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금곡서원 대문(56539) 크게보기 금곡서원 대문(56539) 크게보기
금곡서원 대문(56539)
문양설명
금곡서원은 1687년(숙종 13) 김수남을 배향하는 금곡사를 그 시작으로 한다. 1690년(숙종 16)에 현 위치로 이건되었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어, 서원 터에 설단(設壇)하고 춘추로 향사를 지내 오다 1977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 각 2칸의 동재(東齋)·서재(西齋), H자형의 강당, 외삼문(外三門)·내삼문(內三門), 4칸의 고직사(庫直舍), 3칸의 전사청(典祀廳)등이 있다.
대문에 장식된 국화동자못이다. 꽃잎이 이중으로 돋아나있다. 겉잎은 7엽, 속잎은 6엽으로 이루어졌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