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귀면와는 도깨비 얼굴을 새겨서 사래 끝에 붙이는 기와로 흔히 도깨비기와라고도 한다. 옛날 사람들은 나쁜 귀신을 쫓는 것은 영악한 귀신이라야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귀면와를 사래 끝에 만들어 달았다. 기와 표면에 눈, 코, 입을 중점적으로 강조해서 무서운 표정을 나타냈고, 눈썹 사이에 구멍을 뚫어서 사래 끝에 못을 박게 만들었다.
귀면와의 일부분으로 부릅뜬 두 눈과 코, 크게 벌린 입과 이빨의 일부분이 보인다. 귀면와의 둘레에는 구슬이음문을 더하여 나타내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