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삼층농 광두정(77941) 크게보기 삼층농 광두정(77941) 크게보기
삼층농 광두정(77941)
문양설명
농(籠)이란 장(欌)과 더불어 안채 가구의 기본이 되며 한 층 한 층 따로 된 같은 크기의 궤를 2층 또는 3층으로 포개어 놓도록 한 가구이다. 포개어 놓으면 장처럼 보이는데 농에는 대개 개판이 없으며 개판이 붙은 농을 개판농이라고 부른다. 농의 재료는 오동나무가 애용되었으며, 먹감나무, 느티나무를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나전(螺鈿), 지롱(紙籠), 죽장롱(竹欌籠) 등도 애용되었다.
광두정은 못의 일종으로 시선을 거스르기 쉬운 못 자국이나 흠 따위를 감추고 허전한 공간에 적절히 배치하여 전체의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장식성과 기능성을 겸하는 장석이다. 8장의 꽃잎을 가진 꽃을 표현하였다. 꽃잎 안쪽 면에는 네 송이의 꽃을 투각하여 나타내었다. 꽃잎은 6장이며 한쪽 끝이 둥글고 반대쪽 끝이 뾰족하게 말린 모습이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