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꽃문(11057) 크게보기
꽃문(11057)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식물문/꽃문
국적/시대
한국-조선
원천유물명
다식판
문양설명
꽃문은 꽃의 특징을 살려 간략하게 표현한 것으로 사화(四花), 오화(五花), 육화(六花), 팔화(八花) 등이 주로 쓰이며 평면상으로 반만 그린 것은 반화, 그 전체를 그린 것을 온화라고 한다. 꽃은 아름다운 것, 혹은 아름다운 여자, 아름답고 화려한 시절 등을 비유한다. 여러 가지 꽃의 형태를 나타낸 문양은 인간의 기원이나 바람이 소재 선택의 기준이 되고 있으며 꽃문은 화목·다복·다손·다남자·여인 등 다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쓰인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