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백자청화소형각병(110392) 크게보기
백자청화소형각병(110392)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식물문/소나무문, 동물문/사슴문
국적/시대
한국-조선
원천유물명
백자청화소형각병
문양설명
이 문양은 사슴, 달, 소나무문양이 조합되어 있는데 소나무는 십장생의 하나로 장수를 뜻한다. 또한 대나무, 매화와 더불어 세한삼우라 한다. 즉 다른 나무들과 달리 소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시들지 않아, 역경을 만났을 때도 떠나지 않고 남아 있는 친구 즉 영원히 변치 않는 우정에 비유되었다. 유교에서는 절의와 지조의 상징으로, 탈속과 풍류를 대표하는 식물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생활도구에 나타나는 소나무무늬는 대부분이 장수의 상징물로 취해진 것들이 많다. 베개를 베고 자는 사람의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만들어 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독으로 그려지거나 학이나 사슴 등과 함께 등장하여 소나무·학문, 소나무·사슴문 형식을 갖춘 경우도 있고 때로는 바위와 함께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사슴은 장수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불멸의 신성한 순간을 포착해낼 수 있는 유일한 동물로 여겨왔다. 종종 관리들의 벼슬을 상징하는데, 사슴 녹(鹿)자와 벼슬 녹(祿)자는 같은 음이기 때문이다. 또한 불행과 질병을 막아주는 주력을 가진 동물로 여겨져 왔다. 노자나 신선들을 그린 그림을 보면 사슴 한 쌍이 등장하는데, 수사슴은 항상 입에 불로초를 물고 있으며 부부가 항상 화목하라는 의미를 갖는다. 도자, 회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유물에 사슴을 표현하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