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보상화문(7008) 크게보기
보상화문(7008)
문양구분
(3D)
문양분류
식물문/보상화문
국적/시대
한국/고려
원천유물명
반자
문양설명
보상화무늬는 연꽃을 모체로 하여 꽃잎들을 층층이 중첩시켜 화려한 색채와 장식성을 부가한 것이다. 통일신라 이전에도 이와 유사한 무늬가 있었으나 단층의 조형화가 비교적 간단하였다. 그 뒤 통일신라 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양이 보다 화려해지면서 다방면에 걸쳐 사랑받았다. 보상화의 보(寶)는 진귀함을 뜻하는 말로 불교에서는 탑을 보탑이라고 하는 것이 같은 용례이다. 보상화는 천상계를 상징하는 꽃이다. 성인이 득도하였을 때나 하늘에서 내려올 때, 또는 하늘로 다시 올라갈 때의 그림에는 여러 모양의 천화가 나타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