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목안(6530) 크게보기 목안(6530) 크게보기
목안(6530)
문양설명
전통 혼례 때 산 기러기 대신 쓰는, 나무로 깎아 만든 기러기로 목안(木雁)이라고 한다. 기러기는 암컷과 수컷의 사이가 좋고 사랑이 지극한 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러기의 특징 때문에 혼례식에서 나무로 깎은 목안을 전하는 습속이 있다. 신랑은 신부의 집에 이르러 혼례의 첫 의식으로 목안을 신부 집에 전한다. 그래서 혼례식을 일명 전안례(奠雁禮)라고도 한다. 이 목안은 목 아래를 따로 만들어 몸통에 끼우는 것으로 머리와 몸통의 상호분리가 가능하다. 몸통에 기러기의 날개와 꼬리 부분을 양각하고, 청색과 홍색으로 채색하였다. 기러기는 무리를 지어 살지만 암컷과 수컷이 일단 짝을 이루면 한쪽이 죽어도 종생토록 다른 배우자를 택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로 인해 기러기는 부부간의 금슬을 상징하는 무늬가 되었다. 또한 기러기는 봄에는 북으로 날아가고 가을이면 남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계절 변화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