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청원사는 경기도 안성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확한 창건연대와 그 이후의 내력은 알 수 없다. 현존하는 전각으로는 대웅전, 삼성각, 대방, 선방, 불식선원 등이 있으며, 그밖에 선방과 공양간, 해우소 등의 부속건물을 갖추고 있다. 석조물로는 칠층석탑과 석등 2기, 공덕비, 부도 2기 등이 있다. 조선 후기에 세워진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고 공포는 전면과 후면을 다르게 구성하였으며,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내부에는 고려시대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본존불을 봉안하였는데 지불(紙佛)이다.
한 줄의 검은색 선으로 덩굴을 그리고 안쪽 면에 흰색을 칠해 입체감을 주었다. 덩굴은 좌우대칭이며 위쪽을 향하여 좌우로 뻗어나간다. 뻗어나가는 덩굴은 중간마다 양 갈래로 나뉘며 그 끝이 둥글게 말린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