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수덕사 범종각 초석(82299) 크게보기 수덕사 범종각 초석(82299) 크게보기
수덕사 범종각 초석(82299)
문양설명
수덕사는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로 문헌으로 남아있는 기록은 없지만 백제 위덕왕대(554-598)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1937년 대웅전 수리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해 수덕사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지어졌음이 밝혀졌다. 수덕사는 조선시대 고종 2년(1865)에 만공이 중창한 후로 선종의 근본도량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범종각은 1973년에 건축되었으며 같은 시기에 제작된 범종을 봉안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이다.
수덕사 범종각 초석으로 연꽃무늬를 표현하였다. 꽃잎은 바닥을 향하여 벌어져 둘러진 모습이다. 꽃잎의 끝부분은 3자형으로 보이며 겹꽃으로 나타내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