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행주대첩 기념비('63)-제9회 과학전람회('63)-제2회 상품 포장 전시회('63)-충남 애축의 날 기념행사('63)-연산교 준공('63)-덕수궁 안뜰 민속예술 미인선발대회·대관식 거행('63)-영국의 대학 축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한 실상 폭로('67)-크레인 준공('67)-쥐잡이 시범마을('67)-국무총리 태국 방문('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3회 잼버리('67)-대북 종일방송 시작 기념식('67)-춘천방송국 중계소 준공('67)-국내 언론인단 월남 방문('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선광장 건설('61)-모이어 박사 내한('61)-인기 만점 거북이('61)-미녀와 사자('61)-한일 학생 농구단('6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복궁 서문 영추문 복원 준공('75)-청담교 준공·강남2교 개통('75)-학생들의 6·25 격전지 순례 대행군('75)-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 준공('75)-새마을 도토리 국수 공장('75)-미군 기지 위문공연('75)-제2회 세계태권도대회('7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래잡이('63)-고아들을 위한 작업보도센터 설립 개소식('63)-재향군인회 전북지구 단합 촉진대회('63)-우리나라 최대 규모 어린이 놀이터 건립('63)-글라이더 명명식('63)-대형 수족관의 돌고래('63)-독일에서 수상스키대회 개최('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피해복구에 총력을('81)-과학전람회('81)-천주교 150주년 사진 전시회('81)-제31회 여군 창설 기념식('81)-길 따라 풍물 따라('81)-한일 고교 야구('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희여고 학생 봉사단('67)-민족문화센터 건립 공사('67)-전투경찰 발대식('67)-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식('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변차선 등장('81)-자연보호 수중 경진대회('81)-목각 마을('81)-오대산의 국보('81)-국제 민속 음악제('81)-제17회 쌍용기 쟁탈 전국 고등학교 농구대회('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범 운전자 표창식('70)-월남 아가씨들의 방한('70)-자동 건강측정기 도입('70)-경남모직 모직물 의상 발표회('70)-포르투갈 축구팀 초청경기('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전 무용곡1 성주풀이
성주풀이는 성줏제를 지낼 때 무당이나 판수가 굿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한국전통소리문화
제 58회 정기연주회 박접무
박접무는 향악정재에 속하며, 조선 순조 때 효명세자가 중국 당나라 무용을 모방한 것으로 추측된다.
경기민요 뱃노래
뱃노래는 경상도 민요로 굿거리장단에 의한 활기차고도 율동적인 가락을 지녔으며, 그리 오래되지 않은 노래이다.
2001 송년의 밤 해령
조선 시대 궁중 잔치에서 잔치 음악으로, 혹은 길을 가면서 연주하는 행악 중 하나로 연주되던 곡이다.
제 81회 정기연주회 타악앙상블
타악앙상블은 여러 개의 북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장단과 함께 즉흥적이며 흥이 절로 나는 타악합주곡이다.
제 45회 정기연주회 정대업지곡
정대업의 내용은 태조의 4대 선왕과 건국 이후 외적과 맞서 공을 세운 왕의 무공(武功)을 기리고 있는 것이다.
경기민요 각설이 타령
각설이 타령은 옛날 각설이나 걸인이 남의 집 앞이나 장터에서 손을 벌려 구걸할 때 부르던 잡가이다.
수궁가 완창 남해성 수궁가 완창 남해성_01
판소리 같은 매우 긴 사설에 비하여 짧은 사설을 가졌다는 뜻으로 단가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국 민속 무용곡 2집_13
한국무용은 한국에서 예로부터 전해져 현존하는 춤이거나 소멸하여 이름만 남아 있는 춤, 혹은 새롭게 창조된 춤 양식을 총칭한다.
진도축가 신고산타령 가야금 삼중주
가야금은 가얏고라고도 한다.
한국 민속 무용곡 1집_03
고전 무용곡1 꽃타령
자진모리장단의 빠르고 흥겨운 신민요로, 봄철 아낙네들이 동산에 올라 봄놀이를 하며 부르던 노래이다.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