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백자청화는 유약을 입히기 전의 그릇 표면에 코발트계의 청색 안료로 그림을 그리고 순백자와 마찬가지로 잡물의 함유가 전혀 없이 순도가 높은 장석계 유약을 그 위에 씌워서 번조한 것이다. 대접은 국이나 숭늉 등을 담을 때 쓰는 식기로 위는 넓적하고 아래는 평평하다.
대접의 바깥 면으로 청화안료를 사용해 나무무늬를 나타내었다. 나무는 잎사귀와 함께 열매를 더하여 표현하였다. 잎사귀나 열매는 나무줄기보다 큼직한 편이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