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자(7533) 자(7533)
자(7533)
문양설명
나무로 만든 자이다. 자는 길이, 너비. 깊이, 두께, 각도 등을 헤아리는 데 쓰이는 모든 공작의 기준이 되는 연장이다. 자는 목재를 마름질하는 데 쓰는 것, 토지를 재는 것, 피륙을 재는 것 등 재는 대상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그 중 집을 짓거나 배를 만드는 데 쓰인 자가 종류나 형태에 있어서 가장 다양하다. 이 자는 피륙을 재는 자로 대나무로 만들었다. 한 일(一)자의 긴 몸 위에 매화문과 모란문, 열매가 달린 덩굴문을 새겼다. 대나무를 지져서 무늬를 새기는 낙죽 기법을 사용하였다. 매화는 고결한 선비나 정절의 여인을 상징한다. 이른 봄에 홀로 피어 봄의 소식을 전하고 맑은 향기와 우아한 운취가 있어 순결과 절개의 상징으로 널리 애호되었다. 매화의 다른 이름인 보춘화(報春花)는 겨울이 끝나고 봄이 문턱에 올 즈음에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봄·겨울 홀로 핀 늙은 매화의 고고한 자태를 표현한 그림은 군자의 지조와 절개로 비유되고 있다. 또 겨울이 되어 잎이 지고 나면 죽은 것처럼 보이나 다음 해 다시 꽃이 피는 속성을 지니고 있어 장수의 상징물로도 여겼다. 모란은 화려한 자태로 인하여 꽃 중의 왕으로 일컬어지며, 화목·부귀영화·번영을 상징한다. 고려시대 청자에서 간결하게 도안된 모란무늬가 쓰이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분청사기를 비롯하여 청화백자·진사백자·철화백자 등에서 민화풍의 회화적인 필치로 그린 모란꽃무늬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덩굴은 한자 표기로 당초(唐草)로 곧 당나라풍의 덩굴무늬를 가리킨다. 당초라고 하는 용어는 원래 겨우살이덩굴(인동초)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인동초(忍冬草)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등지의 산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우살이 덩굴식물이다. 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장수와 대(代)를 이음을 상징하게 되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