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은제장생문장도(7418) 은제장생문장도(7418)
은제장생문장도(7418)
문양설명
달은 오래전부터 여성적인 원리를 상징하며 음을 나타낸다. 소나무는 사계절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하여 예전 사람들은 이것을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또 다른 나무들과 달리 소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시들지 않아 역경을 만났을 때도 떠나지 않고 남아 있는 친구 즉 영원히 변치 않는 우정에 비유되었고, 나아가 유교적 절의와 지조의 상징이 되었다. 그런데 생활 문양에 나타나는 소나무는 대부분이 장수의 상징물로 취해진 것들이 많다. 특히 십장생도(十長生圖)의 소재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단독으로 그려지거나 학이나 사슴 등과 함께 등장하여 장수를 상징한다. 사슴은 미려한 외형과 온순한 성격을 가진 동물로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동물로 인식되어 왔다. 사슴은 무리를 지어 살기 때문에 자리를 옮길 때마다 머리를 높이 들어 뒤에 낙오자가 없는지 살피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는데 이에 연유하여 우애의 상징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십장생 중 하나로 장수를 상징하는데, 주로 장수의 상징으로서 등장할 때는 소나무, 바위, 불로초를 배경으로 삼고 있는 경우가 많다. 종종 관리들의 벼슬을 상징하는데 사슴 록(鹿)자와 벼슬 녹(祿)자가 같은 음을 내기 때문이다. 또한 불행과 질병을 막아주는 주술적인 힘을 가진 동물로 여겨져 왔다. 거북은 사령(四靈)과 사신(四神)에 포함되는 상서로운 동물로 여겨져 왔다. 거북은 바다 신의 수행원인 하백사자(河伯使者)이며 다양하게 변형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거북은 하신(河神)으로 묘사된다. 또 옛사람들은 거불이 주술적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 껍질을 불에 구워 트는 모양을 보고 미래의 길흉(吉凶)을 점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거북은 사방신(四方神)의 하나인 현무(玄武)로서 북방을 수호하는 방위신으로 신앙되기도 했고, 달의 화신과 수성(水性)과 천지 음양의 상징으로 보기도 했다. 또한 다른 동물보다 수명이 긴 생태적 속성에 기인하여 장수의 상징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옛사람들은 거북의 행태를 관찰하고 해석하여 등이 융기한 것은 하늘의 법을, 아래가 평평하고 네모난 것은 땅의 법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또한 거북은 여름에는 연꽃에 놀고 겨울에는 연뿌리에 숨는데 숨을 쉬면 검은 기운이 있어 연무 같고 이 연무를 내뿜어 환영의 궁전을 조성한다고 믿었다. 문양에 등장하는 거북의 모습을 보면 여기에서처럼 입으로 상서로운 기운(瑞氣)을 내뿜는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많은데, 이것은 신령한 동물 또는 상서의 징후를 상징하는 것이다. 때로 거북은 용의 머리와 같은 벽사귀면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번개문은 지그재그 모양 또는 갈 지(之)자 모양의 무늬를 가리키는데, 이는 곧 번개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번개는 농경사회에서 가뭄에 비를 몰고 오는 길조로 여긴다. 또 번개문은 연속되는 무늬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상징한다.
장도는 칼집을 갖춘 작은 칼로서 휴대용 장신구로인데 신라 시대부터 남녀가 공용으로 찼으며 조선시대에는 노리개로 유행하였다. 남자들은 주머니, 담배쌈지와 더불어 주머니에 착용했으며, 여자는 치마 속 허리띠에 차거나 노리개의 주체로 이용하였는데 호신용으로도 사용되었다. 장도는 칼자루와 칼날, 칼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칼자루와 집은 먹감나무, 대추나무, 쇠뼈, 대모, 산호, 금, 은, 옥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다. 이 은제장도는 호로병 세 개를 연결해 놓은 것처럼 보이는 마디형의 은장도로서 칼집과 칼자루 전면에 십장생문을 시문하였으며, 가운데 부분을 도톰하게 손에 쥐기 편하게 만든 남자용 장도다. 손잡이의 맨 윗부분에는 십장생에는 포함되지 않는 원숭이가 새겨졌다. 그 아래로 두 마리의 학이 단수자(團壽字)를 중앙에 두고 마주보며 날고 있는 모습이 새겨졌다. 장도의 가운데 부분에는 소나무 아래 노닐고 있는 사슴이 새겨졌으며 장도 아랫부분에는 정기를 내뿜고 있는 거북이가 새겨졌다. 장도의 맨 끝에는 회(回)자 모양을 연속시킨 번개무늬를 둘러 새겼다. 중간의 작은 마디에는 도안화된 꽃문양을 둥글게 돌아가며 시문하였다. 원숭이는 원후라 하기도 하는데, 후와 후(侯)의 발음이 같은 것과 관련하여 제후(諸侯)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으며 이것이 발전하여 관직 등용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동양의 관념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장생에 대한 염원을 꼽을 수 있다. 십장생은 해, 산, 돌, 물, 구름, 소나무, 불로초(영지버섯), 거북, 학, 사슴을 말한다. ‘십(十)’이란 숫자는 모든 수를 갖추는 기본을 의미하며 이런 십장생문(十長生紋)은 주로 18세기 이후에 유행하는 문양 중의 하나이다. 학은 장수와 고고함을 상징한다. 옛 문헌에도 “학은 양의 새이다. 16년에 소변(小變)하고 60년에 대변(大變)한다. 2년에는 잔털이 떨어져 검은 점으로 변하고 3년에는 머리가 붉게 변한다. 7년에 은하수를 치고 날며 또 7년에 춤을 배우고, 다시 7년에 절도를 터득한다. 밤과 낮으로 12번 울며 60년에 큰 털이 빠지고 뭇 털이 무성해진다. 깃털은 눈같이 희어서 진흙탕에도 더럽혀지지 않는다. 160년에 암수가 서로 만나 눈을 마주쳐 주시하면 잉태한다. 1600년 동안 물을 마시지만 먹이는 먹지 아니한다. 물을 먹기 때문에 부리가 길며 앞은 훤칠하고 뒤는 짧다. 땅에 깃들이기 때문에 다리가 길고 꼬리는 추레하다. 구름 위를 날기 때문에 털은 풍성하나 몸은 깡말랐다. 갈 때는 물가에 의지하며 그칠 때는 반드시 수풀에 모인다. 날개 달린 동물의 우두머리이며 선인이 타고 다닌다”고 하였다. 십장생무늬에서는 보통 영지버섯(不老草)를 물고 구름 속을 나는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여기서는 장수를 상징하는 길상문양인 단수자(團壽字)가 나타난다. 옛 사람들은 구름은 천신이나 신령들이 부리는 탈것일 뿐 아니라, 만물을 자라게 하는 비의 근원이라고 여겼다. 따라서 상서로운 구름무늬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장수와 길상을 상징했다. 중국에서는 구름 운(雲)자와 운수 운(運)자가 같은 음을 낸다고 하여 구름은 길운(吉運)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왔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