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반닫이는 장방형의 궤 중 앞면 상단의 반쪽을 여닫는 가구로서 의복, 책, 제기(祭器) 등 다양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고 위판에 물건을 얹을 수 있는 다용도 가구이다. 보통 나뭇결이 좋은 두꺼운 판재에 무쇠, 황동, 백동으로 된 장식이 어우러져 있다. 장석은 전통 목가구나 건축물에 붙여 나무가 뒤틀리는 것을 막고, 이음새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고, 문을 여닫기 위해 만든 금속제 장식을 말한다.
앞바탕에 표현된 기하문양이다. 앞바탕은 금속판을 단순화된 보상화형태로 오려 나타내었다. 앞바탕위에 기하문이 포개져 있다. 투각된 4개의 반동그라미문을 사각형태로 배치하고 그 주위로 투각된 타원형과 ‘♡’형의 기하문을 교대로 배치하여 원을 만들어 장식하였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