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금은제요패(6425) 크게보기 금은제요패(6425) 크게보기
금은제요패(6425)
문양설명
허리띠에 드리워져 있는 장식도구이다. 허리띠는 허리띠를 연결하는 띠고리와 금판을 오려서 만든 띠돈, 드리개로 구성되어 있다.이런 허리띠는 실용적이라기 보다는 의식용이나 주술적인 데 쓴 것으로 보인다. 허리띠의 드리개인 이 유물은 각 과판의 표면이 오목하게 되어있고 큰 것과 작은 것이 번갈아가며 연결되어 있다. 과판 중 큰 것은 8개로 전체는 도금 또는 금은합금으로 제작된 것으로 나뭇잎 모양의 영락(瓔珞)이 2개씩 매달려 있다. 작은 과판은 7개이다. 두 개의 금판에는 도깨비무늬, 두꺼비 무늬를 투조하였고, 장방형 은판에는 백호와 주작도를 끌로 새겼다. 영락은 작은 옥이나 금,은 조각을 끈이나 금은줄에 꿰어서 붙이는 것으로, 붙어 있는 물건을 좀더 화려하게 보이는 효과를 낸다. 도깨비무늬는 중국의 도철무늬에서 그 시원을 찾을 수 있다. 도철은 시각이 예민하여 어떤 사악한 마귀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도깨비 무늬는 중국의 도철과는 다르게 매우 인간적이고 해학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도깨비 무늬는 지붕이나 다리, 창호 등에 새겨져 벽사와 수호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서왕모의 불사약을 훔쳐먹고 달아난 항아라는 인물이 선녀가 되어 달 속으로 들어가서 변하여 두꺼비가 되었다고 한다. 이로부터 두꺼비는 달을 상징하게 되었다. 백호와 주작은 사방을 지키는 사신의 하나이다. 먼저 백호는 서쪽을 맡은 수호신으로 몸에 호랑이 무늬가 묘사되고 털을 휘날리며 질주하는 형상이다. 주작은 남쪽을 맡은 수호신으로 머리는 볏이 달린 수탉의 모습을 하였고, 깃을 넓게 펼쳐 원을 그리듯 하늘로 치켜올려서 마치 춤추는 듯한 모습이 많이 나타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