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별문양
문양설명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선비에 비유하여 부르는 말이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이들 각각의 성질이 군자가 지녀야할 품성이라고 여겨 시화에서 즐겨 다뤘다. 이들 소재는 주로 문인화풍 수묵화로 다루어졌는데 중국에서는 송대에 유행하였고 우리나라도 그 영향을 받아 고려시대 이후 성행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