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담뱃대걸이(7292) 크게보기 담뱃대걸이(7292) 크게보기
담뱃대걸이(7292)
문양설명
담뱃대는 담배를 피우는 데 사용하는 도구로 연죽(煙竹), 연관(煙管), 연배(煙盃)라고 한다. 담뱃대는 담뱃잎을 넣고 불을 붙이는 곳인 금속으로 된 대통과 연기를 빠는[吸入] 부위인 물부리,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설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물은 대통과 설대 및 물부리로 구성되어 있다. 대통은 `ㄴ`자로 구부러진 형태로 담배를 담는 통이 달리고 설대가 끼워지는 원통형 투겁이 있다. 설대는 5개의 마디가 돌출된 대나무통으로 고동색을 띠며, 물부리는 원통형 투겁과 가는 대롱 형태의 흡입구가 있다. 대통과 물부리의 원통형 투겁에는 상하로 번개무늬를 돌리고 태극무늬를 상감하였다. 번개문은 지그재그 모양 또는 갈 지(之)자 모양의 무늬를 가리키는데, 이는 곧 번개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번개는 농경사회에서 가뭄에 비를 몰고 오는 길조로 여긴다. 또 번개문은 연속되는 무늬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상징한다. 태극은 하늘과 땅이 나누어지기 전 우주만물의 근원이다. 『주역(周易)』에 의하면 음양의 본체라 하였으니, 하늘과 땅을 비롯하여 태극은 천지만물은 모두 음(陰)과 양(陽)으로 성립되었다고 한다. 즉 태초에 우주가 생성될 때에 태극이 생기더니, 이 태극이 둘로 갈라져 하나는 음이 되고 하나는 양이 되어 음·양의 배합으로 천지의 모든 것이 이루어지고, 음·양이 변화하여 모든 것이 변화, 생성되고 새로워져 발전과 번영을 영원히 계속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태극은 하늘이고 우주이며 음양의 본체로서 태극문은 음양의 화합을 통한 풍년과 다산을 상징한다. 삼태극(三太極)은 하늘과 땅,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데, 이는 삼재(三才)를 나타낸 도형이라고 하며, 간혹 사태극(四太極)무늬도 보인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