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로, 무사들이 무기(武技)를 연마하던 곳이다. 처음에 연무당이라 부르던 것을 숙종 때 수어사 김재호(金在好)에게 개수하도록 명하고 ‘연병관(練兵館)’이라 쓴 편액을 내렸다. 보통 ‘연병관’ 또는 ‘연무관’이라 부르고 있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로, 연등천장에 마루는 우물마루이다. 뒷벽은 판벽이며 좌우 판벽에는 판문이 3개씩 설치되어 있고, 건물 뒤에는 1.5m 너비의 툇마루 공간이 있다.
연무관 부연에 표현된 연꽃문양이다. 네 장의 연꽃잎사이로 둥근 씨방이 들어 있다. 연꽃잎을 겹쳐서 나타내었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