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화각자(7578) 화각자(7578)
화각자(7578)
문양설명
화각자는 화각(華角)으로 장식한 바느질 자이다. 화각은 쇠뿔에 맑은 부분을 펴서 투명한 종잇장처럼 깎은 뒤 거기에다 오채(五彩)의 그림이나 화판(花瓣)만을 도식화(圖式化)한 문양을 그려 넣어 나무에 부착시킴으로써 화려하게 꾸며주는 것이다. 이 화각자는 양쪽에 12간지의 동물을 장식하였다. 십이지(十二支)는 육십(六十) 갑자(甲子)의 아래 단위를 이루는 12개의 요소로,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등의 동물로 표현된다. 이들은 12방위에 맞추어 몸은 사람, 얼굴은 각각의 동물 모양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일찍이 도교의 방위신앙에서 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후에는 불교의 십이수(十二獸) 개념과 결부되어 탑의 옥개석, 능묘의 호석 등에 부조되었다. 사찰의 석탑이나 불전(佛殿)의 벽에 장식된 십이지의 상을 보면, 대체로 갑옷이나 도포를 입은 사람의 몸에, 얼굴은 쥐, 소, 호랑이 등 십이지의 동물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그들의 본분이 삼보(三寶)와 국토, 중생들을 옹호하는 것임을 위세를 통해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그들은 불법(佛法)을 해치는 무리에 대해서는 위세를 떨쳐 일단 항복을 받지만, 그 다음에는 자비로운 마음으로 그들을 다시 소생시켜 불도(佛道)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민간에서는 새해가 되면 해당 동물이 그 해에 지니는 상징 의미를 마음속에 새기며 새해를 맞는 자세를 가다듬기도 하는데,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즉 십이지는 도교와 불교의 방위, 수호 개념에서 발전 확대된 벽사와 길상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십이지 각각의 띠에 해당하는 사람의 액운을 막아주고 복을 주는 존재로 자리매김 되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