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홍릉(弘陵)은 조선 영조(英祖)의 원비인 정성왕후(貞聖王后) 서씨(1692~1757)의 무덤이다. 정성왕후는 영조 33년(1757) 2월 창덕궁 관리각에서 숨을 거두었고, 그해 6월 4일 현 위치에 안장되었다. 영조는 정성왕후의 능지를 정하면서 장차 함께 묻히고자 왕비릉의 오른쪽 자리를 비워두었고, 석물도 쌍릉을 예상하여 배치하였다. 하지만 정조가 홍릉 자리를 버려두고 동구릉(東九陵) 내 원릉(元陵)으로 영조의 능지를 정함으로써 오른쪽 공간은 빈 터로 남게 되었다. 홍릉은 기본적으로 숙종의 명릉(明陵) 형식을 따라 간소하게 조성되었으며, 『국조속오례의』, 『국조상례보편』의 제도가 잘 반영되어 있다. 능에는 병풍석이 없고, 봉분은 12칸의 난간석으로 에워싸여 있다. 혼유석 1좌, 망주석 1쌍, 석호·석양 각 2쌍, 문인석·석마 각 1쌍, 장명등 1좌, 무인석·석마 각 1쌍의 석물을 갖추었다. 능 아래쪽에는 정(丁)자형의 건물인 정자각이 위치하고 있는데 정자각은 제례를 올리는 장소이다.
홍릉 정자각 부연의 마구리부분으로 꽃을 나타내었다. 꽃은 흑색바탕에 백색으로 동그라미를 그려서 단순한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