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영지버섯문(20754) 크게보기
영지버섯문(20754)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식물문/영지버섯문
국적/시대
한국-조선
원천유물명
청화백자십장생문병
문양설명
십장생무늬 중 영지버섯문이다. 영지버섯은 일 년에 세 번 꽃이 피기 때문에 삼수(三秀)라 부르기도 한다. 옛사람들은 영지버섯을 서초(瑞草: 상서로운 풀) 또는 선초(仙草: 신선의 풀)라 부르기도 하였다. 사람들은 이것을 먹으면 기사회생하고 불로장생(不老長生)한다고 믿었는데, 이런 관념은 『사기(史記)』「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중 바다 가운데 삼신산에 있다는 불로초에 대한 관념과 관련이 깊다. 영지버섯은 그 모양이 여의(如意)를 닮았다고 하여 길상(吉祥)의 상징물로 널리 인식되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