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복숭아문(63522) 크게보기
복숭아문(63522)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식물문/복숭아문
국적/시대
한국/조선
원천유물명
백자투각 도문 원형필통
문양설명
복숭아는 일명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라고 불리기도 한다. 전설적인 산 곤륜산에 살고 있는 신선 서왕모가 가꾸었다는 천도(天桃)는 3000년 만에 한번 꽃이 피고 3000년 만에 열매를 맺는다고 한다. 삼천갑자 동방삭이도 이 복숭아를 훔쳐 먹고 오랫동안 살았다고 한다. 예로부터 무릇 수도(壽桃)라고 일컬을 때는 모두 장수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복숭아는 장수를 축원하는 잔치에 빼놓을 수 없는 과일로 되었다. 이런 이유에서 십장생도 종류의 그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복숭아는 불로장생과 이상향을 상징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