다(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믿고 이끌어 주던 고마운 나의 형님 - 이원복 (덕성여대 시각디자인과 교수/만화가)
'놀러가고 싶은 농어촌' 만들기
농어촌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추진중인 '농어촌 체험마을' 조성이 확대됩니다. 또한 그 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달에는 '농어촌 여름휴가 페스티벌'도 열립니다. 경기도 이천의 부래미 마을. 주민이 3백명 남짓한 이 작은 마을이, 지난해 6억원의 관광매출을 거뒀습니다. 마을의 특성을 잘 살려, 도시민들이 농사일과 생태환경을 즐길 수 있는 체험마을로 자리잡았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이처럼, 농촌과 어촌의 지역 문화를 보존하고 자연경관을 널리 알리는, '농어촌 체험마을' 조성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2013년까지 어촌 체험마을 112곳, 2017년까지 농촌 체험마을 850곳을 조성해 농어촌 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도시민들에게는 각 지역의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다음달 2일부터는 '2009 농어촌 여름휴가 페스티벌'을 개최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국 100여곳의 농어촌 체험마을 등, 전국 각지의 명소를 도시민들에게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할 예정입니다. 꽃사탕과 천연비누 만들기, 뗏목 타기, 떡매 치기 등, 농어촌의 다양한 모습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습니다. 정부는 농어촌 체험마을을 관광 수입원 차원을 넘어, 도시와 농어촌이 문화와 체험으로 만나는 진정한 교류의 장으로 만들어가겠다는 계획입니다. KTV 김민주입니다.(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