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이조자기병(7495) 이조자기병(7495)
이조자기병(7495)
문양설명
이것은 조선시대의 자기 병이다. 청자와 백자의 중간에 해당하는 색깔을 보이고 있으나, 정확한 것은 알기 어렵다. 몸체에 풀꽃무늬가 그려졌다. 풀꽃문은 대칭형을 이루며 간단하고 소박하게 표현되며 사실적인 문양보다는 단순화된 문양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여기에서 자연스러운 서민의 인식과 풍치를 발견할 수 있다. 풀꽃문은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자연에 순응할 줄 아는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풀꽃문의 전성기는 조선시대 중반에 해당되며, 실용성을 위주로 하는 조선시대 공예의 이념을 잘 나타내며 간결하고 활달한 멋을 느낄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