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한폭에 30자씩 10폭에 수놓아 총 300자를 이룬다. 300자 모두 전서(篆書)로 구성되어 있는데, 거북· 여의두· 전보· 서각· 서보· 태극· 방승(方勝)· 보병(寶甁)· 화병· 국화· 대나무· 불로초· 석류· 구름·별 등의 여러 길상문양이 壽福과 복합적으로 도안화되어 중복됨 없이 다양한 조형을 보여준다. 수복문양은 장수(長壽)와 다복(多福)에 대한 염원을 표현한 것이다.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8)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7)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6)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5)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4)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3)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2)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1)
-
개별유물
수복자문(2380)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9)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8)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7)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6)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5)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4)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3)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2)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1)
-
개별유물
수복자문(2370)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9)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8)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7)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6)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5)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4)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3)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2)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1)
-
개별유물
수복자문(2360)
-
개별유물
수복자문(2359)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