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별문양
문양설명
복숭아는 장수를 축원하는 문양이기도 하고 불수감(佛手柑: 감귤과의 식물로 부처의 손을 닮았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 석류와 삼다(三多)에 포함되는 식물이다. 삼다(三多)란 옛 사람들이 가장 바라는 것으로 건강하게 장수하며, 행복하게 살고, 자녀가 많아 그 자손이 번창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 중 복숭아가 나타내는 가장 큰 상징은 장수이다. 전설에 의하면 서왕모는 곤륜산에 살면서 천도(天桃)를 가꾸었는데, 천년 만에 한번 꽃이 피고 3천년 만에 열매를 맺는다고 한다. 고전에 등장하는 삼천갑자동방삭도 이 천도를 훔쳐 먹고 삼천갑자를 살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복숭아무늬는 십장생도에서 주인격으로 등장하기도 하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