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나전소원반(6503) 크게보기 나전소원반(6503) 크게보기
나전소원반(6503)
문양설명
소반(小盤)은 좌식생활(坐食生活)을 하는 우리의 주거환경에 맞추어 발달한 식탁이면서, 주방과 거실이 분리된 생활공간에서 음식을 그릇에 담아 나르는 운반기능을 겸한 생활도구이다. 이 소반은 천판(그릇을 놓은 곳)은 원형이고, 천판 가득히 자개로 모란과 덩굴무늬를 함께 새겼고, 윗 부분에는 새 한 마리가 모란꽃을 물고 날아오고 있는 무늬가 있다. 새의 꽁지 부분에는 선무늬가 나타나 있다. 소반의 다리는 호랑이 다리 형태이고, 5개의 다리를 두르고 있는 나무테가 하나 있다. 천판과 다리사이에는 무지개 모양의 판을 붙였다. 모란은 번영과 창성의 꽃으로 미호와 행복의 상징으로 널리 사랑받았다. 중국 송나라때 주돈이가 “모란은 꽃 가운데 부귀다”라고 한 이후로 부귀 길상의 상징물로 받아들여졌다. 모란꽃 문양은 회화, 자수, 공예품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사랑받았는데 여성의 아름다움과 부귀를 나타내는 무늬이다. 덩굴은 끝이 없이 계속 뻗어나가는 속성으로 인하여 장구와 연면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