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백자청화불수감박쥐문호(110350) 크게보기
백자청화불수감박쥐문호(110350)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문자문/아자문, 식물문/불수감나무문, 동물문/박쥐문
국적/시대
한국-조선
원천유물명
백자청화불수감박쥐문호
문양설명
이 문양은 불수감과 박쥐문을 표현한 것으로 불수감은 감귤류에 속하는 과실로 중국 남방의 광동지방에서 많이 난다. 겨울에 열매를 맺으며 빛깔은 선황색이다. 모양이 부처의 손가락을 닮아서 불수감이라 부르며, 특히, 불교적인 상징무늬로 많이 쓰인다. 불수(佛手)의 불(佛)이 복(福)과 발음이 유사하여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도자기나 건물의 단청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박쥐는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복의 상징물로 사용된다. 박쥐는 길상 문양으로 많이 쓰이며, 강한 번식력 때문에 다산(多産), 득남(得男)을 상징하기도 한다. 박쥐 두 마리를 그린 문양은 쌍복을 의미하고 박쥐 다섯 마리를 그린 문양은 오복을 상징한다. 또 편복의 복자가 복을 의미하는 복(福)자와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하여 복을 상징한다. 따라서 의복, 장신구, 가주 장식물, 건축물, 도자기 등 여러 기물에 박쥐가 새겨졌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