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청화백자사각연적(7366) 크게보기 청화백자사각연적(7366) 크게보기
청화백자사각연적(7366)
문양설명
연적은 벼루에 먹을 갈 때 적당한 양의 물을 떨어뜨려 주기 위한 목적에서 고안된 용기로, 구멍 둘을 내어 공기를 조절함으로써 연적 안에 물을 넣고 또 원하는 만큼의 물이 나오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문을 숭상하던 조선시대에 들어와 연적에 대한 수요는 증가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적들이 만들어 졌다. 특히 18세기에는 문인 사대부 취향의 그릇들이 다수 제작되는데, 그 한 예로 시정이 넘치는 작고 아담한 각종 연적들이 만들어진다. 형태로는 팔각, 사각 같은 각형이 등장하였고 조선 고유의 두꺼비나 개구리 연적, 무릎 연적, 복숭아 연적처럼 다양하고 정감 어린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연적은 일반적으로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됐지만 비교적 큰 것은 장식품으로 애호되어 왔다. 이것은 청화백자 사각연적으로 윗면에 난초를 청화로 그려 넣었다. 측면에는 모두 이름을 알 수 없는 풀꽃을 청화로 그려 넣었다. 난초꽃이 정신적인 완성이나 순결을 상징하는 것은 동양과 서양이 같다. 특히 난초는 동양에서 사군자에 속해 군자의 기상에 비유되었다. 한편 『화경(花經)』에서는 “난초의 다른 한 종류로 그 잎이 난에 비해 조금 넓고 부드러우며, 꽃이 자백색(紫白色)인 것을 손(蓀)이라 한다”라 하였다. 따라서 우리 선조들은 난초 ‘손(蓀)’과 자손을 말하는 ‘손(孫)’은 같은 소리가 난다고 하여 난초를 자손번창의 상징으로도 여겨왔다. 또 공자가(孔子家)에서 전하는 말에 “착한 사람과 사귀는 것은 마치 난초를 가꾸고 있는 방에 들어가는 것과 같아 오래 있으면 그 향기를 맡지 못하나 곧 그것과 동화된다”라고 하였다. 이 말의 뜻은 군자의 교제는 바로 난초를 가꾸는 방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는 비유한 것으로 예부터 사람들은 자신을 알아주는 좋은 친구를 난우(蘭友)라 하였다. 풀꽃문은 대칭형을 이루며 간단하고 소박하게 표현되며 사실적인 문양보다는 단순화된 문양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여기에서 자연스러운 서민의 인식과 풍치를 발견할 수 있다. 풀꽃문은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자연에 순응할 줄 아는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풀꽃문의 전성기는 조선시대 중반에 해당되며, 실용성을 위주로 하는 조선시대 공예의 이념을 잘 나타내며 간결하고 활달한 멋을 느낄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